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장형 도시농업 활동 특성 유형화 및 선호 분석
Segmentation and Preference Analysis of Urban Farming Patterns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4 no.4, 2013년, pp.553 - 565  

황정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최윤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장보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gment urban farming patterns and analyse the preference on urban farming by applying two-step cluster analysis, chi-square analysis and ANOVA. The data was collected by face-to-face surveys on 9 urban farms which were chosen by location and operator. Respondent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농장형 도시농업 활동지(이하 ‘농장’)를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여 참여 도시민들의 활동 특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참여자들의 특성과 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농장형 도시농업의 계획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농업 영역이 넓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농장형 도시농업이 여전히 주요한 영역이 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농장형 도시농업 활동 특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선호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계획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농장을 유지ㆍ보완하거나, 새롭게 농장을 개설함에 있어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농장형 도시농업 참여자들의 활동 특성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선호를 분석하고자 입지와 운영주체로 구분하여 조사 대상지를 선정, 이용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농장의 입지와 운영주체가 다를 경우, 도시농업 활동에 대한 선호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입지는 도심 내와 도시 근교로, 운영주체는 관주도형과 민간주도형으로 구분하고, 이 중 민간주도형을 다시 개인 운영 농장과 NGO 운영 농장으로 나누어 총 9개 대상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농장형 도시농업 활동 특성과 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농장형 도시농업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농장형 도시농업은 개설주체와 이용주체 간 소규모 농지의 단기 임대차를 통해 다수의 이용자가 경작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농업 형태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주말 농장, 체험농장, 가족농장, 시민농원 등으로 지칭 되는 형태들을 포괄한다.
  • 본 연구는 농장형 도시농업에의 다양한 참여 형태와 발전 가능성에 주목하여 농장형 도시농업의 계획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2011년을 기준으로 전국의 농장형 도시농업은 총 485ha로 76만 6,000명이 참여하고 있을 정도로 양적으로 성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Song 2013), 질적으로는 그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본 연구는 다수의 도시민이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농장형 도시농업의 다양한 발전 가능성에 주목하여 농장형 도시농업 활동 특성을 유형화하고 이들의 인구사회적 특성 및 선호를 분석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농장형 도시농업의 계획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도시농업 활동 형태에 관한 자료 수집을 위해 여러 특성의 조사 대상지를 선정하고, 이용자들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활동 특성에 따른 유형화 결과를 실증적으로 도출하였다는 데에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 본 연구는 도시농업 영역이 넓어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농장형 도시농업이 여전히 주요한 영역이 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농장형 도시농업 활동 특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선호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계획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농장을 유지ㆍ보완하거나, 새롭게 농장을 개설함에 있어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농장형 도시농업 활동 특성의 유형화를 위해 이단계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단계 군집분석을 위해 운영주, 농작물 재배 동기, 활동지 선택 요인, 이용 경력, 재배 면적, 이동수단, 이동시간, 방문횟수, 체재시간, 동반자 등 활동 실태에 관한 변수들을 투입하였으나, 범주형 변수로 ‘재배동기’, ‘운영주’, ‘교통수단’을, 연속형 변수로 ‘편도 소요시간’, ‘재배면적’, ‘월 평균 방문횟수’를 투입하였을 때 군집 품질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군집 모델로 확정하였다.
  • 이처럼 농장형 도시농업을 여러 기준으로 분류한 사례들이 있지만, 본 연구는 농장형 도시농업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통해 실증적으로 유형화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아울러 각 유형에 속한 참여자들의 특성 및 선호를 분석하여 농장형 도시농업의 향후 계획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농장형 도시농업 활동 실태 파악을 위해 농작물 재배 동기, 종장 선택 요인, 이용 경력, 재배 면적, 이동수단, 이동시간, 방문횟수, 체재시간, 동반자 등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선호 형태로서 희망 면적, 희망 이동 거리, 희망 시설 또는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서 성별, 연령, 소득, 주택유형, 초등학생 이하 자녀 유무 등에 대해 질문하였다.
  • 즉, 본 연구는 농장형 도시농업 활동 특성에 따라 유형화를 시도하고 유형별 참여자들의 특성 및 선호를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농장형 도시농업 계획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로서 선행연구와 차별된다.

