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ational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publish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provides the foundations in research, nutrition monitoring, policy and dietary practices in Korea. This databases consists of several sets of data including food descriptions, nutrients, portion we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촌진흥청에서 1970년부터 발간되어 1981년부터 매 5년마다 발간되어 현재 2011년 제 8개정판까지 발간된 국가표준 식품성분표, 미량성분과 특수성분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짐에 따라 발간된 기능성성분표, 소비자들의 생애주기 및 질병에 따른 소비자맞춤형 성분표의 구성 목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식품성분표의 이용 현황은 국가, 업체, 학계, 개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어 지는지 연구하였으며 정보의 검색 및 활용을 넘어서 이용자에 의해 특별한 목적으로 활용되고자 할 경우 “기술이전”이라는 절차를 통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조사하였다.
  • 식품성분표의 이용 현황은 국가, 업체, 학계, 개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떻게 사용되어 지는지 연구하였으며 정보의 검색 및 활용을 넘어서 이용자에 의해 특별한 목적으로 활용되고자 할 경우 “기술이전”이라는 절차를 통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을 조사하였다.
  • 이에 본 논문을 통하여 현재까지 농촌진흥청에서 발간되어온 국가표준식품성분표 및 기능성성분표, 소비자 맞춤형 식품성분표에 대하여 그 구성 목록을 정리하고, 이용 및 활용 현황을 조사하여 제시함으로써 국가식품성분데이터 베이스를 제공하는 중심 국가기관인 농촌진흥청의 식품성분표에 대한 체계화된 정보제공 및 향후 식품성분표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모색하여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표준식품성분표 발간 기관은? 국가표준식품성분표는 식품산업진흥법 제19조에 의해 농촌진흥청에서 발간되며, 국가의 식품 수급을 세우는데 쓰일 뿐만 아니라, 국민식량자원 개발 연구, 식생활 개선 연구와 지도, 그리고 학교나 산업체와 같은 단체급식이나 일반 가정의 식단 작성에 이르기까지 가장 널리 활용된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1). 이 밖에도 임상연구, 역학연구, 식이요법, 식단작성, 식품개발, 영양교육, 환자교육 등 모든 인체영양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초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국가표준식품성분표는 어떤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초자료로 이용되는가? 국가표준식품성분표는 식품산업진흥법 제19조에 의해 농촌진흥청에서 발간되며, 국가의 식품 수급을 세우는데 쓰일 뿐만 아니라, 국민식량자원 개발 연구, 식생활 개선 연구와 지도, 그리고 학교나 산업체와 같은 단체급식이나 일반 가정의 식단 작성에 이르기까지 가장 널리 활용된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1). 이 밖에도 임상연구, 역학연구, 식이요법, 식단작성, 식품개발, 영양교육, 환자교육 등 모든 인체영양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초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Kim 등(2011)은 식품성분표가 체중 감량 및 비만 예방 등 영양 관리 콘텐츠 개발을 위한 게임 또는 스마트폰용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도 활용되고,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관상동맥심장질환, 제2형 당뇨병 90%, 암의 33%를 식이요법과 신체활동을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식품 섭취 상태 평가 및 기본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국가 식품 성분표의 인프라 구축의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국가표준식품성분표는 어디에 활용되는가? 국가표준식품성분표는 식품산업진흥법 제19조에 의해 농촌진흥청에서 발간되며, 국가의 식품 수급을 세우는데 쓰일 뿐만 아니라, 국민식량자원 개발 연구, 식생활 개선 연구와 지도, 그리고 학교나 산업체와 같은 단체급식이나 일반 가정의 식단 작성에 이르기까지 가장 널리 활용된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1). 이 밖에도 임상연구, 역학연구, 식이요법, 식단작성, 식품개발, 영양교육, 환자교육 등 모든 인체영양 분야에서 필수적인 기초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uja JK, Moshfegh AJ, Holden JM, Harris E. 2013. USDA food and nutrient databases provide the infrastructure for food and nutrition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J Nutr 143: 241S-9S 

  2. Choe JS, Chun HK, Park HJ. 2001. International comparison of food composition table.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2:119-135 

  3. Jung IK, Han GJ, Choe JS, Lee JW.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ood nutrient data base by portion commonly used’. Rural Life Sci 24:175-193 

  4. Kim EY, Kim YN. 1994. A study on revision direction of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Korean J Nutr 27:192-206 

  5. Kim SY, Kang MS, Kim SN, Kim JB, Cho YS, Park HJ, Kim JH. 2011. Food composition tables and national information network for food nutrition in Korea. Food Sci Ind 44:2-20 

  6.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008. Dictionar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7. Pennington JAT, Stumbo PJ, Murphy SP, McNutt SW, Eldridge AL, McCabe-Sellers BJ, Chenard CA. 2007. Food composition data: the foundation of dietetic practice and research. J Am Diet Assoc 107:2105-2013 

  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70. Food Composition Table first edition. pp. 1-79 

  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77. Food Composition Table 1th revision. pp. 1-136 

  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81. Food Composition Table 2th revision. pp. 1-149 

  1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86. Food Composition Table 3th revision. pp. 1-175 

  1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1. Food Composition Table 4th revision. pp. 1-295 

  1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996. Food Composition Table 5th revision. pp. 1-696 

  1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1. Food Composition Table 6th revision. pp. 1-439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2. Food Nutrient Data base by Portions Commonly Used first edition. pp. 1-287 

  1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Food Composition Table 7th revision. pp. 1-453 

  1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9. Table of Food Functional Composition 1st edition. pp. 1-450 

  1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9a. Food Nutrient Data base by Portions Commonly Used 1th revision. pp. 1-351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9b. User-friendly Food Composition Table for Children. pp. 1-383 

  2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 Table of Food Functional Composition MINERAL/FATTY ACID. pp. 1-179 

  2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0a. User-friendly Food Composition Table for Elderly. pp. 1-319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Food Composition Table 8th revision. pp. 1-636 

  2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a. Table of Food Functional Composition AMINO ACID. pp. 1-387 

  2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b. Nutrition guideline for the healthy diet with real size object. pp. 1-319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 FAT-SOLUBLE VITAMIN COMPOSITION TABLE. pp. 1-249 

  2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a. Table of Food Functional Composition CHOLSETEROL EDITION. pp. 1-180 

  27.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2b. Food Nutrient Data base by Portions Commonly Used 2th revision. pp. 1-461 

  28. WHO, FAO. 2002. Report of the joint WHO/FAO expert consultation on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2002: 9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