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측모 사진상에서 Subnasale의 이상적인 위치에 관한 주관적 평가
Subjective Evaluation about Ideal Position of the Subnasale on Lateral Photos 원문보기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Journal of dental rehabilitation and applied science, v.29 no.4, 2013년, pp.347 - 358  

김이동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정동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차경석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이진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이상민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측모의 연조직 분석 시 Subnasale는 중요한 기준점으로 사용되지만 이상적인 위치에 대한 평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측모에서 Subnasale의 위치 변화에 따른 심미적 안모에 대한 객관적 기준을 제시 하는 것이며, 추가적으로 전문가 집단과 일반 대중 간의 안모 선호도 인식에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지 평가 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를 위해 채득한 20대 여성 사진 중에서 전문가에 의해 결정된 적절한 측면 안모 비율로 판단되는 1명의 측모 사진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사진은 비순각을 유지하며 진성 수직선에 수직한 평면상에서 Subnasale을 전, 후방으로 변화시켰다. 합성된 사진은 전문가 집단(교정의사 9명)과 일반 대중(126명)에게 제시되어 각각의 선호도를 VAS상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Subnasale의 이상적인 위치는 Lateral canthus~Subnasale : Subnasale~Pronasale가 1.769 : 1을 이룰 때 이다. 2. 각도상 Nasion을 통과하는 진성 수직선과 Subnasale가 $5.5^{\circ}$를 이룰 때 이다. 3. 전문가 집단은 모든 비율 변화를 인지하였으나, 일반 대중은 1.571 : 1과 1.769 : 1 사이의 변화를 인지하지 못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analyzing soft tissue of the profile, Subnasale is often used a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But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ideal position of the Subnasa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objective reference of the esthetic face relating to the change of Subnasale po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Udry26)는 나이가 많은 평가 단원 집단 일수록 동안적 안모를 심미적이지 않다고 평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하였으며, Phillips32)은 평가 단원들의 안모 심미성도 안모 심미 평가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여 평가단원 개인 간의 다양한 요소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가 단원 구성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 대중 집단을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학생들로 제한함으로써, 비교적 균등한 사회경제적 지위를 갖고 있으며, 연령층이 유사한 평가단을 구성하려고 노력하였다.
  • 하지만 정작 기준이 되는 Subnasale의 이상적인 위치를 평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만약 Subnasale의 위치가 비정상적일 경우 이러한 연조직 분석은 전체적인 오류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측모에서 Subnasale의 위치 변화에 따라 가장 심미적인 안모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제시 하는 것이며, 추가적으로 전문가 집단과 일반 대중 간의 안모 선호도 인식에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지 평가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미적인 안모를 구성하는 공통적이며 기본적인 요소는? 이처럼 심미적인 안모에 대한 서로 다른 다양한 견해들이 있으나, 이러한 다양성 속에서도 심미적인 얼굴이란 눈, 코, 턱, 입술 등의 해부학적 구조물 각각에 관련된 수치의 평균값에 의해 결정 되는 것이 아니라 얼굴을 구성하고 있는 구조물 상호간의 조화(harmony), 균형(balance), 비율 (proportion)등이 심미적인 안모를 구성하는 공통적이며 기본적인 요소임이 인정되어왔다.11-13)
심미적인 안모의 평가에서 절대적이고 이상적인 심 미의 기준을 정확히 제시 하는 것이 어려운 이유는? 심미적인 안모의 평가는 인종, 지역, 문화적 배경등에따라차이가있으며, 시대적환경에따라서도계속적으로영향받아왔다. 또한동일한환경 속에서도 개인별로 선호하는 안모의 형태에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절대적이고 이상적인 심 미의 기준을 정확히 제시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인간의 심미적인 안모에 대한 욕구는 끊임없이 존재해 왔으며, 심미적인 안모가 사회적으로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다면 균형 잡히고 조화로운 안모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있다.
연조직 분석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과거에는 교정치료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시 경조직 분석에 초점을 맞추던 경향이 있었지만, 최근에 이르러서는 안모의 심미성이 표현되는 연조직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으며 따라서 연조직 분석의 중요성이 더욱 크게 강조되고 있다.3) Robinson 등4)은 심미적인 안모란 연조직과 경조직의 상대적인 크기와 위치가 조화를 이룬 것이라 정의하였으며, 보기 좋은 안모는 연조직을 통해 표현되므로 경조직 형태가 이상적일지라도 연조직과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면 심미적인 안모를 이루는 것이 힘들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ldwin DC. Appearance and aesthetics in oral health.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80;9:244-56. 

  2. Sarver DM. The esthetic impact of orthodontics : Planning treatment to meet patient's needs. J Am Dent Assoc 1993;124:99-102. 

  3. Papel ID. Quantitative facial esthetics evaluation with computer imaging. Facial Plast surg 1009;7:35-44. 

  4. Robinson SW, Speidel TM. Soft tissue profile change produced by redu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Angle Orthod 1972;42:227-35. 

