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구강보건의식 및 행태
Some Hospitals and ICU Nurses Awareness of Oral Health Behavior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7 no.4, 2013년, pp.205 - 219  

최승희 (가톨릭상지대학교 치위생과) ,  장지언 (수성대학교 치위생과) ,  이천희 (안동과학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urses'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status and learn about better oral health care and further explore ways to improve awareness of oral care supplies to patients to oral care can help to establish a basis for is for the sole purpose. Seoul, Gyeonggi, Gyeongsang, Jeolla, Chungcheong loca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중환자실은 생명이 위급한 환자를 대상으로 가장 기본적인 위생간호부터 고도의 기술과 지식 판단을 필요로 하는 특수간호에 이르기 까지 포괄적이고 숙련된 간호가 필요한 것이다. 또한, 기본적 위생 간호인 중환자의 구강관리 간호는 구강을 청결히 하여 구취와 설태를 제거하고 상쾌함과 안위감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시행한다. 의식이 없는 환자나 산소흡입을 하는 환자 구강으로 기도삽관이 되거나 기관절개술을 한 환자 및 경관영양을 하는 환자분들은 침 분비 자극이 줄어들고 정상적인 타액선의 작용이 일어나지 않아 침의 분비량이 줄어 구강에 자정작용이 잘 일어나지 않아 세균이 자라는 환경이 되며 이러한 환경속 많은 감염기회를 높이게 되므로 구강관리간호는 매우 중요하다[8].
  • 또한, 이들은 대부분 심각한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고 각종 침습적조직 및 다제내성 병원균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이차적인 병원 감염에 이환될 확률이 높다. 이러한 스스로 구강관리를 할 수 없는 환자들과 제일 측근에 있는 인력이 중환자실 간호사이고 실제 병원임상에서 구강관리 실무자가 이들이므로 중환자실 근무 간호사들의 구강보건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보다 나은 구강건강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구강관리에 관한 인식을 개선하여 환자에게 공급하는 구강관리방법을 연구하고 교육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여러 지역의 병원기관과 근무유형을 조사하여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에게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시키고 환자 구강관리간호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강보건에 관한 지식 및 구강보건행태를 분석하여 간호사들의 구강보건인식 및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여 보다 나은 구강건강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나아가 구강관리에 관한 인식을 개선하여 환자에게 공급하는 구강관리방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건강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구강건강에 대한관심 역시 증가하였다. 건강은 신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안녕한 상태로 구강건강 또한 단순히 구강질병에 걸리지 않는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으로나 사회적 으로 타인과의 생활에서 편안히 살아갈 수 있는 치아와 악안면구강조직기관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뜻하며 전신건강을 위해서 구강건강은 필수적인 조건이라 할 수 있다[2].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00년 조사에 의하면 신체의 건강 중 구강건강이 가장 중요하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구강건강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으로 연구 조사되었다[3].
경제성장과 보건학의 발전으로 어떤 관심이 증가되었는가? 경제성장과 보건학의 발전으로 생활수준이 향상 되고 수명이 연장되면서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었다[1]. 이러한 건강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구강건강에 대한관심 역시 증가하였다.
기본간호에 중환자실의 환자에게 구강 내 합병증의 발병의 원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중환자실의 환자는 예상치 못하게 생명유지와 관련되는 위급한 상황들이 많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이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들은 위험부담과 집중된 장시간의 근무로 인한 고된 업무의 근무환경이 의 연장 되면서 상대적으로 생명과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 구강간호를 적극적으로 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기본간호에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는 구강호흡, 계속적인 비강호흡, 비위관, 금식으로 인한 구강으로 음식섭취불가, 잔여음식물, 더러운 틀니 등으로 인해 구강건 조증, 구취, 설태 등이 생기게 되고 구강 내 감염 원이 존재하게 되면 구강 내 합병증의 발병의 원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0]. 또한, 이들은 대부분 심각한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으며 면역력이 저하되어 있고 각종 침습적조직 및 다제내성 병원균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이차적인 병원 감염에 이환될 확률이 높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H. Gim, S.A. Im, S.J. Park, D.G. Kim(2004), Oral health, quality of life and the impact factor associated with oral evaluation, Oral Health Journal, Vol.28(4);559-569. 