가설 설정

  • 이단계 군집분석에서 개체간 거리는 로그-우도(log-likehood) 또는 유클리디안(Euclidean) 거리에 따라 계산되는데, 자료가 범주형을 포함하는 경우 로그-우도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Huh 2007). 로그-우도는 범주형 변수에 대해서는 다항분포 (multinomial distribution)를, 연속형 변수에 대하여는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를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어촌정비법에서 정의한 주말농원사업이란 무엇인가? 0㎡ 정도의 소규모 밭을 임대하여 가족 단위로 채소류 등을 재배할 수있도록 제공하는 형태를 가리킨다. 농어촌정비법 에서는 ‘주말농원사업’을 농어촌 관광휴양사업의 하나로 분류하여 ‘주말영농과 체험영농을 하려는 이용객에게 농지를 임대하거나 용역을 제공하고그 밖에 이에 딸린 시설을 갖추어 이용하게 하는 사업’으로 정의하고 있다. 주말농장은 도시농업의 여러 형태 중에서도 보편적 다수가 손쉽게 참여할 수 있어 도시농업 수요를 가장 폭넓게 수용할 수 형태이기 때문에,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여러 도시농업 형태들에 못지않게 여전히 주요한 영역이다.
농장형 도시농업의 유형은 운영 형태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농장형 도시농업 유형은 기준에 따라 달리 분류된다. 가장 일반적으로는 운영 형태에 따라 텃밭재배형과 자연학습장으로 구분된다(Kim 1997; Na et al. 2000).
농장형 도시농업에 포함되는 형태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연구는 농장형 도시농업 활동 특성과 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농장형 도시농업의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농장형 도시농업은 개설주체와 이용주체 간 소규모 농지의 단기 임대차를 통해 다수의 이용자가 경작 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도시농업 형태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일반적으로 주말 농장, 체험농장, 가족농장, 시민농원 등으로 지칭 되는 형태들을 포괄한다.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농장형 도시농업 활동지(이하 ‘농장’)를 조사 대상지로 선정하여 참여 도시민들의 활동 특성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참여자들의 특성과 선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농장형 도시농업의 계획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n CH, Lee KO, Park YJ, Lim SB, Kim KI, Kim IH, Lim JH, Lee BE, Yoon IS (2013) Current condition and new attempt in urban agriculture. Urban Inform Service 377, 3-2 

  2. Choi JM (2010)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kleingarten model in terms of Japanese kleingarten. J Korean Soc Rural Plan 16(3), 51-66 

  3. Huh MH (2007) SPSS classification analysis. Datasolution: Seoul, pp48-85 

  4. Huh SS (2006) The management status and activated plan in the weekend farm of the individual manages at the Seoul suburb. Ma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5. Hwang JI (2010a) Segment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urban farmers behavior.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1(4), 619-631 

  6. Hwang JI (2010b) Current condition and awareness on urban agricultur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7. Kim MH (2011) Study on the community garden model utilizing a small vacant space in the urban a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8. Kim JK (2010) Gyeonggi kleingarten development methods and strategie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Suwon 

  9. Kim JW(2007) A proposal for Korean styles of weekend-stay farm through some case studies in foreign countries. Ma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10. Kim SS, Lee CS, Ju DJ (2002) A study on socioeconomic effects of participation in weekend farming. Korean J Ag Ext 9(1), 29-41 

  11. Kim YA (1997) A study on the analysis of using weekend farms : in the Seoul areas.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12. Kwon KC (1995) A study on current condition and improving strategy of weekend farming. Mater's Thesis, Korea University 

  13. Lee EH, Kim YA (1998) An analysis of weekend farm usage in Seoul. J Korean Inst Landsc Archit 26(1), 83-95 

  14. Lee MS, Park DB (2006) Service quality in civic garden and marketing strategies. J Rural Tour 13(2), 19-39 

  15. Na SI, Jo LW, Kim EW (2000) The educational values of participation in weekend gardening. J Korean Ag Educ 32(2), 141-160 

  16. Park DB, Lee SD, Lee HH, Lee MS, Jan MJ (2006) Exploring the allotment gardens and its implication : case study on kleingarten in German, dacha in Russia and civic garden in Japan. J Korean Soc Rural Plan 12(2), 78-85 

  17. Park DB, Lee SY, Lee MS, Chae JH, Hwang DY (2008) Development of family garden model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Suwon 

  18. Park DB, Son EH, Kim KH (2009a) Dweller's requirements analysis for improving community garden with log house in rural areas.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20(1), 33-49 

  19. Park DB, Yoon YH, Lee MS (2009b) Recreational tourism products development of farms : an application of conjoint analysis. J Tourism Sci 33(1), 303-325 

  20. Shin DI (2005) Studies on development scheme and the recognition survey of participant and status of weekend farm in peri-urban of Seoul city. Ma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21. Shin SG, Kwon YH, Sim WK (2001) Development of the space model and fostering of the weekend farm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4(2), 11-20 

  22. Song JS (2013) Current condition and development strategy of urban agriculture. world food, Agriculture Fisheries 591(55), 54-60 

  23. Song TK (2008) Kleingarten promotion strategy. Regioninfo 138. Jeonnam Research Institute: Muan 

  24. Yoon YS, Park DB, Lee MS (2009) Segment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rural tourists behavior applied by two stage cluster and multi nominal logit model. Korea Acad Soc Tour Manag 23(4), 337-355 

  25. Yu CJ, Jang DH (2002)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city residents on weekend farms. J Rural Soc 12(1), 63-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