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관찰.추천에 의한 수학영재 선발 시 사용되는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 평가에 대한 일반화가능도 이론의 활용
An Application of Generalizability Theory to Self-introduction Letter and Teacher's Recommendation Letter Used in Identification of Mathematical Gifted Students by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6 no.3, 2012년, pp.251 - 271  

김성찬 (인천대학교) ,  김성연 (인천대학교) ,  한기순 (인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관찰 추천 수학영재선발 시 사용되는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 평가에서 발생하는 오차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를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으로 실시했을 때 채점 방법에 따른 일반화가능도계수의 최적화 측정 조건을 탐색하고, 이를 전통적인 신뢰도 추정방법과 비교하였다. 2011학년도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관찰-추천 영재 선발에 지원한 90명의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에 대해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으로 2명의 교사가 각각 점수를 부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의 평가에 있어 채점방법에 따른 공통점은 피험자 관련 분산이 크게 나타났으며, 차이점은 총체적 채점이 분석적 채점보다 채점자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적정수준의 일반화가능도계수를 얻기 위해서 채점자를 2명으로 고정하는 경우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에서 총체적 채점은 각각 내용영역이 5개, 10개 이상이 요구되어졌으며, 분석적 채점은 각각 내용영역을 4개로 고정한 경우 문항이 3개 이상, 내용영역을 6개로 고정한 경우 문항이 8개 이상이 요구되어졌다. 셋째,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 모두 채점 방법과 상관없이 문항만을 오차요인으로 보는 Cronbach ${\alpha}$가 신뢰도를 과대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적정수준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채점자, 내용영역, 문항수와 같이 다양한 오차요인을 반영하는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determine error sources and the effects of each error source, 2) to investigate optimal measuring conditions from holistic and analytic scoring methods, and 3) to compare the value of reliability between Cronbach's alpha and the generalizability coefficient in s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2011년도 수도권의 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선발에 활용된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평가에서 발생하는 평가의 오차요인과 각각의 오차요인이 평가에 끼치는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평가를 실시할 때 일반화가능도 계수의 최적화 조건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평가에 있어서 채점자, 평가 문항 및 평가 영역은 채점이 달라질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영향력과 신뢰도를 연구하는 것은 영재 선발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위해서 꼭 필요한 일일 것이다.
  • 그리고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채점기준표를 작성하여(박성익 외, 2003; 박종률, 2008; 송상헌, 2006; 최영기, 도종훈, 2004) 총체적 채점방법과 분석적 채점방법으로 나누어 각각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 평가에서 총체적 채점방법과 분석적 채점방법이 검사 점수의 일반화가능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평가의 효율적인 측정조건을 탐색하여 향후 본격적으로 활용되어지게 될 이러한 자료의 활용에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평가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 영재 선발에 있어서 자기 소개서 및 교사 추천서의 채점 방법을 어떤 것으로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나와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자기 소개서와 교사 추천서를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으로 비교 채점하여 어떤 방법이 더 효과적이고 객관적인지에 대한 연구와 구체적으로 어떤 기준에서 더 신뢰로운 채점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1학년도 전국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영재 선발을 하였는가? 2011학년도 전국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는 관찰․추천 방식으로 영재 선발을 하였다. 1차 전형에서 1.
선발고사 중심의 판별체제의 단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결정의 배후에는 무엇보다 기존의 영재선발체제에 대한 강한 불신감이 팽배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선발고사 중심의 판별체제에서는 영재성과 무관하게, 별도의 사교육이나 선행학습을 통해 ‘준비된’영재가 선발될가능성이 높으며, 이 과정에서 이러한 학습기회가 상대적으로 결여된 특정 집단의 영재가 지속적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높다(한기순, 이정용 2011; 한기순, 오윤석, 2011). 그러므로 교과부의 새로운 정책적 제안은 고도의 문제해결력이나 검사테크닉에 대한 선행학습의 영향으로 ‘진정한’ 영재의 선발이 어려워졌다는 우려(영재판별의 타당성 문제)와 그 동안 판별에서 놓쳐 왔던 잠재력 있는 많은 소외 영재들에 대한 관심과 배려(영재판별의공정성 문제)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초등 심화 영재 선발 시 1단계 서류심사 중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 평가에서 발생하는 오차요인 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를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으로 실시했을 때 채점 방법에 따른 일반화가능도계수의 최적화 측정 조건을 탐색하고, 이를 전통적인 신뢰도 추정방법과 비교하여 얻은 결론 및 논의는 무엇인가? 첫째,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에서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 방법의 각 요인들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 분석결과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두 채점 방법의 공통점은 피험자 관련 분산이 내용영역, 문항 수, 채점자 수의 영향보다 크다는 점이다. 이는 학생들 개인 간의 영재성에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에 차이점은 총체적 채점이 분석적 채점보다 채점자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이는 총체적 채점의 채점 기준이 분석적 채점 방법보다 채점자의 주관성을 더 쉽게 반영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며, 과학과 수행평가를 다룬 선행 연구결과(이규민․황경현, 2007)와 일치한다. 둘째,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에서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 방법에 따라 적정 수준인 0.8 이상의 일반화 가능도계수를 얻기 위한 최적의 측정 조건을 탐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사추천서 총체적 채점의 경우 내용영역수를 2개로 한정할 경우 채점자수는 4명 이상이어야 하며, 3~4개로 한정할 경우 채점자수는 3명 이상이어야 하며, 5개로 한정할 경우 채점자수는 2명 이상을 필요로 한다. 분석적 채점의 경우 내용영역수를 4개로 한정할 경우 문항수가 2개일 때 채점자수는 3명, 문항수가 3개 이상일 때 채점자수는 2명이상을 필요로 한다. 다음으로 자기소개서 총체적 채점의 경우 내용영역수를 3개로 한정할 경우 채점자수는 5명 이상이어야 하며, 4~5개로 한정할 경우 4명 이상, 6개로 한정할 경우 3명 이상을 필요로 하며 채점자 수가 2명으로 .8이상의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내용영역 수가 10개 이상으로 많이 요구되었다. 분석적 채점의 경우 내용영역을 4개로 한정할 경우 문항수가 4개인 경우 채점자수는 4명 이상이, 그리고 채점자수를 2명으로 한정할 경우 내용영역이 6개인 경우 문항수는 8개 이상이 요구되었다. 또한 원자료의 경우에는 교사추천서를 분석적 채점방법에 따라 채점한 경우만이 0.8 이상의 일반화가능도계수를 얻을 수 있었다. 총체적 채점 방법과 분석적 채점 방법 모두 채점자 수를 늘리는 것이 일반화 가능도 계수를 더 크게 높일 수있는 방법이지만 실용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채점자 수보다는 내용영역과 문항수를 늘리는 것이 보다 경제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그러나 자기 소개서의 총체적 채점 경우는 채점자가 2명인 경우 내용영역수를 크게 증가시키더라도 신뢰도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분석적 채점의 경우 역시 내용영역 6개, 문항수 8개로 많은 내용영역과 문항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채점 기준표를 바탕으로 엄격한 채점자 훈련을 실시함으로써 채점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전통적인 신뢰도 추정방법인 Cronbach α와 일반화가능도계수를 비교한 결과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 모두에서 채점 방법과 상관없이 Cronbach α가 더 높은 값을 보여주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는 문항만을 오차요인으로 보는 Cronbach α가 신뢰도를 과대 추정한다는 많은 선행연구와 일치한다. 따라서 채점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채점자, 내용영역, 문항수와 같이 다양한 오차요인을 반영하는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통해 보다 정밀한 신뢰도를 추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교육과학기술부 (2010). 올해부터 시험 없이 과학영재 발굴. 교육과학기술부. 

