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골밀도 감소는 골다공증의 발생과 골절 위험성 증가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사회적인 건강문제로 대두된다. 골다공증은 사전 예방이 매우 중요하며, 골밀도가 감소되는 중년기 이후보다 골밀도가 형성되고 최고로 발달되는 시기인 청년기에 적극적인 관리와 예방이 중요하다.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유전적요인, 신체적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있다. 최근, 사회분위기가 많이 바뀌면서 생활습관, 식습관 등이 이전과는 달라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를 통해 사회 분위기 변화에 따른 젊은 층의 생활습관 변화가 골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동남보건대 재학생 중 여자 134명, 남자 75명(총 209명)을 대상으로 하여 골밀도 측정과 생활습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골밀도 측정은 이중에너지 X-ray 흡수장치(DEXA)를 사용하여 넙다리뼈 목(femoral neck)과 허리뼈(Lumbar spine, L1 ~ L4)부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생활습관에 대해서는 미리 작성한 설문지에 답하도록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골밀도와 신장, 체질량지수의 관계는 상관분석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음주, 흡연, 운동 유무 집단에서의 차이는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질량지수(BMI)에 따른 골밀도(BMD)의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음주, 흡연과 골밀도(BMD)와는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둘째, 카페인 섭취량에 따라 골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특히 여성에게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여성과 남성 모두 넙다리뼈 목에서 운동량과 통게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식사습관에 따른 골밀도의 관계에서는 여성의 허리뼈에서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나, 남성의 허리뼈와 여성의 넙다리뼈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다이어트와 골밀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식후 1시간 이내에 카페인을 섭취하는 것을 삼가는 게 좋다. 또한 걷거나 뛰기 등의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면서, 영양이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crease of bone mineral density gives rise to the outbreak of osteopenia and makes the possibility of a bone fracture. It makes health problems in society. It's very important to prevent osteopenia in advance. Also it's critical to prevent and take care of it in adolescent because it's the mo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사회분위기 변화에 따라 바뀌고 있는 생활습관이 20대의 골밀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설문을 통해서 알아보고, 설문에 응한 학생을 대상으로 골밀도 측정을 하여 WHO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설문내용과 T-score값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골밀도 감소 및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밀도의 감소는 어떤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가? 대개 골다공증의 진행은 비가역적진행으로 차단이 어렵기 때문에 그에 기인되는 골절은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손상과 개인 및 사회적,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2). 이처럼 골밀도의 감소에 대한 문제는 골다공증의 발생및 골절 위험성 증가와 함께, 사회적 경제적 손실까지 유발하여 사회적인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유전적요인(인종, 성별, 가족력), 신체적요인(신장, 체질량지수, 체지방분포), 생리적 요인(호르몬, 월경), 환경적 요인(영양섭취, 흡연, 음주, 신체활동)이 있다3). 골밀도는 주로 청년기 때 형성 되고 30∼35세에 최대를 이룬 후 40세 이후부터는 골 소실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골밀도가 감소된다4).
많은 골다공증환자들이 치료시기를 상실하고 골절에 의한 통증, 경제적 손실, 신체장애, 저하된 삶의 질 등을 경험하게 되는 이유는? 골다공증은 낮은 골 량과 골 조직 미세구조의 장애에 의해 골의 취약성과 골절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는 전신성골격질환11)으로 대부분의 환자에서 골절이 발생할 때까지 증상이 없어 서서히 진행 한다12). 따라서 많은 골다공증환자들이 치료시기를 상실하고 골절에 의한 통증, 경제적 손실, 신체장애, 저하된 삶의 질 등을 경험하게 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 http://www.hira.or.kr/dummy.do?pgmid HIRAA020041000000&cmsurl/cms/notice/02/ 1316013_13390.html, 2007-2011년 

  2. Sun-Geun Kim : A Study on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BMD) by Life Habit and Physical Condition,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9(3), 177-184, 2006 

  3. Young-Ran Kim, Tae-Yong Lee, Young-sun Park, Hae-Kyung Cheon: The Effect of Lifestyle Habits and Nutrient Intake Conditions of Female Shift Workers at General Hospitals on Bone Mineral Density Value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5(1), 9-15, 2012 

  4. MJ Choi, JU Lee, HJ Cho: Relation bone density with eating habits and nutrition of college students 

  5. 관세청 http://www.customs.go.kr/kcshome/cop/bbs/selec tBoard.do?layoutMenuNo294&bbsIdBBSMSTR_1 018&nttId2133 

  6. 보건복지부 http://stat.mw.go.kr/front/statData/publicationView.jsp?menuId47&bbsSeq13&nttSeq10429&sea rchKey&searchWord&nPage6 

  7. Jong-Hyen Kim : A Study on Nutrition Status by Diet of Female College Students of Masan City-1. Focus on Diet Survey, Korean J. Food & Nutr., 11(2), 185-191, 1998 

  8. Hae-Sun Ahn, Sun-Hee Kim, Sang-Sun Lee :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olescent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Life Style,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38(3), 242-250, 2005 

  9. Won-Kyu Park , Yeong-Han Kang , Gwang-Ho Jo: The Study of Diagnostic Results Discordance Analysis on BMD Using DEXA,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1(1), 25-31, 2008 

  10. Park, Jungnam . Kim, Kyunghee . Lee, Sangsun: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Childre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ocioeconomic Factors, Family History,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7(1), 52-60, 2004 

  11. A-Ram Kim, So-Eun Lee, Yoon-Mi Lee, Seung-Hui BaeK, Hye-Im Chung, Ji-Hee An, Seung-Wook Choi, Jae-Mun Lee,: Development of Regression Equ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BMD and Body Composi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39, 667-372, 2010 

  12. Sun-Chil Kim, Deok-Moon Kwon : The relation between a practical life and a bone mineral density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28(3), 235-239, 2005 

  13. Cheol-Ho Lee, Dac-Hyuk Choi : The Effects of Regular Exercise for Bone Mineral Density, VO2max, Health related Fitness in Korea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Sport Socialogy, 44(1), 255-264, 2005 

  14. Myung-Sun Hong, Hee-Ok Pak, Chun-Young Sohn: Comparative Study of Food Behaviors and Nutrients Intake according to the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 Nutr., 25(1), 156-162, 2012 

  15. Sunhee Park : A Study on Dieting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among Normal or Low-weight Middle School Girls in Seoul, J. of Korean Soc. of School Health, 14(1), March 2001 

  16. DL Nichols, CF Santborn, SL Bonnick, B Gench, N Dimarco, : Relationship of regional body composition to bone mineral density in college females, med. Sci. Sports Exerc., 27(2), 178-182, 1995 

  17. Si Woo, SS Cho : The influence of diet, body fat menstrual function, and activity upon the bone density of female gymnasts, Korean Journal of Nutrition, 32(1), 50-63, 1999 

  18. HJ Choi, SA Kang, HD, Woo, SI Cho, HJ, Joung : The association between bone density at oscalcis and body conposition, life style and socioeconomic factors in city adolescent, J. Com Nut Conf, 161, 2004 

  19. Mi-Ran Jin, Ji-Myung Kim, Hye-sook Kim, Nam-soo Chang, : Associations of Lifestyle Behaviors, Dietary Habit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en Aged 50 Years and Older, Korean Journal of Nutrition, 42(1), 59-67,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