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수학영재 선발전형에 활용되는 교사 관찰 추천서의 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Letter by Teacher' Which is Utilized in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Screening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6 no.3, 2013년, pp.229 - 250  

김종준 (대구용계초등학교) ,  류성림 (대구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영재 선발을 위해서 도입된 관찰 추천 선발제도에서 교사 관찰 추천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현재 영재 선발전형의 일환으로 제출되는 교사 관찰 추천서를 분석하고 적절한 평가 모형을 개발하여 교사 관찰 추천서의 객관성 확보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2년 D광역시 소재 D대학부설 영재교육원 선발의 1차 전형에 통과한 초등수학영재 60명에 대한 교사 관찰 추천서이다. 연구 결과 교사 관찰 추천서에 나타난 수학 영재행동특성으로 구체적인 사례보다는 피상적인 진술을 하는 경향이 많았으며, 연구자가 고안한 교사 관찰 추천서의 분석 틀에 따라 빈도분석을 한 결과 특정 문항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관찰하고 서술하기 용이한 부분이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부분이 있거나 영재의 특성으로 판단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관찰 추천을 하기에 앞서 학생의 영재행동특성을 서술할 수 있는 좀 더 세분화된 교사 관찰 추천서 양식의 개발 및 영재의 관찰 추천과 관련된 교사연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교사 관찰 추천서에 나타난 영재행동특성에 대해서 Rubric 모형을 적용하여 점수화한 값을 기반으로 한 채점자간의 신뢰도는 1차 채점 시에는 상관계수가 .641이었고, 채점 과정에 대한 협의를 거친 후 3주 후에 실시한 2차 채점 시에는 .732로 다소 상승하였다. 이는 1차 채점 이후에 협의과정을 거치면서 채점자간의 엄격성을 조정하였으며, 서술형이기에 나타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에서의 세부적인 판단 기준을 세우고, 새롭게 나타난 상황에 대한 점수 부여의 합의점을 찾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초등수학영재 판별을 위해서는 적절한 모형의 개발만큼이나 평가 모형에 대한 채점자들의 엄밀한 이해와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observation and recommendation letter by teacher', which is being submitted to screen and enhance the utilization of gifted students in accordance with recently introduced gifted students observation, recommendation and screening system. For the purpose, thi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교육 진흥법 제 1조에 규정된 사항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영재교육 진흥법 제 1조는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조기에 발굴하여 능력과 소질에 맞는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개인의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고 개인의 자아실현을 도모하며 국가와 사회의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이다.
영재교육 진흥법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통해 영재를 선발하였는가? ’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 되고, 2002년 시행된 이후 지금까지 영재학급 및 영재교육원에서는 교사추천, 지필시험, 심층면접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영재를 선발하였다.
관찰·추천을 통한 영재의 선발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실제로 최초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추천이나 마지막 단계의 심층면접은 다분히 주관적인 성격 때문에 전체 선발 과정에서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형식적인 경우가 많으며 2~3단계에서 치러지는 지필검사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김미숙, 2007). 따라서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관찰·추천을 통한 영재의 선발은 지필검사에 의존하여 일어날 수 있는 사교육 시장 확대 방지 및 소외 영재를 발굴할 수 있는 보완책이라 할 수 있다. 한 번의 지필시험에 의해 선발 되는 것이 아닌 지속적인 관찰에 의해 발견되는 학생의 영재성을 담임 또는 교과교사가 기록하여 영재의 판별에 활용한다면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미숙 (2007). 한국의 영재 선발 현황과 개선 방향. 영재선발의 세계적인 동향 개선 방향을 위한 국제 심포지엄. 연구자료 RM 2007-45. 한국교육개발원. Kim, M. S. (2007). Identifi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Korea: The current situation and search for the new direction.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 김성찬.김성연.한기순 (2012). 관찰.추천에 의한 수학영재 선발 시 사용되는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 평가에 대한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활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6(3), 251-271. Kim, S. C., Kim, S. Y., & Han, K. S. (2012). An application of generalizability theory to self-introduction letter and teacher`s recommendation letter used in identification of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by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6(3), 251-271. 

  3. 류지영.정현철 (2010).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 모형 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257-287. Ryu, J. Y., & Jung, H. C. (2010). Identification model development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clas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Journal of Gifted Talented Education, 20(1), 257-287. 

  4. 박혜정 (2011). 관찰.추천 영재 선발 시 사용되는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의 평가 자간 신뢰도 분석.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ark, H. J. (2011). Analysis of interrater reliability of self introduction letter and teacher's recommendation letter used in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by clas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Master dissertation, Incheon University. 

  5. 성태제 (2002).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Sung, T. J.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Seoul: Hak-ji-sa 

  6. 신윤주 (2010). 관찰.추천에서 나타난 과학영재 행동특성의 경향 : 교사 추천서와 학생 자기소개서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Sin, Y. J. (2010). Analysi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with teachers recommendations and students self-nominations.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7. 우미란.김선자.박종욱 (2012). 관찰.추천 전형으로 선발된 학생들의 교사추천서와 프로그램 수행의 관련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22(1), 173 - 196. Wu, M. R., Kim, S. J., & Park, J. W. (2012).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of teacher's recommendation and performance in gifted programs for the selected student by teacher'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Journal of Gifted Talented Education, 22(1), 173 - 196. 

  8. 이인혜 (2011). 한국어 쓰기 평가의 채점 방식에 따른 채점자 신뢰도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ee, I. H. (2001). A study on the rater reliability according to assessment type in writing assessment in Korean. Master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9. 이인호.한기순 (2009).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19(2), 381-404. Lee, I. H., & Han, K. S. (2009) The analysis of teacher's recommendation usefulness in selecting scientific gifted students. Journal of Gifted Talented Education. 19(2), 381-404. 

  10. 정정인.박종욱 (2011). 관찰추천에 의한 초등과학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나타난 문제점: 교사 추천서 분석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0(3), 1-12. Chung, J. I., & Park, J. W. (2011). An analysis of the selection proces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by teacher`s recommendation focused on analysis of teacher`s recommendation letters. Teacher Education Research. 50(3), 1-12. 

  11. 최호성.박후휘.김일 (2011). 교사 관찰.추천제를 활용한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방식에 대한 부산지역 초등학교 학부모의 인식과 태도. 영재교육연구, 21(2), 407-426. Choi, H. S., Park, H. H., & Kim, I. (2011). Parents' recognitions and attitudes on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using observation and nomination by teachers in Busan. Journal of Gifted Talented Education. 21(2), 407-426. 

  12. Renzulli, J. S. (1986).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13.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 Hartman, R K. (2001). Scales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rev. ed.). Manual and nine rating scales. Mansfield Center, CT : Creative Learning Pres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