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이 노균병의 생물적 방제를 위한 Bacillus amyloliquefaciens CC110균주 선발
Selec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CC110 for Biological Control of Cucumber Downy Mildew Caused by Pseudoperonospora cubensis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1 no.4, 2013년, pp.261 - 267  

이상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원항연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김정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  한지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seudoperonospora cubensis에 의한 오이 노균병생물적 방제를 위하여 오이 재배단지의 오이 식물체 126균주를 분리하였다. 그 중에서 잎 절편 생물검정 통하여 5균주를 선발하였다. CC110균주는 오이노균병 예방과 치료효과 검정에서 전혀 병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무처리는 15.0~18% 노균병이 발생하였다. CC110균주는 gyrB gene sequence 분석에 의하여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로 동정하였다. CC110균주를 TS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은 LB, NB와 KB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보다 오이 노균병 발생이 적어 효과적이었다. CC110균주를 TS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의 원액, 2배와 5배 희석한 처리구에서 0%, 3.0%와 8.0% 그리고 배양여액을 원액, 2배와 5배 희석한 처리구에서 0%, 4.0%와 7.0% 노균병이 발생하였고, 무처리는 21.0% 발생하였다. 오이 유묘검정에서 CC110균주를 TSB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은 오이 노균병이 35.0% 발생하였고 무처리는 82.0% 발생하였다. 비닐하우스 포장에서 오이 노균병에 대하여 B. amyloliquefaciens CC110균주를 5일 간격 4회 처리가 7일 간격 3회 처리보다 방제효과가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select antagonists for biological control of downy mildew of cucumber, 126 bacteria were isolated from cucumber plants collected from several locations in Korea. Among them, Five isolates were selected as potential biocontrol agents of cucumber downy mildew using a leaf disc bioassay 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안전 농산물 생산을 위하여 Bacillus amyloliquefaciens CC110 균주를 이용하여 오이 노균병 방제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오이 잎 절편을 이용한 예방 및 치료효과 검정, 배지 선발, 처리농도와 유묘검정을 통한 분리한 세균의 처리효과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a)Means, followed by a common letter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1% level by DMR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seudoperonospora cubensis가 발생시키는 노균병은 우리나라에서 어떤 작물에 발생하는가? , 2011). 우리나라에서는 오이를 비롯한 박과 작물 등 약 9여종의 식물에 노균병 발생이 기록 되어 있다(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오이 노균병의 발생은 15oC가 적온이며 최소한 잎 젖음 시간이 2시간 필요하며 노균병균의 유주자낭이 발아하여 5~28oC 온도범위에서 감염시키고, 감염기간은 온도, 광조사 기간, 전염원 농도와 젖음기간에 따라서 4일에서 12일 걸린다(Cohen, 1981; Thomas, 1996).
노균병의 병징은 어떠한가? 노균병의 병징은 초기에는 잎의 앞면에 퇴록된 부정형사각형 반점이 생기고 엷은 황색을 띠며 잎 뒷면에는 수침상으로 나타난다. 아랫잎에서 먼저 발생되어 위로 진전되는데 작은 반점들이 합쳐지면 병반은 커지고 황갈색을 띠며 잎이 말라 죽는다(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997).
오이 노균병은 어떤 조건에서 발생하는가? 우리나라에서는 오이를 비롯한 박과 작물 등 약 9여종의 식물에 노균병 발생이 기록 되어 있다(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오이 노균병의 발생은 15oC가 적온이며 최소한 잎 젖음 시간이 2시간 필요하며 노균병균의 유주자낭이 발아하여 5~28oC 온도범위에서 감염시키고, 감염기간은 온도, 광조사 기간, 전염원 농도와 젖음기간에 따라서 4일에서 12일 걸린다(Cohen, 1981; Thomas,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orriss, R. 2011. Use of plant-associated Bacillus strains as biofertilizers and biocontrol agents, pp. 41-76. In: Bacteria in agrobiology: plant growth response Eds. Maheshwari D K. Springer Heidelberg, Heidelberg, Germany. 

  2. Borriss, R., Chen, X. H., Ruckert, C., Blom, J., Becker, A., Baumgarth, B., Fan, B., Pukall, R., Schumann, P., Sproer, C., Junge, H. and Vater, J. 2011. Relationship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clades associated with strains DSM 7T and FZB42T: A proposal for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amyloliquefaciens subsp. nov.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subsp. plantarum subsp. nov. based on complete genome sequence comparisons. Int. J. Syst. Evol. Microbiol. 61:1786-1801. 

