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oriental medicine on overactive bladder. Methods: The patients suffering from overactive bladder were treated by oriental medical treatment such as herbal medicatio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rapy. Results: After Or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양방병원에서 검사 상 감염이나 기저질환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과민성 방광으로 진단받은 후 치료를 위하여 본원에 내원한 환자에게 약물요법, 침구요법을 시행한 결과 호전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민성 방광이란? 국제요실금학회의 정의에 따르면, 과민성 방광은 절박성 요실금의 유무와 관계없이 요절박이 있는 증상군을 말한다. 대개 빈뇨와 야간뇨를 동반하고 이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이나 다른 기저질환은 없어야 한다.
과민성방광을 위한 일차 치료방법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과민성방광을 위한 일차 치료방법으로는 생활습관 교정, 골반저운동, 방광훈련, 약물치료가 있다. 약물치료에는 대표적으로 항 콜린성제와 항 무스카린제를 사용하는데 약효가 비뇨기계로 선택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구강 건조, 시력 혼탁, 변비, 어지러움, 두통, 요 저류 등의 부작용이 흔히 발생해서 치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2).
과민성 방광에 동반하는 증상은? 국제요실금학회의 정의에 따르면, 과민성 방광은 절박성 요실금의 유무와 관계없이 요절박이 있는 증상군을 말한다. 대개 빈뇨와 야간뇨를 동반하고 이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는 감염이나 다른 기저질환은 없어야 한다. 과민성방광은 임상적이고 증상적인 진단이 우선시 되며, 평활근으로 구성된 배뇨근의 과활동성을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설이 있지만 명확히 확인된 것은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배뇨장애와 요실금(제 2판). 서울:일조각. 2009:321-40. 

  2. 전명재, 배상욱, 김세광. 여성 배뇨장애 치료의 최신 지견. 대한산부회지. 2007;51(3):275-85. 

  3. 두호경. 東醫腎系學(上). 서울:성보사. 2006:54-7, 81-4. 

  4. 안인숙, 김동일. 과민성 방광의 발병시기에 따른 심박변이도 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3):116-26. 

  5. 정소영, 김동일. 과민성 방광에 대한임상 결과 분석 후향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3):169-84. 

  6. 최진용, 서재호. 遺尿와 頻尿를 동반한 과민성 방광증후군에 대한 東醫寶鑑 加減地黃湯을 이용한 치험 1례.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10;14(1):96-100. 

  7. 인터넷 자료.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14&nid143590 

  8. 김용태. 과민성 방광.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11;30:225-7. 

  9. ALFRED E.BENT 등. 비뇨부인과학. 가본의학서적. 2007:155-84, 293-306. 

  10. 두진경 등. 성공적인 항 콜린제 치료종료 후 나타나는 과민성방광 증상의 변화: 전향적 연구. 대한비뇨기과학회지. 2005;26(7):713-8. 

  11. 박선영, 이의경. 과민성방광 환자 치료를 위한 항 무스카린성 약물의 경제성 평가. 한국임상약학회지. 2008;18(1):28-37. 

  12. 許浚. 東醫寶鑑. 경남:동의보감출판사. 2005:354-7. 

  13. 黃度淵. 方藥合編. 서울:남선당. 1978:90. 

  14. 嚴用和. 嚴氏濟生方. 北京:人民衛生出版社. 1980:117. 

  15. 박장경, 김동일. 동국대학교 일산한방병원 여성의학과에서의 歸脾湯 임상적용사례 분석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2):79-96. 

  16. 汪昻. 國譯醫方集解. 서울:대성문화사. 1992:263-4. 

  17. 한의과대학 본초학 편찬위원회. 本草學. 서울:영림사. 2004:156, 172, 209, 218, 357, 392, 396, 485, 612. 

  18.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鍼灸學(上). 파주:집문당. 2008:56, 58, 63, 80, 299, 300. 

  19. 김경태 등. 排尿障碍에 대한 鍼灸治療의 硏究動向. 대한침구학회지. 2005;22(3):123-35 

  20. 박경선 등. 배뇨장애를 호소하는 여성의 자율신경계 특성과 요검사와의 상관관계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1):74-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