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컴퓨터 작업시 책상과 체간사이 거리가 전방 머리 자세와 목과 어깨 근육들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stance Between Trunk and Desk on Forward Head Posture and Muscle Activity of Neck and Shoulder Muscles During Computer Work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8 no.4, 2013년, pp.601 - 608  

이원휘 (전주비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stance between trunk and desk on forward head posture and muscle activity of neck and shoulder muscles during computer work. METHODS: Twenty subjects who have healthy conditions were asked to perform computer work in two condi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컴퓨터 작업 동안 전방 머리 자세를 유발하는 작업 자세와 같은 개인적인 요인들에 대한 연구들은 환경적인 요인에 대한 연구들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작업 자세 중 책상과 체간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전방 머리 자세를 유발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우고 책상과 체간 사이 거리가 전방 머리 자세와 목과 어깨 근육의 근 활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컴퓨터 작업시 책상과 체간사이 거리가 전방 머리 자세와 목과 어깨 근육의 근 활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방 머리 자세란? 컴퓨터 작업이 근골격계 통증을 일으키게 되는 원인들 중 전방 머리 자세(forward head posture)가 있다. 전방 머리 자세는 장시간 모니터를 응시하는 자세로 인해 아래 목뼈는 과도하게 전방 커브가 되고 균형 유지를 위해 위 등뼈는 과도하게 후방 커브가 되는 자세이다(Szeto 등, 2002). 우리 몸에서 머리의 무게는 체중의 약 1/7로 목 주변 구조물들은 항상 머리의 부하를 유지하고 있다.
전방 머리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는 것의 문제점은? 2012). Moore (2004)는 이러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면 상지 교차 증후군(upper crossed syndrome)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 및 균형 장애도 유발할 수 있다고 하였다(Kang 등, 2012; Szeto 등 2005; Yoo와 Kim, 2010). 또한 만성 목 질환뿐만 아니라 등뼈 및 어깨뼈의 근골격계 질환도 유발한다(BurgessLimerick 등, 1998; Griefel-Morris 등, 1992).
목통증이 주로 나타나는 직업은? 목통증은 일생동안 70%의 사람들이 경험하는 일반적인 증상으로 유병률이 매우 높다(Falla와 Farina, 2007; Javanshir 등, 2011). 또한 목통증은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의 한 부분을 차지하며 특히 컴퓨터를 장시간동안 사용하는 직업에서 주로 나타난다(Babski-Reeves등, 2005). 컴퓨터를 사용하는 작업은 모니터를 주시하기 위해 목과 몸통은 정적인 자세를 유지함과 동시에 상지는 동적인 키보드 작업을 요구 하므로 작업자는 이러한 부자연스런 자세에 장시간 노출된다(Yi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bski-Reeves K, Stanfield J, Hughes L. Assessment of video display workstation set up on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low back and neck discomfort. Int J Ind Ergon. 2005;35:593-604. 

  2. Burgess-Limerick R, Plooy A, Ankrum DR. The effect of imposed and self-selected computer monitor height on posture and gaze angle. Clin Biomech. 1998;13(8):584-92. 

  3. Caneiro JP, O'Sullivan P, Burnett A, et al. The influence of different sitting postures on head/neck posture and muscle activity. Man Ther. 2010;15(1):54-60. 

  4. Chiou WK, Chou WY, Chen BH. Notebook computer use with different monitor tilt angle: effects on posture, muscle activity and discomfort of neck pain users. Work. 2012;41(Suppl):2591-5. 

  5. Chiu TT, Ku WY, Lee MH, et al. A study on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neck pain among university academic staff in Hong Kong. J Occup Rehabil. 2002;12(2):77-91. 

  6. Cram J, Kasman G, Holtz J. Introduction of surface electromyography. Gaithersburg, MD: Aspen Publishers; 1998. 

  7. Falla D, Farina D. Neural and muscular factors associated with motor impairment in neck pain. Curr Rheumatol Rep. 2007;9(6):497-502. 