  2. 김경선?이규민?강승혜 (2011).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한국어 말하기 성취도 평가의 신뢰도와 오차요인 분석, 한국어 교육, 21(4), 51-75. 

  3. 김성숙 (2001). 일반화가능도이론, 교육과학사. 

  4. 류지영?정현철 (2010).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20(1), 257-287. 

  5. 박성익?조석희?김홍원?이지현?윤여홍?진석언?한기순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교육과학사. 

  6. 박종률 (2008). 수학 영재교육 길잡이. 전남대학교 출판부. 

  7. 박혜정 (2010). 관찰?추천 영재 선발 시 사용되는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의 평가자간 신뢰도 분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송상헌 (2006). 수학 영재의 판별과 선발. 한국학술정보. 

  9. 이규민?황경현 (2007). 초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의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 방식에 대한 일반화가능도 분석, 아동교육, 16(4), 169-184. 

  10. 이신동?이정규?박춘성 (2008).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양성, 연수, 배치에 대한 기준 설정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7(1), 73-93. 

  11. 이인호?한기순 (2009).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에서 교사 추천의 효용성 분석, 영재교육연구, 19(2), 381-401. 

  12. 전현정 (2000). 중학교 영어 수행평가 과제의 채점방법과 채점자간 신뢰도 추정방법 비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조재윤 (2009).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이용한 쓰기 평가의 오차원 분석 및 신뢰도 추정 연구, 국어교육, 128, 325-357. 

  14. 지은림 (2000). 논술형 수행평가를 위한 채점방법들의 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6, 235-246. 

  15. 최영기?도종훈 (2004). 수학 영재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창의적 특성분석. 학교수학, 6(4), 361-372. 

  16. 한기순?이정용 (2011). 영재교사들이 지각하는 관찰?추천 영재판별 시스템의 방향, 중요도, 실행수준 분석. 영재교육연구, 21(1), 107-122. 

  17. 한기순?오윤석 (2011).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제의 가능성과 한계분석. 한국교육, 38(4),163-187. 

  18. Brennan, R. L. (2001). Generalizability Theory, Springer. 

  19. Crick, J. E., & Brennan R. L. (1983). Manual for GENOVA: A GENeralizaed Analysis Of VAriance System, ACT Technical Bulletin, 43, The American college Testing Program. 

  20. Lee, G., Brennan, R. L., & Frisbie, D. A. (2000). Incorporating the testlet concept in test score analyses.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19, 9-15. 

  21. Wainer, H., & Wang, X. (2000). Using a new statistical model for testlets to score TOEFL.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7(3), 203-2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