$\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 하안대에서 입지 연령에 따른 선버들과 왕버들의 생물량 변화
Changes in Biomass of Salix subfragilis and S. chaenomeloides with Stand Ages in a Riparian Zone of a Sand-bed Stream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4 no.3, 2017년, pp.149 - 155  

조형진 (수생태공간정보연구소) ,  진승남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조현석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조강현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버드나무 속 식물은 하천 복원시 사용되는 대표적인 생물재료이고 하천에서 주요 관리대상이 되는 식물이다. 낙동강의 모래하천 하안에서 선버들과 왕버들의 수령에 따른 생장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의 생물량 추정을 위한 상대생장식을 유도하고 입지 연령에 다른 이들 군집에서 밀도, 줄기 높이, 기저면적 및 생물량을 조사하였다. 선버들은 발아한 후 3년과 왕버들은 6년까지 줄기 밀도가 급격하게 감소하여 자기 솎음이 강하게 일어났다. 두 식물의 줄기 높이는 선버들은 수령 15년에 7.5 m까지 왕버들은 수령 13년에 14 m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지상부 생물량은 생장초기에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선버들은 수령 13년에 17 ton DM/ha까지 왕버들은 수령 13년에 1,110 ton DM/ha까지 증가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유도된 버드나무 속 식물의 상대생장식을 이용하면 이들 식물의 생물량을 객관적으로 추정할 수 있어서 하천에서 수목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llow plants are representative biomaterials used in river restoration and main target trees in stream managem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growth of Salix subfragilis and S. chaenomeloides with their stand ages, we investigated the density, height and basal area of stems and bi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교란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모래하천 저수로에 정착하여 천이가 진행되고 있는 주요 버드나무 속 식물의 생물량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모래하천인 낙동강에서 수령에 따른 선버들과 왕버들의 생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상대생장식을 유도하고, 천이 진행에 따라서 이들 식물의 수고, 밀도, 기저면적 및 생물량을 추적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자연하천의 중하류에 주로 나타나는 주요 목본 군집에는 무엇이 있는가? 국내 자연하천의 중하류에서 주로 출현하는 주요 목본 군집은 버드나무, 선버들, 물푸레나무 등이며 (Lee 2004, Kim et al. 2014), 특히 낙동강 중하류의 목본성 우점 식물종은 왕버들, 선버들 등의 버드나무 (Salix) 속이다 (Woo et al.
하천에서 목본성 식생은 어떤 문제를 가져올 수 있는가? 하천에서 식생은 야생생물의 먹이와 서식처 제공, 수질 정화 등의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과도한 식생 번무에 의한 개방 사주의 감소는 이곳을 서식지와 번식지로 이용하는 도요, 물떼새류 등의 감소를 초래하기도 한다 (Hong 2005). 또한 목본성 식생은 유사의 침식을 억제하고 퇴적을 가속화하고 (Rood et al. 2011)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서 물 흐름에 저항하여 수위상승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Cho et al. 2002), 최근에 제방의 수리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수리 모형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Noh et al.
낙동강의 선버들과 왕버들의 생물량을 비교했을 때 어떤 것이 생물량이 더 많았는가? 낙동강의 사주와 홍수터에서 유도한 상대생장식을 이용하여 수령에 따라서 생물량을 추정하였다. 이들 생물량은 생장초기에 급속히 증가하였으며 왕버들이 선버들보다 많았다. 본 연구에서 파악한 결과는 우리나라 하천에서 흔히 나타나는 선버들과 왕버들을 하천 복원의 생물재료로 이용하거나 과도하게 번무한 식생을 관리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ylott, M.J., Casella, E. Tubby, I., Street, N.R., Smith, P., and Taylor, G. 2008. Yield and spatial supply of bioenergy poplar and willow short-rotation coppice in the UK. New Phytologist 178(2): 358-370. 

  2. Jo, H.J., Choe, H.G., and Lee, T.Y. 2002. A physical model test of flood level changes by the vegetation on the floodplain of urban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5(2): 203-211. (in Korean) 

  3. Han, D., Yoo, J.-W., Yoo, Y., Lee, E., and Park, S. 2010a. Aboveground primary productivity of Salix nipponica and secondary productivity of Sesarma dehaani at Janghang Wetland in Han River Estuary.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3: 298-306. (in Korean) 

  4. Han, S.J., Kim, H.W., Kim, H.R., Kim, H.J., Han, D.U., Park, S.K., and You, Y.H. 2010b. Net primary production, annual accumulation of organic carbon and leaf decomposition in Salix plant communit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2(1): 15-22. (in Korean) 

  5. Hong, S.B. 2005. A research for shorebirds on the southernmost of Nakdong estuary.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8(4): 199-206. (in Korean) 

  6. Karrenberg, S., Edwards, P.J., and Kollmann, J. 2002. The life history of Salicaceae living in the active zone of floodplains. Freshwater Biology 47(4): 733-748. 

  7. Kim, C.-S., Lee, P.-H., and Oh, K.-h. 1999. Productivity and production structure of Salix nipponica.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 61-69. (in Korean) 

  8. Kim, E.J., Cho, K.H., and Kang, J.G. 2014a.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riparian environment and vegetation distribution in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7(4): 321-330. (in Korean) 

  9. Kim, H, Shin, B., and Kim, W. 2014b. A Study on hydromorphology and vegetation features depending on typology of natural stream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 215-223. 

  10. Kim, T.-G., Lee, P.-H., and Oh, K.-h. 2007. The actual vegetation map, standing crop biomass and primary productivity of Salix spp. in the Upo Wetland.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9: 33-43. (in Korean) 

  11. Lee, Y.-K. 2004.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iparian Vegetation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in Korean) 

  12. McInerney, P.J., Rees, G.N., Gawne, B., Suter, P., Watson, G., and Stoffels, R.J. 2016. Invasive willows drive instream community structure. Freshwater Biology 61(9): 1379-1391. 

  13. Niiyama, K. 2008. Coexistence of Salix species in a seasonally flooded habitat. In, Sakio, H. and Tamura, T. (eds.), Ecology of Riparian Forests in Japan: Disturbance, Life History, and Regeneration. Springer, Tokyo, Japan. pp. 165-174. 

  14. Noh, J.W., Lee, J.Y., and Ahn, K.H. 2011. Application of three-dimensional model to evaluate stream discharge capacity due to veget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0(1): 37-48. (in Korean) 

  15. Rood, S.B., Goater, L.A., Gill, K.M., and Braatne, J.H. 2011. Sand and sandbar willow: a feedback loop amplifies environmental sensitivity at the riparian interface. Oecologia 165(1): 31-40. 

  16. Shields Jr, F.D., Cooper, C.M., and Knight, S.S. 1995. Experiment in stream restoration.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 121(6): 494-502. 

  17. Woo, H. and Park, M. 2016. Cause-based categorization of the riparian vegetative recruitment and corresponding research direction.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3: 207-211. (in Korean) 

  18. Woo, H., Park, M., Cho, K.-H., Cho, H., and Chung, S. 2010. Recruitment and succession of riparian vegetation in alluvial river regulated by upstream dams - focused on the Nakdong River downstream Andong and Imha Dams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5): 455-469.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