  5. Hodaway RA. A soft 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and its use on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Part I. Am J Orthod 1983;84:1-28. 

  6. Hodaway RA. A soft 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and its use on orthodontic treatment planning Part II. Am J Orthod 1983;85:279-63. 

  7. Langlois JH, Roggman LA. Attractive face are only average. Psychological Sci 1990;1:115-20. 

  8. Farkas LG, Katic MJ, Hreczko TA. Anthropometric proportion in the upper lip-lower lip-chin area of the lower face in young white adults. Am J Orthod 1984;86:52-60. 

  9. Alley TR, Cunningham MR. Average face are attractive, but very attractive face are not average. Psychological Sci 1991;2:123-5. 

  10. Perret DI, May K. Attractive characteristics of female face. Nature Lond 1994;38:239-42. 

  11. Peck H, Pech S. A concept of facial esthetics. Angle Orthod 1970;40:284-318. 

  12. Riketts RM. Planning treatment on the base of facial pattern and an estimate of its growth. Angle Orthod 1957:27:14-37. 

  13. Wuerpel EH. On facial balance and harmony. Angle Orthod 1937;7:81-9. 

  14. Ioi H, Nakata S. Anteroposterior lip position of the most favored Japanese facial profile. Am J Orthod Dentofac Orthop 2005;128:206-11. 

  15. Soh J, Chew MT.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perception of Chinese facial profile esthetics. Am J Orthod Dentofac Orthop 2005;127:692-9. 

  16. Arezoo J, Mohammad B, Yekta A. Evaluation of the divine proportion in the facial profile of young females. Indian J Dent Res 2008;19;292-296 

  17. Romani KL, Agahi F. Evalu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difference in facial profile by orthodontists and lay people. Angle Orthod 1993;63:175-82. 

  18. Prahl-Andersen B, Boersma H. Perception of dentofacial morphology by lay persons, general dentists and orthodontists. J Am Dent Assoc 1979;98:209-12. 

  19. Bell R, Kiyk HA. Perception of facial profile and their influences on the decision to undergo orthognathic surgery. Am J Orthod 1985;88:323-32. 

  20. Burstone CJ. Lip posture and its significance in treatment planning. Am J Orthod 1967;53;262-84. 

  21. Scheideman GB, Bell WH, Legan HL, Finn RA, Reisch JS. Cephalometric analysis of dentofacial normals. Am J orthod 1980;78;404-20. 

  22. Arnett GW, Jelic JS, Kim J, Cummings DR, Beress A, Worley CM, Chung B, Bergman R. Soft tissue cephalometric analysis: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of dentofacial deformity. Am J Orthod 1999;116;239-53. 

  23. Powell N, Humphreys B. Proportions of the Esthetics. New York, Thiemestratton Inc, 1984. 

  24. Martin JG. Racial ethnocentrism and judgement of beauty. J Soc Psychol 1964;63:59. 

  25. Iliffe AH. A study of preferences in feminine beauty. Brit J Psychol 1960;51:276. 

  26. Udry JR. Structural correlates of feminine beauty preferences in Britain and United States : a comparison. Socio and Social Res 1965;49:330. 

  27. Cochrane SM, Cunningham SJ. Perception of facial appearance by orthodontists and general public. J Clin Orthod 1997;31:164-8. 

  28. Dunlevy HA, White RP, Proffit WR. Professional and lay judgement of facial esthetics changes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Int J Adult 1987;2:151-8. 

  29. Lines PA, Lines RR. Profilemetrics and facial esthetics. Am J Orthod 1978;73:648-57. 

  30. Kerr WJS. Panel perception of facial attractiveness. Br J Orthod 1990;17:299-304. 

  31. Howella DJ, Shawo.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rating of dental and facial attractiveness for epidemiologic use. Am J Orthod 1985;88:402-8. 

  32. Phillips C. Perception of facial attractiveness by patients, peers, and professionals. Int J Adult Orthod 1995;10:127-35. 

  33. Burcal RG, Laskin DM. Recognition of profile change after simulated orthognathic surgery. J Oral Maxillofacial surg 1987;45:666-70. 

  34. Julie C. Faure. et al. The influence of different facial components on facial aesthetics. Eur J Orthod 2002;24:1-7. 

  35. Phillips C, Tulloch C, Dann C. Rating of facial attractivenes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92;20:214-20. 

  36. Aitken RCB. Measurement of feeling using visual analogue scale. Proc R Soc Med 1969;62:17-21. 

  37. Sandra AM, Marina LV, Mladen S. Analysis of the soft tissue facial profile by means of angular measurements. Eur J Orthod 2008;30;135-140. 

  38. Siddik M, Abdullah D, Tancan U, Naci C. Angular photogrammetric analysis of the soft tissue facial profile of Turkish adults. Eur J Orthod 2009;31;174-1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