  2. D.M. Harris, S. Guten(1979), Health-protective behavior: an exploratory study, J Health Soc Behav, Vol.20(1);17-29. 

  3. J.S. Choe, S.H. Jeong(2000),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oral health research,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pp.10-13. 

  4. S.H. Jeong, J.S. Choe, M.S. Kim(2000), Korean adult oral health knowledge and views on the research, A special issue of the Journal of Oral Health, pp.24-25. 

  5. J.B. Kim, K.S. Kim, Y.H. Kim(2008), Introduction to Public Oral Health, Third Edition, Komunsa, pp.85-159. 

  6. J.B. Kim(2008),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3 edition, Komunsa, pp.119-123. 

  7. D.Q. Tanni(2002), Periodontal awareness and knowledge, and pattern of dental attendance among adults in jordan, Int Dent K, Vol.52(2);94-98. 

  8. W.H. Cho(2004), Water Jet ICU patients who underwent injection method and the effect on the state of the mouth clean gauze, Seoul National University, a master's degree thesis, pp.5-7. 

  9. M.J. Grap, C.I. Munro, B. Ashtiani, S. Bryant(2003), Oral Care InTervention in Critical Care, Frequency and Documenta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Vol.12(2);113-118. 

  10. G.E. Kim(2001), Salivary glan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care and bad breath, the central thesi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Development, pp.3-6. 

  11. E.S. Lee, C.H. Lee(2011), A Study on the Oral Hygien Index Change according to Comprehensive Dental Hygiene Care Treatmen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5(3);145-155. 

  12. J.B. Kim, K.S. Kim, Y.H. Kim, et al.(2004), Introduction to Dental Public Health, Third Edition, Komunsa, pp.32-41. 

  13. S.H. Lee, R.Y. Lee, J.S. Yang(2013), Pediatric Dentistry 3rd Edition, Komunsa, pp.15-17. 

  14. R. Ide, T. Mizoue, Y. Tsukiyama, M. Ikeda, T. Yoshimura(2001), Evaluation of oral health promotion in the work place, the effects on dental care costs and frequency of dental visit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29(3);213-219. 

  15. L. Schou(1989), Oral health promotion at worksites, Int Dent J, Vol.39(2);122-128. 

  16. M.J. Hahn(1987), The dental status of workers on off shore in stallations in the UK oil and gas industry, Br Dent J, Vol.163(8):262-264. 

  17. G.P. Feaver(1988), Occupational dentistry are view of 100 years of dental care in the work place, J Soc Occup Med, Vol.38(1-2);41-43. 

  18. S.T. Reisine(1984), Dental disease and work loss, J Dent Res, Vol.63(9);1158-1161. 

  19. P.E. Petersen(1989), Evaluation of a dental preventive program for Danish chocolate worker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Vol.17(2);53-59. 

  20. National Health Promotion Master Plan(2010), http://www.2010.hp.go.kr 

  21. H.M. Gwon, G.S. Kim, R.Y. Kim, et al.(2012), Dental hygiene school community, DaehanNarae, pp.45-48. 

  22. S.M. Lee(2007), Some students of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analysis of the nutritional factors, Korea Journal of Dental Hygiene, Vol.7(1);41. 

  23. H.S. Suh K.S. Park(2003), Workers Chungnam area level, and behavior on the Oral Health Research, Journal of Oral Health, Vol.27(4);641-653. 

  24. J.S. Park(2010), Effective oral health care worker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demand study, Journal of Korea Dental Health, Vol.10(5);819-829. 

  25. C.H. Hee, Y.H. Jang(2010), A Study on the Dental Plaque Formation and Oral Health Condition of Preschool Children in G Collge in Affili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4(2);6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