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가맞춤형 기상서비스 시범사업
User-specific Agrometeorological Service to Local Farming Community: A Case Study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5 no.4, 2013년, pp.320 - 331  

윤진일 (경희대학교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  김수옥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김진희 ((재)국가농림기상센터) ,  김대준 (경희대학교 식물환경신소재공학과)

초록

재단법인 국가농림기상센터는 지난 3년간 기상청의 재정지원으로 기후스마트농업의 전제조건인 개별농장 수준의 기상위험 관리서비스를 설계하였다. 이 서비스는 기존 기상청 관측 및 예보시스템 외에 추가적인 자원소모 없이 해당 농지에 주어진 기상조건을 재배중인 작물의 종류와 그 발육단계에 맞게 '기상위험지수'로 정량화하고, 이를 평년기준과 비교하여 재해발생 가능성을 농민에게 일대일로 전달한다. 서비스 실용화에 필요한 기상실황 및 예보의 경관규모 추정기술, 시범 집수역 내 필지별 경과기상 및 예보에 근거한 작목 맞춤형 기상위험 산정기술을 개발하고, 이들 기술의 통합 및 시스템화를 완료하였다. 단일 집수역인 경남 하동군 악양면을 선정하여 이 시스템을 설치하고 230농가 400필지를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구현하였다. 이 과정에서 얻어진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향후 농업부문의 기상이변 대응 조기경보서비스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ional Center for AgroMeteorology (NCAM) has designed a risk management solution for individual farms threatened by the climate change and variability. The new service produces weather risk indices tailored to the crop species and phenology by using site-specific weather forecasts and analys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발된 기술과 데이터베이스를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안정화시켜 실제 영농현장에 기여할 수 있는 형태의 서비스시스템으로 구현하고자 하였다. 서비스 대상지역은 전술한 경남 하동군 악양면으로서 지리산 남쪽 기슭 두 개의 분수령에 의해 생성된 총 면적 52.
  • 본 사업에서 추구하는 농가맞춤형 기상서비스는 이러한 영농현장의 수요에 능동적으로 부응하기 위한 것이다. 농업은 그 어떤 산업보다도 기후변화의 영향을 조기에, 직접적으로, 가장 심각하게 받을 것으로 예견되는 분야이다.
  • 본 사업에서 추구하는 위험관리서비스에서는 ‘악기상’에 의한 산사태, 홍수 등 대규모 급발성 자연재해보다는 통상적인 기압계 조건에서 필지단위 기상위험을 미리 파악하여 이곳에서 생육중인 농작물의 동상해, 냉해, 가뭄해, 습해, 풍해를 경감하기 위한 방안을 농민에게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 ● Django Apps: Python 기반 웹 프레임워크이다. 본 프로젝트에서는 관측소별/농가별 벡터 자료를 관리하고, 작물별 위험지수에 따른 대응지침 추출 등의 로직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웹 서비스의 UI 관련 부분은 클라이언트 상에서 거의 웹앱 형태로 구현이 되었기 때문에 템플릿 엔진에 대한 의존도가 높지는 않다.
  • 이에 따라 기상청 기본정보의 수집, 농업기상정보의 생산, 해당 필지 재배농가 배포 등 개별농가 수준의 기상위험 관리를 위한 서비스를 설계하였고 이를 연구대상지역 내 230개 농가 및 400개 필지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으로 구현하였다. 이 강좌에서는 연구를 통해 얻은 경험과 성과를 소개함으로써 향후 농업부문의 기상이변대응 조기경보서비스의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 단일 집수역인 경남 하동군 악양면을 선정하여 이 시스템을 설치하고 230농가 400필지를 대상으로 시범서비스를 구현하였다. 이 과정에서 얻어진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향후 농업부문의 기상이변 대응 조기경보서비스 구축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상이변이란 무엇인가? 지금 진행 중인 기후변화의 양상은 기온, 강수량의 평균값 변화는 물론, 연차변이와 극기상 빈도의 증가로 요약되며, 농가 입장에서는 장기간에 걸친 평균값의 증가보다는 기상이변과 극기상이 더욱 위협적이다(기상청, 2012; 2013). 기상이변이란 평년기후의 정상적인 변동범위를 벗어나는 날씨양상이며 이것이 재배 중인 작물에게 피해를 입힐 가능성은 ‘기상위험’으로 표현할 수 있다. 기존의 농업부문 적응대책은 대개 평균값의 증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기상위험이 가시화되거나 이미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에만 다중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현행의 기상정보로는 영농현장의 대응이 쉽지 않다.
EDI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기존 가뭄지수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개발된 EDI (Effective Drought Index)는주어진 날로부터 1년 전 강수량까지 가중치를 둔 누적유효강수량(EP, Effective Precipitation)에 근거하는데, 당해연도 EP와 30년 평균 EP 간 편차를 표준화한 것이다(Byun and Wilhite, 1999). 하지만 과거 어느 시점까지의 강우가 지금 상태에 영향을 주는 지에 대한 해석이 어려우며 농작물의 생육과 직결되는 토양수분이 고려되지 않아 농업부문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문경환(2008)은 EDI를 기반으로 하되 지수 계산단위를 주 단위로 늘리고 2개월 동안 가중치를 두어 분배하였으며, 여기에 기준증발산을 추가함으로써 제주지역 농업가뭄 평가에 활용한 바 있다.
농가 맞춤형 기상위험관리란 무엇인가? ‘농가 맞춤형 기상위험관리’는 기존 기상청 관측 및 예보시스템 외에 추가적인 자원소모 없이 해당 농지에 주어진 기상조건을 재배중인 작물의 종류와 그 발육단계에 맞게 ‘기상위험지수’로 정량화하고, 이를 평년기준과 비교하여 재해발생 가능성을 농민에게 일대일로 전달하는 새로운 개념의 농업기상서비스이다. 이 서비스의 구현을 위해서는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yun, H. R., and D. A. Wilhite, 1999: Objective quantification of drought severity and duration. Journal of Climate 12, 2747-2756. 

