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임부와 35세 미만 임부의 산전 건강관리 실태와 교육요구 비교
Comparison of Prenatal Health Management State and Educational Needs for Pregnant Women with Advanced Maternal Age and Under the Age of 35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9 no.4, 2013년, pp.230 - 241  

왕희정 (제일병원) ,  박혜숙 (동양대학교 간호학과) ,  김일옥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nfirm prenatal health management and educational needs for pregnant women with advanced maternal age (AMA) and pregnant women under 35 years of age.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in which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Participants were 279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5세 이상 고령임부의 산전 건강관리 실태와 교육요구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고령임부 집단은 조산경험이 높았고, 35세 미만 임부집단은 현세대 여성의 높은 음주율의 영향을 받아 임신 전 음주율이 높았다.
  • 본 연구는 고령임부와 35세 미만 임부의 산전 건강관리 실태와 교육요구를 확인하기 위한 비교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최근 임신의 고령화 추세를 주요 문제로 보고, 35세 이상 고령임부의 산전 건강관리 실태와 교육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 참조집단인 35세 미만 임부와의 비교를 통해 연구결과를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문헌고찰과 초점집단 면접 및 전문가집단 면접을 통해 고령임부의 산전교육 프로그램의 요구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임부와 35세 미만 임부의 산전 건강관리 실태와 교육요구를 확인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이 고령임부가 그들의 임신을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건강관리를 어떻게 행하고 있고, 어떠한 교육 내용을 원하는지에 대해서는 체계적으로 수행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임부의 산전 건강관리에 대한 실태와 교육요구를 확인하고, 35세 미만 임부와의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고위험군에 속하는 고령임부의 건강한 임신과 출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초산연령은?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초산연령은 2010년 30.1세, 2011년 31.4세 2012년에 31.6세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주요 출산 연령층은 30대 초반으로 전체 신생아의 68%가 30대 이상에서 태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고령임부가 인지하고 실행해야하는 일은 무엇인가? 그러나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한 임부는 위험요인과 건강 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행동을 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Bayrampour, Heaman, Duncan, & Tough, 2012), 임부의 위험요인을 확인하여 발생 가능한 건강문제를 줄이고, 고령 임신과 출산에 따른 위험을 인지할 수 있도록 관련 지식을 습득시켜 임부 스스로 자가 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Hwang, 201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Tough et al., 2006).
국내에서의 임산부 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일본, 미국, 영국, 캐나다와 같은 선진국에서는 의무적으로 임산부 교육을 제공하거나 필요에 따라 별도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Hwang, 2010). 우리나라에서 산전교육의 효과를 측정한 Park과 Lee (2002), Sung, Ju와 Ju (2003)의 연구에서도 교육실시가 임부의 지식, 자신감이나 분만참여도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령임부의 임신 관련 위험에 대한 지식과 자가 관리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는 표준 교육과정이 없고 의무 사항도 아니며 각 지자체별로 산발적으로 이루어지거나 상업성이 개입된 채 이루어지기도 한다(Hwang,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J. Y. (2002). Th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websites on prenatal education and contents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 Ataullah, I., & Freeman-Wang, T. (2005). The older obstetric patient. Current Obstetrics & Gynecology, 15, 46-53. http://dx. doi.org/10.1016/j.curobgyn.2004.09.006 

  3. Bae, J. Y. (2006). Development of a health educational program for maternal health.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9 , 101-115. 

  4. Bayrampour, H., Heaman, M., Duncan, K. A., & Tough, S. (2012). Advanced maternal age and risk perception: A qualitative study. Biomedcentral Pregnancy and Childbirth, 12. http:// dx.doi.org/10.1186/1471-2393-12-100 

  5. Cha, H. (1998).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prenatal care of pregnant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Cheil General Hospital & Women's Health care Center. (2012). Elderly pregnant women need to be most careful of pregnancy complications, gestational diabetes. Cheil General Hospital & Women's Health care Center News, 16, 2. 

