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교육과정 목표와 교과서 학습 목표와의 일치성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Congruency between Educational Objectives of Curriculum and Learning Objectives of Textbook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 Focus on Earth Science I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7, 2013년, pp.711 - 726  

정덕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이준기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김선은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박경진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 목표와의 일치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 목표를 능력, 공통 개념, 행위 동사로 구분하였으며, 이 자료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능력 요소와 관련하여 교과서는 인지적, 정의적 영역을 주로 강조하였다면 교육과정은 이외에도 탐구능력을 함께 강조하였다. 공통 개념은 교과서가 교육과정보다 더 다양한 요소가 사용되었다. 행위 동사 요소는 '이해'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나 대부분 인지 체제 수준으로 제시한 것에 그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ongruently the learning objectives of Earth Science I textbooks match the 2009 revised Earth Scienc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we classified the learning objectives of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into three factors including ability, cross-cut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때 문헌조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능력의 하위 범주는 교육과정에서 구성 요소를 추출하고, 공통 개념의 하위 범주는 미국의 차세대과학교육기준에서, 행위 동사의 하위 범주는 기초 수준에부터 고등 사고력을 요구하는 정신적 과정을 분석하는데 적합한 Marzano (2001)의 처리수준 차원에서 추출한 구성 요소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이를 토대로 개발된 지구과학 I 교과서의 학습 목표를 코딩한 후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하위 범주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 목표와의 일치성을 알아보기 위해 교육과정의 목표로서 강조하는 능력과 공통 개념 요소와 학습자가 도달해야 할 행동을 나타내는 행위 동사 요소를 대범주로 한 분석 프레임을 개발하였다. 이때 문헌조사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능력의 하위 범주는 교육과정에서 구성 요소를 추출하고, 공통 개념의 하위 범주는 미국의 차세대과학교육기준에서, 행위 동사의 하위 범주는 기초 수준에부터 고등 사고력을 요구하는 정신적 과정을 분석하는데 적합한 Marzano (2001)의 처리수준 차원에서 추출한 구성 요소로 설정하였다.
  • 문헌 조사 및 이론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 목표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 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는 분석 프레임의 기준 설정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조사 및 이론 연구를 통해 크게 두 가지의 기준을 설정하여 분석 프레임을 개발하였다.
  •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 목표와의 일치성을 보다 정밀하게 알아보기 위해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각각의 목표가 어떤 특징으로 기술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에 제시된 목표와 지구과학 I 교과서의 각 단원 첫머리에 제시된 학습 목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 이때 분석 프레임 기준 설정에 따라 교육과정의 목표, 교과서의 학습 목표와 대응하는 요소를 추출하여 비교하기 위해 문헌 조사를 통해 하위 범주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목표와 관련된 여러 문헌 중에서 신교육목표 분류학,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 그리고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기준을 분석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 구성 요소를 추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분석 프레임 개발을 위한 기준으로 교육과정의 목표에 기초한 분석 프레임의 개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목표에서 제시한 요소가 충분히 반영된 대범주를 설정하기 위해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 목표에 사용된 단어를 분석한 결과 총 61개의 단어가 사용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프레임 사이의 의미론적 연관성을 통해 전체 내용에 대한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인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여 교육과정의 지구 과학 I 목표에서 강조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개발한 분석 프레임을 이용하여 교육과정의 목표를 세부 프레임으로 분류하고 이들 사이의 의미론적 연관성을 네트워크 지도로 시각화하였다.
  • 연구는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 목표와 지구과학 I 교과서 2종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 목표와의 일치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의 목표와 교과서의 학습 목표에서 진술된 능력, 공통 개념, 행위 동사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개발된 분석 프레임에 따라 코딩하여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 각 교과서의 소단원 첫머리에 제시된 학습 목표는 학습과정 동안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학습 내용과 행동 요소가 행위 동사 뿐 아니라 능력, 공통 개념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에 나타난 하위 프레임을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M 교과서는 능력 관련 하위 프레임이 3개, 공통 개념 관련 프레임 7개, 행위 동사 관련 프레임 3개 등 13개의 하위 프레임이 사용되었으며, N 교과서는 능력 관련 프레임 5개, 공통 개념 프레임 7개, 행위 동사 프레임 5개 등 17개의 하위 프레임이 사용되었다.
  • 인지과정 차원은 ‘기억하다’, ‘이해 하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으로 구분하였고 이를 통해 교육 목표에 내재되어 있는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통합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육이란? 교육이란 학습자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으며, 수업을 어떻게 계획하고 진행하는지에 따라 학생들에게 전해지는 학습 결과는 많은 차이를 가져올 수 있다(Kim and Kang, 2012; Kim, 2010). 여기서 학습자를 이끌고자 하는 방향을 목표라 할 수 있는데, 목표는 사람들이 희망하는 결과나 사건, 과정을 표현하는 심리적인 표상으로서 개인의 내적 가치를 행동으로 옮길 수 있게 하는 동기화의 원천이 된다(Austin and Vancouver, 1996; Locke et al.
언어네트워크 분석의 장점은? 그렇기 때문에 언어네트워크 분석은 한 문장 내에서 특정 단어와 함께 출현하는 단어가 무엇인지에 관심을 둔다. 또한 단어의 출현 빈도를 산출하여 단어 사이의 강도를 분석함으로써 구조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그 자체로는 드러나지 않는 특징을 알아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Lewicki et al., 2003; Lee and Ha, 2012).
연결 네트워크 모형 이론에 기초한 언어네트워크 분석이란? 한편 연결 네트워크 모형(associative network model) 이론에 기초한 언어네트워크 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은 단어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전체적인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으로서 한 문장에서 함께 출현하는 단어들을 하나의 선(link)으로 연결하여 단어 사이의 관계를 의미 네트워크 형태로 시각화할 수 있다(Doerfel and Barnett, 1999; Park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Anderson, L.W., 2002, A revised Bloom's taxonomy. Theory into Practice, 41, 210-261. 