  8. Falla D, Farina D, Kanstrup Dahl M, Graven-Nielsen T. Pain-induced changes in cervical muscle activation do not affect muscle fatigability during sustained isometric contraction. J Electromyogr Kinesiol. 2008;18(6):938-46. 

  9. Griegel-Morris P, Laeson K, Mueller-Klaus K, et al. Incidence of common postural abnormalities in the cervical, shoulder and thoracic regions and their association with pain in two age groups of healthy subjects. Phys Ther. 1992;72(6):425-31. 

  10. Hansson GA, Nordander C, Asterland P, et al. Sensitivity of trapezius electromyography to differences between work tasks-influence of gap definition and normalisation methods. J Electromyogr Kinesiol. 2000;10(2):103-15. 

  11. Javanshir K, Mohseni-Bandpei MA, Rezasoltani A, et al. Ultrasonography of longus colli muscle: A reliability study on healthy subjects and patients with chronic neck pain. J Bodyw Mov Ther. 2011;15(1):50-6. 

  12. Kang JH, Park RY, Lee SJ, et al. The effect of the forward head posture on postural balance in long time computer based worker. Ann Rehabil Med. 2012;36(1):98-104. 

  13. Kim MH, Yi CH, Kwon OY et al. Changes in neck muscle electromyography and forward head posture of children when carrying schoolbags. Ergonomics. 2008;51(6):890-901. 

  14. Kim MH, Yoo WG. Effects of a visual feedback device for hip adduction on trunk muscles and sitting posture in visual display terminal workers. Asia Pac J Public Health. 2011; 23(3):378-85. 

  15.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Video display terminal (VDT) Guidelines (Notification : 2012-72);2012. 

  16. Moffet H, Hagberg M, Hasson-Risberg E, et al. Influence of laptop computer design and working position on physical exposure variables.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2;17(5):368-75. 

  17. Moore MK. Upper crossed syndrome and its relationship to cervicogenic headache. J Manupulative Physiol Ther. 2004;27(8):414-20. 

  18. Park SD,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neck and shoulder muscle during the computer typing in forward head posture.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2005 

  19. Park SY, Yoo WG. Effect of EMG-based feedback on posture correction during computer operation. J Occup Health. 2012;54(4):271-7 

  20. Psihogios JP, Sommerich CM, Mirka GA, et al. A field evaluation of monitor placement effects in VDT users. Appl Ergon. 2001;32(4):313-25. 

  21. Seghers J, Jochem A, Spaepen A. Posture, muscle activity and muscle fatigue in prolonged VDT work at different screen height settings. Ergonomics. 2003;46(7):714-30. 

  22. Schuldt K, Ekholm J, Harms-Ringdahl K, et al. Effects of changes in sitting work posture on static neck and shoulder muscle activity. Ergonomics. 1986;29(12):1525-37. 

  23. Straker L, Pollock C, Burgess-Limerick R, et al. The impact of computer display height and desk design on muscle activity during information technology work by young adults. J Electromyogr Kinesiol. 2008;18(4):606-17. 

  24. Szeto GP, Straker L, O'sullivan PB. A comparison of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office workers performing monotonous keyboard work-2: Neck and shoulder kinematics. Man Ther. 2005;10(4):281-91. 

  25. Szeto GP, Straker L, Raine S. A field comparison of neck and shoulder postures i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office workers. Appl Ergon. 2002;33(1):75-84. 

  26. Tepper M, Vollenbroek-Hutten MMR, Hermens JH, et al. The effect of an ergonomic computer device n muscle activity of the upper trapezius muscle during typing. Appl Ergon. 2003;34(2):125-30. 

  27. Yi CH, Yoo WG, Kim MH. The effect of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al device during computer work. Phys Ther Kor. 2006;13(1):9-15. 

  28. Yoo WG, Kim MH. Effect of different seat support characteristics on the neck and trunk muscles and forward head posture of visual display terminal workers. Work. 2010;36(1):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