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 장산 지역의 구과상(球課狀) 유문암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Petrological Study on the Spherulitic Rhyolite in the Jangsan Area, Busan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22 no.3, 2013년, pp.219 - 233  

박수미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부산광역시 동부의 장산화산암체는 화산함몰체로 알려져 있고, 화산함몰체 외각부를 따라 구과상 유문암$60^{\circ}{\sim}90^{\circ}$의 각도로 수직유상구조를 보여주며 환상암맥으로 나타난다. 구과의 직경은 수 mm에서 2.8 cm 이상이며, 평균적으로 5~10 mm로 측정되었다. 이들 구과는 하나의 핵을 중심으로 방사상을 나타내는 단식 구과형과 육안상 흰색을 띠는 각을 가지면서 핵 부분을 중심으로 방사상을 나타내는 방사상 단식 구과형으로 비교적 단순한 형태를 보여주며, 이들 구과들이 서로 인접하여 합체된 포도송이와 같은 집합체를 보여주기도 한다. 구과의 동심원상 핵 부분에 대한 전자현미분석 결과, 은미정질 기질부 물질의 성분은 주로 $SiO_2$가 거의 82% 이상, $Al_2O_3$는 7~10%, $Na_2O+K_2O$는 8% 이하의 실리카 물질과 장석(새니딘)의 미세한 섬유상 교생으로 나타났다. 구과에 대한 X-선 회절분석 결과, 석영, 새니딘, 앨바이트 그리고 소규모의 운모, 카오린, 녹니석으로 구성되며, X-선 면분석 결과, 핵 부분은 $SiO_2$가 풍부하며, 각 부분은 $Na_2O$ 또는 $K_2O$, $Al_2O_3$가 풍부하였다. 장산콜드론의 유문암 암맥에서 나타나는 구과의 깃털형과 비등형 결정 형태는 마그마 관입에 의한 이동속도보다 유리질 물질로부터 탈유리화작용이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고, 비교적 정체된 상태에서 급속한 냉각으로 형성되었음을 지시한다. 구과들은 고규산(75.4~75.7 wt.%) 유문암질 마그마로부터 유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herulitic rhyolite occur as part of ring dyke which showing a vertical flowage of $60^{\circ}{\sim}90^{\circ}$, of the Jangsan cauldron was studied. The spherulites range in diameter from a few millimeters to 2.8 centimeters or more, and average 5~10 millimeters. It belongs to radi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지역의 유문암의 산출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상구조의 주향과 경사를 고도에 따라 측정하였다. 해운대구 우동 해발 고도 133 m (N35°10'42.
  • 본 연구 지역인 경상분지 유천소분지의 동남쪽에 위치하는 부산 장산(634 m) 일대의 화산암체에 유상 구조와 구과상 구조를 가지는 유문암이 산출되며, 동심원상 구조보다는 핵 부분에 방사상 구조가 잘 나타나고 있다. 장산 지역에서 나타나는 구과상 유문암에 대한 암석학적 특징 및 성인 고찰을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된 바 없어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질도폭(Son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문암의 특징적인 조직은? 일반적으로 유문암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조직은 비현정질(非顯晶質) 조직이며, 결정의 존재 유무 및 미결정의 크기에 따라 유리질, 미정질(微晶質), 은미정질(隱微晶質) 석기에 반정(斑晶)광물이 존재하는 반상(斑狀)조직을 나타내며 유상구조(流狀構造, flow structure)를 나타낸다.
장산 일대의 유문암은 어떤 구조인가? 본 연구 지역인 경상분지 유천소분지의 동남쪽에 위치하는 부산 장산(634 m) 일대의 화산암체에 유상 구조와 구과상 구조를 가지는 유문암이 산출되며, 동심원상 구조보다는 핵 부분에 방사상 구조가 잘 나타나고 있다. 장산 지역에서 나타나는 구과상 유문암에 대한 암석학적 특징 및 성인 고찰을 목적으로 연구가 진행된 바 없어 이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부산 장산 구과상 유문암의 구과의 특징은? 부산 장산 구과상 유문암의 구과는 유문암이 60° 에서 90° 의 각도로 수직으로 관입한 곳에서 주로 발달해 있었다. 구과의 크기는 1 mm 이하에서부터 2.8 cm보다 큰 것도 관찰되며 5~10 mm의 것들이 많았다. 이들 구과의 대부분은 방사상 단식구과형에 속한다. 구과 내에 나타나는 실리카함량의 높은 섬유상 광물은 이들이 성장과정에서 빠르게 냉각되었음을 지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Cha, M.S., 1976, Petrological study on the Bulgugsa acidic igneous rocks in Busan are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Mining Geology, 9, 85-106. 

