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초등학교 학생의 불소용액양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 행태 조사
Oral health behavior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fluoride mouth rinse in som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3 no.6, 2013년, pp.1057 - 1062  

이은경 (부산여자대학교 치위생과) ,  박정현 (춘해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조미숙 (춘해보건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s jointed to fluoride mouth rinse plans in health centers. Methods : Students from the third to sixth grade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2.0.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구강보건실이 설치된 경상남도의 3개의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불소용액양치 참여 유무에 따라 구강건강을 위한 실천행위의 차이를 비교하여 학생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사업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2010년 9월 13일부터 2010년 10월 1일까지 경상남도에 소재한 학교구강보건실이 설치 운영되고 있는 초등학교 3개교 3-6학년 초등학생 858명을 대상으로 불소양치용액양치에 참여 유무에 따라 구강건강을 위한 실천행위의 차이를 비교하고 불소용액양치사업의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학생 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보건사업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학교구강보건사업에는 무엇이 있는가? 6% 세에서 세에서 로 과반수 이상이 치아우식증을 경험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시기는 일생 중 성장 발달이 가장 활발하고 감수성이 예민한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형성된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 관심 태도는 기초가 되고 일생동안 구강건강을 유지 관리하는 데 중요하다5) .그러므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구강보건에 관한 활동이 우선 적으로 개발되어져야 한다 대표적인 학교구강보건사업으로 구강검진 치아홈메우기 불소도포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학생집단불소용액양치사업은 매일 불화나트륨용액 양 0.05%치 또는 주에 한번 불화나트륨 용액으로 양치하는 1-2 0.
학생집단불소용액양치사업이란 무엇인가? 6% 세에서 세에서 로 과반수 이상이 치아우식증을 경험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초등학교 시기는 일생 중 성장 발달이 가장 활발하고 감수성이 예민한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형성된 구강보건에 대한 지식 관심 태도는 기초가 되고 일생동안 구강건강을 유지 관리하는 데 중요하다5) .그러므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구강보건에 관한 활동이 우선 적으로 개발되어져야 한다 대표적인 학교구강보건사업으로 구강검진 치아홈메우기 불소도포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학생집단불소용액양치사업은 매일 불화나트륨용액 양 0.05%치 또는 주에 한번 불화나트륨 용액으로 양치하는 1-2 0.2%것으로 매일 점심시간에 칫솔질을 하고 불소용액으로 1분동안 양치하므로 짧은 시간 저 비용으로 학업에 지장을 주지 않고 학생들에게 책임감을 길러주며 올바른 잇솔질 교습으로 치아우식증 예방효과 뿐만 아니라 효율성이 우수하여 전국의 많은 초등학교에서 확대 실시되고 있다3) .
대표적인 치주질환인 치아우식증은 주로 어떠한 시기에 많이 발생하는가? 이러한 건강의 인식의 변화와 영향요인들은 구강건강에도 적용되어진다 구강건강의 문제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구강질환은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이다 이 중 치아우식증은 일생동안 발생하지만 만 세경부터 급증하여 세경 6 20에 이르면 이상이 경험하고 있고 세 이상의 노인 연령 80% , 65에 이르면 를 상회하는 등 대다수의 국민들이 경험하게 90%된다2) . 특히 치아우식증은 유치와 영구치가 교환되는 초등학교 시기에 발생률이 높고 혼합치열기로 부정교합과 치은염이 서서히 시작되는 시기이기도 하다3). 2010년 국민구강건강 실태조사4)에 따르면 영구치우식경험자율이 세에서 10 4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eoul: Gyechuk; 2011: 8-10. 

  2. Kang HS, Kim SJ, Kim YN, Kim HJ, Kim HS, Park KJ, et al. An introduction to dental hygiene. 6th. Seoul: Komoonsa; 2013: 183. 

  3. Kang BW, Kwag JS, Kwon SJ, Kwon HS, Kim MS, Kim SJ, et al. Public oral health. 2nd. Seoul: Komoonsa; 2012: 45, 170. 

  4.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Oral health research III.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39, 113, 395. 

  5. Goo KM, Kim YH, Kim IS, Kim HJ, Park YN, Park IS, et al. Oral health education. 2nd. Seoul: Komoonsa; 2011: 100. 

  6. Chang KW, Hwang YS, Kim JB, Song YS, Paik DI, Choi BG, et al. Oral health education. 4th. Seoul: Komoonsa; 2010: 177-8. 

  7. Lee JH, Kim JB. Caries preventive effects of a school-based weekly mouthrinsing program with sodium fluoride solution for five years. J Dent Hyg Sci 2006; 6(2): 113-7. 

  8. Son SH, Lee JH, Kim JY, Kim JB. Caries preventive effects of a school-based weekly mouthrinsing program with a 0.2% sodium fluoride solution for five years. J Korea Acad Dent Health 2003; 27(2): 289-302. 

  9. Park JH, Ahn SH, Jeong SH, Choi YH, Song KB. The 5th year for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in Daegu, Korea. J Korea Acad Dent Health 2009; 33(2): 235-42. 

  10. Kim JB, Kim KS, Kim YS, Kim YH, Jung SH, Jin BH, et al. Introduction to dental public health. 4th. Seoul: Komoonsa; 2011: 4, 51, 267. 

  11. Yi GM, Hyun HJ. A study on knowledge of oral health, behavior, self-efficacy, and the number of dental car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 Acad Community Health 2009; 20(4): 531-9. 

  12. Kim KD, Chun JH. Dental IQ and oral health care statu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Health Educ Promot 2003; 20(2): 95-112.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Youth Oral Health Behavior Online Survey Statistics.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35. 

  14. Kim AN, Han SY, Kim HG, Kwon HK, Kim BI. The characteristics of high caries risk group for 12-year old children in Korea. J Korea Acad Oral Health 2010; 34(2): 302-9. 

  15. Kim YN, Song YS, Choi EJ, Kim YS, Choi EM. An analysis of associated factors which influence DMFT index of the primary school children's in Pocheon city. J Korean Soc Dent Hyg 2011; 11(1): 111-24.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uide for oral health plans 2012.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3-58. 

  17. Son JH, Jung SH. Improvement effects of oral hygiene management through fluoride mouthrinsing program by groups. J Korea Acad Dent Health 2008; 32(3): 322-8. 

  18. Jung JY, Kim SH, Han SJ. The recognition on toothbrushing facilities and job status of facility workers in school dental clinic.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4): 723-32. 

  19. Chon JE, Choi YH.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dental health care in the teather of local children center.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4): 827-37. 

  20. Lee HK, Park CS, Kim MJ. Interrelation research of the knowledge regarding the oral health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 and behavior. J Dent Hyg Sci 2008; 8(3): 155-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