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금속 광산지역 비소 및 중금속 오염에 대한 인체위해성평가 및 복원농도 설정
Human Risk Assessment of Arsenic and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Estimation of Remediation Concentration within Abandoned Metal Mine Area 원문보기

韓國鑛物學會誌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v.28 no.4, 2015년, pp.309 - 323  

이상우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RINS)) ,  김정진 (국립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박미정 (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기술연구소) ,  이상환 (한국광해관리공단 광해기술연구소) ,  김순오 (경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질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RINS))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폐금속 광산에 특화된 인체위해성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국내 폐금속 광산지역으로부터 도출된 다양한 노출인자 값을 적용하여 폐금속 광산지역의 주민(성인 남자, 성인 여자, 어린이)에 대하여 인체위해성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인체위해성평가의 결과로부터 중금속 오염에 의한 주민의 건강이 우려되는 경우, 위해성에 기반한 각 매체(토양, 지하수, 지표수)별 복원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발암위해도와 비발암위해도를 지시하는 총 초과발암위해도(TCR)와 위험지수(HI)는 지하수섭취와 농작물섭취에 의한 경로로 노출되는 비소에 의해 각각 허용 가능한 수준인 1.00E-6과 1을 크게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연구대상 지역의 인체위해성이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위해도 저감을 위한 복원농도 산정 결과, 발암위해도 기준 계산 시 As 6.83~6.85 mg/kg, Pb 18.41~18.46 mg/kg, 비발암위해도 기준 계산 시 Cu 17.38 mg/kg, As 9.13 mg/kg의 수준으로 토양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itiated to propose the method for human risk assessment suitable to metal mine area. Using a variety of exposure parameters extracted from the investigation of abandoned metal mines, the proposed method was applied to assess the risk of As and heavy metal contamination for inhabit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황화 광석광물이 산화됨으로써 독성 중금속들이 유출되어 주변 환경을 광범위하게 오염된 것으로 보고된 주천광산을 대상으로 폐광산지역에 특성화된 모델과 인자를 이용하여 인체위해성평가를 수행하고 인체에 무해한 수준으로 복원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복원농도를 산정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먼저, 폐광산지역의 오염원, 오염매체, 노출경로 등의 노출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국내 폐금속 광산에 적합한 인체위해성평가 모델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폐금속 광산의 다양한 중금속 오염을 고려하여 설정된 인체위해성평가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국내 폐광산지역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도출된 다양한 인자값들을 적용하여  폐금속 광산에 대한 인체위해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폐광산지역에서 주로 문제 발생을 유발하는 중금속의 함량이 고르게 나타나는 주천광산을 대상으로 하여 발암 및 비발암 위해특성을 노출경로별, 오영물질별, 수용체별로 분석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복원농도를 산정하여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휴.폐광산이 증가한 이유는? 우리나라는 1980년대 이후 사회구조의 변화, 에너지 소비패턴의 변화, 3D 노동의 호비, 저렴한 가격의 광산물 수입, 부가가치의 하락 등으로 광업활 동이 위축되어 점차 휴.폐광산이 증가하게 되었다(Na et al., 2013).
주천광산은 어디에 위치해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 광산인 주천광산은 강원도 영월군 주천면 주천리에 소재하고 있으며, 대상광종은금, 은, 구리, 납이며, 주된 생산광종은 은이다. 이광산에서는 1938~1989년 기간 동안 은 130 kg, 1982년까지 은 1,420 kg을 생산한 실적이 있으며, 1995년에 최종적으로 광업권이 소멸되었다(KMOE, 2005).
광산 폐기물과 채광 및 선광제련 등의 시설물들이 그대로 방치되어 어떤 문제가 발생했는가? 그러나 당시 광산보안조치 또는 환경보호를 위한 조치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이에 따라 폐갱도, 광물찌꺼기, 폐석 등의 광산 폐기물과 채광 및 선광제련 등의 시설물들이 그대로 방치되었다. 이들은 집중 강우나 강풍에 의해 인근지역 하부로 분산되어 농경지와 수계에서 지속적으로 환경오염을 발생시켜 왔다(Thornton, 1983; Kelly, 1988; Alloway, 1990;Park, 1994; Lee et 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lloway, B.J. (1990) Heavy Metals in Soil, Blackie and Son Ltd. 