  2. Anderson, L.W., Krathwohl, D.R., and Bloom, B.S.,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Longman, New York, USA, 352 p. 

  3. Austin, J.T. and Vancouver, J.B., 1996, Goal constructs in psychology: Structure, process and content. Psychological Bulletin, 120, 338-375. 

  4.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orth Publishers, New York, USA, 604 p. 

  5. Bonacich, P., 1987,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 1170-1182. 

  6. Cho, N.S., 1997,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level-divided curriculum in the 7th curriculu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CR 97-34, 114 p. (in Korean) 

  7. Cho, T.H., 1996, The analysis on the objectives in the 6th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by Klopfer's classification scheme for science education. The Research of Science Education, 22, 1-22. (in Korean) 

  8. Choi, B.G., Lee, H.S., Choo, B.S., Moon, B.K., Soh, Y.M., Lee, J.E., and Cho, M.A., 2011, Earth Science I textbook. Chunjae Education, Seoul, Korea, 319 p. (in Korean) 

  9. Collett, A.T. and Chiappetta, E.L., 1984,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Westline Industrial Drive, Saint Louis, USA, 632 p. 

  10. DeVito. B. and Grotzer, T.A., 2005, Characterizing discourse in two science classrooms by the cognitive process demonstrated by students and teachers. Presented at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Conference, Dallas, USA, 42 p. 

  11. Dewulf, A., Gray, B., Putnam, L., Lewicki, R.J., Aarts, N., and Bouwen, R., 2009, Disentangling approaches to framing in conflict and negotiation research: A metaparadigmatic perspective. Human Relations, 62, 155-193. 

  12. Doerfel, M.L. and Barnett, G.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ac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 589-603. 

  13. Hirsh, E.D. Jr., 1996, The schools we need: Why we don't have them. Double day, New York, USA, 303 p. 

  14. Jung, S.H., 2012, Tradition content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comparative research in issue framing analy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05 p. (in Korean) 

  15. Kang, H.S., Chong, C.I., and Choi, Y.G., 2005, An alternative explorat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interview.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3, 51-84. (in Korean) 

  16. Kim, H.P. and Kim, P.W., 2001, An analysis of the technology subject test items in middle schools according to Bloom's taxonomy in the cognitive domain. Journal of the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 87-97. (in Korean) 

  17. Kim, J.S., 2010, A study on learning task analysis for establish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Korean Elementary Moral Education Society. 32, 127-150. (in Korean) 

  18. Kim, K.S., 2002, Analysis of the objectives of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of Korea according to the Klopfer's science education objective classification scheme. Kore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23 p. (in Korean) 

