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공간시각화능력 및 수학성취도에 관한 연구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6 no.3, 2013년, pp.303 - 313  

박성선 (춘천교육대학교)

초록

공간능력은 수학의 직관적 관점과 수학적 이해 및 수학적 성취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228명을 대상으로 공간시각화능력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공간시각화 능력과 수학성취도, 공간시각화 능력과 공간시각화 검사시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공간능력은 남녀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공간능력은 학년수준에서 4학년보다는 5학년이 높았으며, 5학년보다는 6학년이 더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atial ability has been valued as one component of intelligence and associated with the achievements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disciplines and important in STEM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elementary school students' spatial ability and analy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의 공간능력을 조사하고 성별, 학년별 차이를 분석하여 공간능력의 향상과 수학성취도 향상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228명을 대상으로 공간시각화능력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공간능력 중 3차원 회전의 공간시각화 능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3차원 회전의 공간시각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성 선(2012)이 개발한 초등학생용 공간시각화검사를 사용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공간능력 중에서 3차원 공간의 시각화 능력을 측정하여 성별, 학년별 차이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성취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간능력을 공간회전능력으로 범위 좁혀서 3차원 회전의 시각화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공간시각화검사를 사용하였다.
  •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수학성취도를 보인다는 연구(Beller & Gafni, 1996; Hedges & Nowell, 1995)가 있지만, 남녀 사이에는 성차가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하더라도 그 효과는 매우 작다는 연구(Hyde, Fennema, & Lamon, 1990)도 있다. 수학성취도에서 남녀의 성별 차이를 설명하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그 차이에 대한 또 다른 매개 요인을 추적하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Benbow & Lubinski(1993)는 수학성취도에서의 성차에 영향을 주는 매개 요인으로 공간 능력을 주장하였으며, Crawford, Chaffin, & Fitton(1995)은 수학에 대한 태도를 주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간시각화능력을 조사한 결과는?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공간시각화 능력과 수학성취도, 공간시각화 능력과 공간시각화 검사시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공간능력은 남녀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공간능력은 학년수준에서 4학년보다는 5학년이 높았으며, 5학년보다는 6학년이 더 높게 나타났다.
공간능력이 중요하게 평가될 수 있는 이유는? 공간능력은 수학의 직관적 관점과 수학적 이해 및 수학적 성취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228명을 대상으로 공간시각화능력을 조사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의 공간 감각이란? 7차 교육과정에서는 공간 능력이라는 표현 대신에 공간 감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공간 감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공간 감각은 자기 주위의 상황과 그 물체에 대한 직감의 일부분으로, 공간 감각을 기르기 위해서 학생들은 기하학적 관계, 공간에서의 물체의 방향, 도형이나 물체의 상대적 모양에 초점을 둔 경험을 해야 한다” (교육인적자원부, 1997). 7차 교육과정에서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도형 영역에서 공간 감각이라는 항목을 신설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교육인적자원부 (1997). 초등학교 7차 교육과정. 서울:대한교과서주식회사.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1997).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manual IV: Mathematics, Science, Practical Course. Seoul: Daehan Textbook.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수학 지도서 6-1. 서울: 두산동아.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Mathematics teachers' guide 6-1. Seoul: Doosan-Donga. 

  3. 김혜정 (2003). 공간시각화 활동을 통한 기하학습이 공간감각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im, H. J. (2003). The effects of geometry learning through spatial visualization activities on spatial sensibility and communicative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류현아?정영옥?송상헌 (2007). 입체도형에 대한 6-7학년 수학영재들의 공간시각화 능력분석. 학교수학, 9(2), 277-289. Ryue, H. A., Chong, Y. O., & Song, S. H. (2007). Analysis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6th and 7th graders' spatial visualization ability of solid figures. School Mathematics, 9(2), 277-289. 

  5. 박성선 (2012). 초등학생용 공간 시각화 검사지 개발 및 표준화. 한국연구재단연구보고서. Park, S. S. (2012). The Development of Spacial Visualization Test for Elementary Students. Research Report.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6. 성은현 (1997). 여성과 남성은 인지적 측면에서 다른가?: 창의력, 공간지각력, 시각화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2(1), 30-43. Sung, E. H. (1997). Is there a gender differecne in the cognitive aspect?: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the visuo-spatial perception, strategy of the visualizati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Women, 2(1), 30-43. 

  7. 신준식 (1992). 공간감각 배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개발. 과학교육연구, 26, 39-68. Shin, J. S. (2002).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materials for cultivation of spatial sen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 39-68. 

  8. 황정규 (1984). 인간의 지능. 서울: 민음사. Hwang, J. G. (1984). Intelligence of human. Seoul: Minum. 

  9.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Hillsdale,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 Battista, M. T. (1990). Spatial visualization and gender differences in high school geometr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1, 47-60. 

  11. Battista, M. (2007). Learning with understanding: Principles and processes in the construction of meaning for geometric ideas. In G. Martin, M. Strutchens, & P. Elliot (Eds.),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007 Yearbook of the NCTM (pp. 65-80). Reston, VA: NCTM. 

  12. Beller, M., Gafni, N. (1996). The 1991 inter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he gender differences perspectiv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8, 365-377. 

  13. Benbow, C. O., & Lubinski, D. (1993). Consequences of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and some biological linkages. In J. Haug, R. E. Whale, C. Aron, & K. L. Olsen (Eds.), The development of sex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behavior (pp.87-110).Boston : Kluwer Academic. 

  14. Bishop, M. A. (1983). Spatial abilities and mathematical thinking. Proceeding of the 4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Boston: Brikhauser Boston. 

  15. Casey, M. B., Nuttall, R. L., & Pezaris, E. (1997). Mediators of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college entrance test scores: A comparison of spatial skills with internalized beliefs and anxieties. Developmental Psychology, 33, 669-680. 