  2. An, Y.J., Baek, Y.W., Lee, W.M., Jeong, S.W., and Kim, T.S. (2007) Comparative study of soil risk assessment models used in developed countries, J.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12(1), 53-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ASTM (2010) Standard guide for Risk-Based Corrective Action (RBCA). 

  4. Brand, E., Otte, P.F., and Lijzen, J.P.A. (2007) CSOIL 2000: an exposure model for human risk assessment of soil contamination (A model description) (RIVM report 711701054/2007). 

  5. Canadian Council of Ministers of the Environment (CCME) (2006) A protocol for derivation of environmental and human health. 

  6. Cho, C.G. (2012) Heavy metal contamination and risk assessment of an abandoned metal mine, M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Korea. 

  7. EA (2005) CLEA UK Handbook (Draft), Support document for the CLEA UK software Beta Version 1.0, Environmental Agency, Bristol, United Kingdom. 

  8. Environmental Agency (2009) CLEA software (version 1.05) handbook. 

  9. Health Canada (2007) Federal contaminated site risk assessment in Canada. Part I: Guidance on human health preliminary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http://kosis.kr/nsportalStats/nsportalStats_0102Body.jsp?menuId6&NUM156. 

  10. Kelly, M. (1988) Mining and the freshwater environment. London: Elsevier science Publishers, 9, 231. 

  11. Kim, J.Y., Lee, J.H., Kunhikrishnan, A., Kang, D.W., Kim, M.J., Yoo, J.H., Kim, D.H., and Lee, Y.J. (2012) Transfer factor of heavy metals from agricultural soil to agricultural products. Korean J. Environ. Agr., 31(4), 300-3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3) KOSIS 100 indices. 

  13. Lee, J.Y. (2005) A study on the body surface area of Korean adults,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4. Lee, G.H. (2013) Health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residents around abandoned metal mines, Ph.D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Korea. 

  15. Lee, J.S. Chon, H.T., and Kim, K.W. (2005) Human risk assessment of As, Cd, Pb, Cu and Zn in the abandoned metal mine site. Environ Geochem Health, 27, 185-191. 

  16.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2005) Investigation of environments of abandoned mines. 

  17.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2006) Guidelines for risk assessment of soil contaminants. 

  18.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2007a) Korean exposure factor handbook. 

  19.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2007b) Investigation of environments of abandoned mines. 

  20.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2015) Guidelines for risk assessment of soil contaminants. 

  21. Na E.S., Lee Y.J., Ko K.Y, Chung D.Y., and Lee K.S. (2013) Risk assessment for heavy metals in soil, ground water, rice grain nearby abandoned mine areas. Korean J. Environ. Agr., 32(4), 245-2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4) A study on estimation and establish of soil contamination criteria (I). 

  2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5) A study on estimation and establish of soil contamination criteria (II). 

  2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7) Investigation of health effect on inhabitants around abandoned metal mines. 

  2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8) Investigation of health effect on inhabitants around abandoned metal mines. 

  2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9) Investigation of health effect on inhabitants around abandoned metal mines. 

  27.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0) Investigation of health effect on inhabitants around abandoned metal mines. 

  2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1) Investigation of health effect on inhabitants around abandoned metal mines. 

  29. National Environment Protection Council (NEPC) (1999) Guideline on exposure scenarios and exposure setting, National Environment Protection Council, Adelaide, South Australia. 

  30. Park, Y.H. (1994) Management of Wastes from Inactive or Abandoned Mines, p. 58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1. Thornton, I. (1983) Applied Environmental Geochemistry, p. 501, Academic Press. London. 

  32. US EPA (1996) Soil screening guidance: Technical background document. 

  33. US EPA (1997) Exposure factor handbook. 

  34. US EPA (2004) Framework for inorganic metals risk assessment (EPA/630/P-04/068). 

  35. US EPA (2004)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I: Human health evaluation manual (Part E, Supplemental guidance for dermal risk assessment). 

  36. US EPA (2009) Risk assessment guidance for superfund volume I: Human health evaluation manual, Part F, Supplemental guidance for inhalation risk assessmen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