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임산부의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 요구
Advanced Aged Women's Needs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Care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1 no.4, 2015년, pp.332 - 341  

민혜영 (동양대학교 간호학과) ,  정금희 (한림대학교 간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dvanced aged pregnancy may be related with health problems so that more aggressive health care is necessary for these women.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the health of pregnant women and their new-born babies and by i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령임산부의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와 아기양육과 관련되어서 구 체적으로 어떤 요구와 도움이 필요한 지에 대한 연구가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령임산부의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에 대한 요구를 확인함으로써 임신 전, 산전 산후건강관리와 아기양육을 증진하는 상담과 교육 등의 효과적 간호중재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35세 이상 고령임신의 증가로 고령임산부의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에 관한 요구를 파악하여서 체계적 간호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고령임산부의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 요구는 전체 평균 3.
  • 본 연구는 고령임산부의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산모 연령이 증가할수록 산모와 아기문제로 제왕절개술 빈도가 높아지므로 자연분만에 대한 요구가 클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심층면담에서 대상자들이 노산으로 인한 체력의 한계로 정상 분만이 힘들 것이라는 걱정과 아기를 잘 낳기 위해서 순산을 위한 준비와 진통관리방법에 대한 많은 관심을 보였다. 고령임산부의 자연분만에 대한 걱정과 불안과 같은 심리적 부담은 임신과 출산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 초산부가 느끼는 심리적 부담과 스트레스는? 특히 40세 이상의 임산부는 불임, 자연유산, 조산과 저체중아 출산의 위험이 더욱 증가한다[2]. 고령 초산부는 산과적 합병증과 아기건강문제의 발생을 두려워하고 기형아검사와 관련된 심리적 부담이 커지고, 응급제왕절개술과 조산 등을 경험하면서 산후에 우울과 불안이 증가할 수 있다[8,9]. 상대적으로 연령이 높으면 사회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안정적이고 성숙할 것이라는 주변 인식으로 오히려 지지와 격려를 받지 못해서 정서적 스트레스를 느낄 수 있다[9,10].
본 연구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전문가 집단의 구성은? 이차로 전문가집단에게 일차 수정된 도구의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여성건강간호전공 교수 4명, 산부인과의사 2명, 산부인과 간호사 2명 등 총 8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에게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를 반영하여 이차로 총 67문항으로 도구를 수정하였다. 타당도 검증에서 다른 문항 내용과 중복되는 ‘빈혈관리’, ‘산후 몸매유지’, ‘산후 유방위생과 마사지’ 3문항을 삭제하였고, ‘아기수유와 영양’은 ‘모유수유방법’과 ‘인공 수유방법’ 2문항으로 구분하였다.
미국 국제산부인과 연맹이 정의한 고령임산부란? 고령임산부에 대한 정의가 다소 차이가 있고 만 35세 이상 혹은 만 40세 이상으로 연령기준이 다르거나 만 35세 이상의 초산모만을 고령산모라고도 한다[3]. 고령임산부 기준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대부분 미국 국제산부인과 연맹의 기준에 따라 만 35세 이상의 임산부를 고령임산부라고 정의한다[4]. 임신과 출산과 관련 되어 고령은 모성과 태아건강에 나쁜 영향을 주고 모성 이환율과 사망률의 증가와 관련되어 의학적으로 고위험요인으로 분류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Statistics Korea. 2015 Women's life according to statistics [Internet]. Seoul: Statistic Korea; 2015 [cited 2015 November 3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46959 

  2. Sauer MV. Reproduction at an advanced maternal age and maternal health. Fertility and Sterility. 2015;103(5):1136-1143. 

  3. Blum M. Is the elderly primipara really at high risk. Journal of Perinatal Medicine. 1979;7(2):108-112. 

  4. Lee SY, Lim SY. Improving the population quality in low fertility and aging Korea: Policy challenges for birth outcomes for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Report No.:2013-31-09. 

  5. Jolly M, Sebire N, Harris J, Robinson S, Regan L. The risks associated with pregnancy in women aged 35 years or older. Human Reproduction. 2000;15(11):2433-2437. 

  6. Choi JS, Seo K, Yee NH, Lee SW, Lee SW, Shin CW, et al. Analysis of infant deaths and their causes 2007-2008.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0. Report No.:2011-33. 

  7. Han YJ, Seo K, Oh SC, Lee SW, Lee YH, Ju MH. Causes and risk factors of the infant death and the stillbirths.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3. Report No.:2003-78. 

  8. Seo K, Kim MA. Guidelines for preconception care: From the maternal and child health perspective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8):845-850. 

  9. Kim MH. The comparative study for pregnancy stress, anxiety and result of birth, pregnant under 35 years old and over 35 years old [master's thesis]. Jinju: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14. 

  10. Aasheim V, Waldenstrom U, Hjelmstedt A, Rasmussen S, Pettersson H, Schytt E. Associations between advanced maternal age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primiparus women, from early pregnancy to 18 months postpartum. BJOG An International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2;119(9):1108-1116. 

  11. Wang HJ, Kim IO. Effects of a mobile web-based pregnancy health care educational program for mothers at an advanced maternal 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3):337-346. 

  12. Suplee PD, Dawley K, Bloch JR. Tailoring peripartum nursing care for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and Neonatal Nursing. 2007;36(3):616-623. 

  13. Wang HJ, Park HS, Kim IO. Comparison of prenatal health management state and educational needs for pregnant women with advanced maternal age and under the age of 35.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4):230-241. 

  14. Baik S, Jeong G, Kim K. A survey on health care needs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rearing of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ontent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2013;7(11):303-311. 

  15. Bayrampour H, Heaman M, Duncan KA, Tough S. Advanced maternal age and risk perception: A qualitative study.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2;12(100):1-13. 

  16. Carolan M. Health literacy and the information needs and dilemmas of first time mothers over 35 year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6):1162-1172. 

  17. Lu MC. Recommendations for preconception care. American Family Physician. 2007;76(3):397-400 

  18. Hong SC, Choi JS, Han JY, Nava-Ocampo AA, Koren G. Essence of preconception counseling and car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8):799-807. 

  19. Han JY, Nava-Ocampo AA, Koren G. Unintended pregnancies and exposure to potential human teratogens. Birth Defects Research. Part A, Clinical and Molecular Teratology. 2005;73(4):245-248. 

  20. Kim MH, Han JY, Cho YJ, Ahn HK, Kim JO, Ryu HM,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a positive intake of folic acid in the periconceptional period among Korean women. Public Health Nutrition. 2009;12(4):468-471. 

  21. Kim DS, Kim YT, Choi IH, Sun BY, Choi IS. Advanced maternal age women and adverse birth Outcomes in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3. Report No.:2013-2-3. 

  22. Drever N, Saade GR, Bytautiene E. Fetal programming: Earlylife modulations that affect adult outcomes. Current Allergy and Asthma Reports. 2010;10(6):453-4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