  7. Cho, D. S., Kim, Y. M., Hur, M. H., Oh, H. S., & Kim, E. Y. (2009). Mother's prenatal care and delivery service satisfaction according to mode of deliver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 353-361. http://dx.doi.org/10.4069/ kjwhn.2009.15.4.353 

  8. Choi, J. H., Han, H. J., Hwang, J. H., Chung, S. R., Moon, H., Park, M. I., et al. (2006). Meta analysis of clinical studies of pregnancy and delivery in elderly gravida.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49, 293-308. 

  9. Chun, Y. J. (1998). A study on the educational needs and satisfaction of primigravida during the antepartal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4, 187-202. 

  10. Dick, W., Carey, L., & Carey, J. O. (2009).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D. S. Kim., M. H. Kang, & Y. H. Seol, Trans.), Paju: Academ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2009) 

  11.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 175-191. 

  12. Hwang, N. M. (2010).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a public prenatal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system.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163, 50-64. 

  13. Kim, D. S., Kim, Y. T., Kim, T. H., & Kim, S. M. (2011). Maternal age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Korea:a comprehensive approach to prenatal care.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14. Kim, K. W., & Lee, K. H. (1998). Women experience of risk situation on the high-risk pregnancy.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4, 161-178. 

  15. Kim, M. J., Na, E. D., Lee, K. J., Cha, D. H., Shin, J. S., & Lee, H. Y. (2012). Pregnancy prognosis according to pre-pregnancy body mass index and gestational weight gain in twin pregnancie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55 , 300-308. http://dx.doi.org/10.5468/KJOG.2012.55.5.300 

  16.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0). 2011 Polisumer 6. Retrieved August, 30, 2010, from http://kostat.go.kr/portal/ korea/kor_nw/2/14/1/index.board?bmoderead&aSeq 178657 

  17.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3). 2012 Birth.mortality statistics. Retrieved February 26, 2013, from http://kostat. 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 aSeq271935 

  18. Lagan, B. M., Sinclair, M., & Kernohan, W. G. (2010). Internet use in pregnancy informs women's decision making: A webbased survey. Birth, 37, 106-115. http://dx.doi.org/10.1111/ j.1523-536X.2010.00390.x 

  19. Lee, E. J., Kim, Y. H., Kwon, J. Y., & Park, Y. W. (2010). Pregnancy outcome according to gestational weight gain in twin pregnancies on the basis of the 2009 Institute of Medicine (IOM) recommendation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3, 687-693. 

  20. Lee, M. K., Shin, H. S., Lee, Y. J., & Kim, J. H. (2012). Impact of advanced maternal and paternal age on perinatal outcome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 95-100.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1.095 

  21. Lee, M. L. (198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gnant women's health belief and performance of antenatal care. Unpublished a docto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Mills, T. A., & Lavender, T. (2011). Advanced maternal age. Obstetrics, Gynaecology and Reproductive Medicine, 21, 107- 111. http://dx.doi.org/10.1016/j.ogrm.2010.12.003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5). A study on efficient management of high risk pregnant women in Korea. Seoul: Author. 

  24. Montan, S. (2007). Increased risk in the elderly parturient. Current Opinion in Obstetrics & Gynecology, 19 , 110-112. 

  25. Park, C. H., & Lee, C. U. (2002). Effect of antenatal education on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 34-54. 

  26. Park, H. J., Lee, S. H., Cha, D. H., Kim, I. H., Jun, H. S., Lee, K. J., et al. (2006). Pregnancy outcomes in women aged 35 and older.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49, 2066-2074. 

  27. Sung, M. H., Ju, M. S., & Ju, G. S. (2003). Effect of prepared childbirth education on the knowledge and delivery participation levels of the spouses of primipara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 213-223. 

  28. Tough, S., Benzies, K., Newburn-Cook, C., Tofflemire, K., Fraser- Lee, N., Faber, A., et al. (2006). What do women know about the risks of delayed childbearing?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97, 330-334. 

  29. Yeom, G. J., Choi, S. Y., & Kim, I. O. (2011). The influencing factors on alcohol use during pregnanc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aternal Child Health, 15, 71-81. 

  30. Yoon, J. W. (2000). Prenatal maternal health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문의처: helpdesk@kisti.re.kr전화: 080-969-4114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