  2. Cha, M.S., 1985, Ring structure in the southeastern Kyeongsang basin(1), Journal of College of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11, 369-386. 

  3. Cha, M.S. and Yun, S.H., 1982, Cretaceous volcanic activity in the vicinity of Busan: Jangsan caldera remnant structure, Journal of Natural Science, Pusan National University, 34, 377-388. 

  4. Ewart, A., 1971, Chemical changes accompanying spherulitic crystallization in rhyolite lavas, Central Volcanic Region, New Zealand. Mineralogical Magazine, 38, 424-434. 

  5. Fowler, A.D., Berger, B., Shore, M., Jones, M.I. and Ropchan, J., 2002, Supercooled rocks: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of varioles, spherulites, dendrities and spinifex in Archaean volcanic rocks, Abitibi Greenstone belt, Canada. Precambrian Research, 115, 311-328. 

  6. Hatch, D.M. and Ghose, S., 1991, The ${\alpha}-{\beta}$ transition in cristobalite, $SiO_2$ , Physics and Chemistry of Minerals, 17, 554-562. 

  7. Holmes, A., 1920, The Nomenclature of Petrology, with references to selected literature. London, Thomas Murby & Co., 284p. 

  8. Hwang, S.K., 1998, Volcanic geology of the Juwangsan area, Cheongsong. Guidebook for 1998 spring field excursion. 42p. 

  9. Jang, T.W., Kang, P.J., Park, S.H., Hwang, S.K. and Lee, D.W., 1983,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1:50,000) of Busan and Gadeuk sheets.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logical and Mineral Resources, Seoul, Korea, 22p. 

  10. Kim, H.J., 2009, Petrological study on the felsic volcanic rocks in the Jangsan, P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Master thesis, 82p. 

  11. Lofgren, G., 1970, Experimental devirtrification rate of rhyolite glas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81, 553-560. 

  12. Lofgren, G., 1971, Spherulitic textures in glassy and crystalline rock: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76, 5635-5648. 

  13. Lofgren, G., 1974, An experimental studies on the dynamic crystallization of silicate melts. in Physics of Magmatic Processes (ed. R. B. Hargrav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Jersey, 487-551. 

  14. Morse, H.W., Warren, C.H., and Donnay, J.D.H., 1932, Artificial spherulites and related aggregates. Americal Journal of Science, 5th series, 23, 421-39. 

  15. Oh, C.W., Kim, S.W., Hwang, S.K., Son, C.W., Kim, C.S. and Kim, H.S., 2004, The Study on the Spherulitic Rhyolites in the northern part of Juwang Mt., Cheongsong. Journal of Petroogical Society of Korea, 13, 103-118. 

  16. Son, C.M., Lee, S.M., Kim, Y.G., KIm, S.W., and Kim, H.S., 1978,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1:50,000) of Dongrae and Weolnae sheets(Sheet-7019-IV-I). Korea Research Institute of Geological and Mineral Resources, Seoul, Korea, 27p. 

  17. Yun, S.H. and Sang, K.N., 1994, Geochronology and cauldron structure of the Cretaceous volcanic complexes in southern Kyeongsang basin, Korea.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5, 376-391. 

  18. Yun, S.H., Koh, J.S. and Kim. H.J., 2010, Emplacement pressure and equilibrium temperature of the Cretaceous rhyolitic magma chamber in the Mt. Jangsan, Busan,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6, 119-1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