  2. Chung, U., S. O. Kim, and J. I. Yun, 2008: Plant hardiness zone mapping based on a combined risk analysis using dormancy depth index and low temperature extremes - a case study with "Campbell Early" grapevin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0, 121-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n, J. H., K. S. Cho, J. J. Choi, H. S. Hwang, C. G. Kim, and T. C. Kim, 2010: Estimation of changes in full bloom date of 'Niitaka' pear tree with global warming.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8(6), 937-9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Lopes, A. M. G., 2003: WindStation - a software for the simulation of atmospheric flows over complex topography.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18, 81-96. 

  5. Westwood, M. V., 1992: Temperate-zone pomology physiology and culture (3rd Ed.), Timber Press. pp523. 

  6. Yun, J. I., 2009: A simple method using a topography correction coefficient for estimating daily distribution of solar irradiance in complex terrai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1), 13-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Yun, J. I., 2010: Agroclimatic maps augmented by a GIS technolog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 63-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국가농림기상센터, 2013: 악양의 기후(ISBN 978-89-268-4669-8). 

  9. 기상청, 2012: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극한현상 및 재해위험 관리 (정부발간물등록번호 11-1360000-00858-14), IPCC 특별보고서번역본 (원본출처 http://www.ipcc.ch). 

  10. IPCC 특별보고서번역본 (원본출처 http://www.ipcc.ch). 

  11. 문경환, 2008: 제주도 농업에 적합한 새로운 가뭄지수. 난지농업연구 6, 31-38. 

  12. 특허등록 10-0925878, 냉기유입량이 일 최저기온에 미치는 영향의 정량화 방법. 

  13. 특허등록 10-1257874, 폐쇄집수역의 일 최저기온 분포 추정방법, 

  14. 특허등록 10-2012-154298, 냉기호지대 일 최저 기온에 미치는 바람효과 정량화시스템 및 그 방법. 

  15. 특허등록 10-1055290, 임의 경사면 상 일 적산일사량 추정방법. 

  16. 특허등록 10-1040621, 미관측 경사면 상의 일 최고기온을 인근 기상대자료로부터 추정하는 방법. 

  17. 특허출원 10-2008-0013499, 표고편차를 고려한 국지기온의 추정방법 및 그 추정시스템. 

  18. 특허출원 10-2008-0013500, 도시열섬효과를 고려한 기온분포도 작성방법 및 그 작성시스템. 

  19. 특허출원 10-2013-159888, 기상청 발표 강수량 실황 및 예측정보의 농산촌 경관규모 상세화 기술. 

  20. http://www.climatesmartagriculture.org/en/, 2013.12.9 

  21. http://www.fao.org/climatechange/climatesmart/en/, 2013. 12. 9. 

  22. http://www.sciencetimes.co.kr, 2013. 12. 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