  19. Kim, M.O. and Kang, H.S., 2012,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e elementary Korean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0, 27-58. (in Korean) 

  20. Kim, M.O., 2013, Analysis of curriculum objectives of elementary Korean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Unpublished Ed.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254 p. (in Korean) 

  21. Kim, S.D., Lee, Y.S., and Choi, S.B., 2005, An analysis of 7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by Klopfer's taxonomy of education objectives: Focusing on 7th grad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6, 640-651. (in Korean) 

  22. Kim, S.Y., 2009, Classification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arth scienc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77 p. (in Korean) 

  23. Kim, Y.H., 2007, Social Network Theory. Parkyoungsa, Seoul, Korea, 289 p. (in Korean) 

  24. Kim, Y.S., Lee, H.S., and Shin, A.K., 2007, Classification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 570-579. (in Korean) 

  25. Kook, D.S., 2004, Conceptions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on some concepts of atmosphere and ocea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 402-408. (in Korean) 

  26. Lee, J.K. and Ha, M.S., 2012,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act, hypothesis, theory, law and scientificnes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 823-840. (in Korean) 

  27. Lee, T.W., Park, S.I., Kim, W.S., Kang, S.C., Lee, Y.J., Lee, H.K., Jang, H.Y., and Kim, B.N., 2011, Earth Science I textbook. Kyohak Printing, Seoul, 303 p. (in Korean) 

  28. Lewicki, R.J, Gray, B., and Elliott, M., 2003. Making sense of intractable environmental conflicts: Concepts and cases, Island Press, Washington D.C., USA, 457 p. 

  29. Lim, C.H., 2008, Classification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based on new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earch of Science Mathematics Education. 31, 25-42. (in Korean) 

  30. Locke, E.A., Shaw, K.N., Saari, L.M., and Latham, G.P., 1981,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1969-1980. Psychological Bullentin, 90, 125-152. 

  31. Marzano, R.J., 2001, Designing a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Experts in assessment. Corwin Press, CA, USA, 163 p. 

  32. Marzano, R.J. and Kendall, J.S., 2006, The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Corwin Press, CA, USA, 315 p. 

  33. McNeil, J.D., 1967, Concomitant of using behavioral objective in the assessment of teacher effectiveness.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35, 69-74. 

  34. Miller, A.D., 2004, Applying Bloom's revised taxonomy within the framework of teaching for understanding to enhance the frequency and quality of students' opportunities to develop and practice higher-level cognitive processes. Kalamazoo College, Michigan, USA, 60 p. 

  3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269 p. (in Korean) 

  36.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USA, 385 p. 

  37.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72 p. 

  38. Oh, S.H., 2013, Analysis of cognitive less goal of practical course based on Bloom's new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Korea, 74 p. (in Korean) 

  39. Park, C.K., Hwang, J.S., and Kwack, D.O., 2011, A comparative analysi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laboratory work in Korean and U.S.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according to Bloom's revised taxonomy. Research of Curriculum Instruction, 15, 27-43. (in Korean) 

  40. Park, H.J., Kim, Y.M., Noh, S.G., Jeong, J.S., Lee, E.A., Yu, E.J., Lee, D.W, Park, J.W., and Back, Y.S., 2012, Developmental stduy of science education contents standard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 729-750. (in Korean) 

  41. Park, K.J., Chung, D.H., and Cho, K.S., 2013, An analysis of the changes of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structure about sedimentary rocks before and after the field trip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 173-186. (in Korean) 

  42. Shin, D.H., 1999, A textbook analysis on the basis of goals in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 605-612. (in Korean) 

  43. Shin, J.H., Cho, E.B., and Lee, Y.K., 2012, Teacher's roles and professional viewed through research on goal in educational psycholog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6, 103-122. (in Korean) 

  44. Son, D.W., 2008, Social network analysis. Kyungmoon Publishers, Seoul, Korea, 253 p. (in Korean) 

  45. Suh, Y.W., 2008, Exploring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hat are the insights for science curriculum reform in Korea? Ewh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9, 211-238. (in Korean) 

  46. Tannen, D., 1993, Framing in discourse.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263 p. 

  47. Wang, M.C, Haertel, G.D., and Walberg, H.J., 1993, Toward a knowledge base for school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 249-2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