  3. Cohen, Y. 1981. Downy mildew of cucurbits. In: The downy mildew. pp. 341-353. Eds. Spencer. D. M. Academic Press. New York. 

  4. Copping, L. G. 2009. The manual of biocontrol agents. 3th edition, pp. 702. BCPC. UK. 

  5. Elizabeth, A. S., Leah, L. G. Lina, M. Q. Marina, V. Mary, K. H. and Brad, D. 2011. The cucurbit downy mildew pathogen Pseudoperonospora cubensis. Mol. Plant Pathol. 12(3): 217-226. 

  6. Fravel, D. R. 2005. Commercial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biocontrol. Annu. Rev. Phytopathol. 43:337-359. 

  7. Lebeda, A. and Cohen, Y. 2011. Cucurbit downy mildew(Pseudoperonospora cubensis)-biology, ecology, epidemiology, host-pathogen interaction and control. European J. Plant Pathol. 129:157-192. 

  8. Lebeda, A. and Cohen, Y. 2012. Fungicide resistance in Pseudoperonospora cubensis, the causal pathogen of cucurbit downy mildew. In: Fungicide Resistance in Crop Protection: Risk and Management, pp. 44-63. Eds. Thind TS, CABI. Wallingford, UK. 

  9. Lee, S. Y., Kim, B. Y., Ahn, J. H., Song, J., Seol, Y. J., Kim, W. G. and Weon, H. Y. 2012. Draft Genome Sequence of the Biocontrol Bacterium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M27. J. Bacteriol. 194:6934-6935. 

  10. Lee, S. Y., Lee, Y. K., Park, K. and Kim, Y. K. 2010. Selection of beneficial microbial agents for control of fungal diseases in the phyllosphere of cucumber plant. Kor. J. Pest. Sci. 14(4): 326-331. (in Korean). 

  11.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1997. Compendium of vegetable diseases with color plates. pp. 448. Sammi press. Seoul. (in Korean). 

  12. Rusell, P. E., Milling, R. J. and Wright, K. 1995. Control of fungi pathogenic to plants. pp. 85-110. In fifty years of antimicrobials:past perspectives and future trends. Fifty-third symposium of the Society for General Microbiology held at the University of Bath, April 1995. 

  13. Sadoma, M. T., El-Sayed, A. B. B. and El-Moghazy, S. M. 2011. Biological control of downy mildew disease of maize caused by Peronospora sorghi using certain biocontrol agents alone or in combination. J. Agryc. Res. Kafer El-Sheikh Univ., 37(1):1-11. 

  14. Shlomo, B., Abraham, S. and Oded, Y. 2001.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old-tolerant strain of Fusarium proliferatum, a biocontrol agent of grape downy mildew. Phytopathology. 91 (10): 1062-1068. 

  15. Stuart, P. F., Roger, C. P., David, M. G., Robert, C. S. and Abraham, S. 1996. Fusarium proliferatum as a biocontrol agent against grape downy mildew. Phytopathology. 86(10):1010-1017. 

  16.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and Kumar, S.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17. Tanaka, Y. T. and Omura, S. 1993. Agroactive compounds of microbial origin. Ann. Rev. Microbiol. 47:57-87. 

  18. The Korean Society of Plant Pathology. 2009. List of plant diseases in Korea, 5th edition, pp. 853. JY press, Anyang. (in Korea). 

  19. Thomas, C. E. 1996. Downy mildew. In: Compemdium of cucurbit diseases, pp. 25-27. Eds. T. A. Zitter, D. L. Hopkins, & C. E. Thomas. St. Paul;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Press. 

  20. Tofazzal Islam Md. and Motaher hossain Md. 2013. Biological control of Peronospormycete phytopathpthogen by bacterial antagonist, In: Bacteria in agrobiology : disease management, pp. 167-218. Eds. D. K. Maheshwari.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21. Umesha, S., Dharmesh, S. M., Shetty, S. A., Krishnappa, M. and Shetty, H. S. 1998. Biocontrol of downy mildew disease of pearl millet using Pseudomonas fluorescens. Crop Prot. 17(5): 387-392. 

  22. Yamamoto, S. and Harayama, S. 1995. PCR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gyrB genes with universal primers and their application to the detection and taxonomic analysis of Pseudomonas putida strains. Appl. Environ. Microbiol. 61:1104-11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