  16. Casey, M. B., Nuttall, R. L., Pezaris, E., & Benbow, C. P. (1995). The influence of spatial ability on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college entrance test scores across diverse samples. Developmental Psychology, 31, 697-705. 

  17. Chan, D. W. (2010). Developing the Impossible Figures Task to assess visual-spatial talents among Chinese students: A Rasch measurement model analysis. Gifted Child Quarterly, 54, 59-71. 

  18. Clements, M. A. (1981). Spatial ability, visual imagery, and mathematical learning.(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ED202696). 

  19. Crawford, M., Chaffin, R., & Fitton, L. (1995). Cognition in social context.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7, 341-362. 

  20. Eliot, J., & Smith, I. M. (1983). An international directory of spatial tests. Windsor, Berkshire: NFER-Nelson. 

  21. Fennema, E. (1975). Spatial ability, mathematics, and the sexes. In E. Fennema (Ed.), Mathematics learning: What search says about sex differences (pp. 33-43). Columbus, OH: ERIC Clearing house for Sciences, Mathematic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2. Fennma, E., & Tartre, L. (1985). The use of spatial visualization in mathematics by girls and boy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6, 184-206. 

  23. Freudenthal, H. (1973). Mathematics as an educational task. Dordercht: D. Reidel Publishing Company. 

  24. Guay, R. B. (1976). Purdue Spatial Visualization Test. West Lafayette. IN: Purdue Research Foundation. 

  25. Hedges, L. V., Nowell, A. (1995). Sex differences in mental tests scores, variability, and numbers of high-scoring individuals. Science, 269, 41-45. 

  26. Hyde, J. S., Fennema, E., & Lamon, S. J. (1990).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performance: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107, 139-155. 

  27. Kersh, M. E., & Cook, K. H. (1979). Improving mathematics ability and attitude: A manual. Seattle, WA : University of Washington. Mathematics Learning Institute. 

  28.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Linn, M. C., & Petersen, A. C. (1985). Emerg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A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56, 1479-1498. 

  30. Lohman, D. E. (1979). Spatial ability: A review and re-analysis of correlational literature. Technical Report, 8, 25-27. 

  31. Lohman, D. F. (2005). The role of nonverbal ability tests in identifying academically gifted students: An aptitude perspective. Gifted Child Quarterly, 49, 111-138. 

  32. Lohman, D. F. (2008). Identifying academically gifted English-language learners using nonverbal tests: A comparison of the Raven, NNAT, and CogAt. Gifted Child Quarterly, 52, 275-296. 

  33. Lubinski, D., & Benbow, C. P. (2006). Study of Mathematically Precocious Youth after 35 years: Uncovering antecedents for the development of math-science expertise.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1, 316-345. 

  34. Masters, M. S., & Sanders, B. (1993). Is the gender differences in mental rotation disappearing? Behavior Genetics, 23, 337-341. 

  35. McGuinness, D. (1993). Sex differences in cognitive style: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performance and achievement. In L. A. Penner, G. M, Batsche, H. M. Knoff, & D. L. Nelson (Eds.), The challenge of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Psychology's response (pp.251-27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6. McGee, M. 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86, 889-918. 

  37. Naglieri, J. A., & Ford, D. Y. (2003). Addressing underrepresentation of gifted minority children using the Naglieri Nonverbal Ability Test (NNAT). Gifted Child Quarterly, 47, 155-160. 

  38. Naglieri, J. A., & Ford, D. Y. (2005). Increasing minority children's participation in gifted classes using the NNAT: A response to Lohman. Gifted Child Quarterly, 49, 29-36. 

  3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40.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Inc. 

  41. Peter, M., Laeng, B., Lathan, K., Jackson, J., Zaiouna, R., & Richardson, C. (1995). A redrawn Vandenberg and Kuse Mental Rotations Test: Difference versions and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Brain and Cognition, 28, 39-58. 

  42. Reams, R., Charmard, D., & Robinson, N. (1990). The race in not necessarily to the swift: Validity of WISC-R bonus point for speed. Gifted Child Quarterly, 34, 108-110. 

  43. Sherman, J. A. (1979). Predicting mathematical performance in high school girls and boy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1, 242-249. 

  44. Strumpf, H. (1998).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scores and use of time on tests of spatial ability. Gifted Child Quarterly, 42, 157-171. 

  45. Tartre, L. A. (1990). Spatial skills, gender & mathematics. In E. Fennema & G. Leder (Eds.), Mathematics and gender: Influences on teachers and students (pp. 27-59). New York: Teachers'College Press. 

  46. Usiskin, Z. (1987). Resolving the continuing dilemmas in school geometry. In M. M. Lindquist & A. P. Shulte (Eds.), Learning and teaching geometry, K-12 (pp. 17-31).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7. Voyer, D., Voyer, S, & Bryden, M. P. (1995). Magnitude of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ies: A meta-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critical variables. Psychological Bulletin, 117, 250-270. 

  48. Vandenberg, S. G., & Kuse, A. R. (1978). Mental rotations: A group test of three-dimensional spatial visualization. Perceptual and Motor skills, 47, 599-604. 

  49. Wai, J., Lubinski, D., & Benbow, C. P. (2009). Spatial ability for STEM domains: Aligning over 50 years of cumulative psychological knowledge solidifies its import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 817-835. 

  50. Webb, R.M., Lubinski, D., & Benbow, C.P. (2007). Spatial ability: A neglected dimension in talent searches for intellectually precocious yout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9, 397?420. 

  51. Yoon, S. Y. (2011).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Revised Purdue Spatial Visualization Tests: Visualization of Rotations(The Revised PSVT:R)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rdu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