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질산이온은 식물체의 주된 영양분중의 하나이며, 다수확을 위하여 자주 과량이 시용되고 있다. 이것은 토양중 질산이온이 집적되어 염류장애의 주된 이유가 되며, 유리 및 비닐 온실의 토양에서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산농가의 배수구 주위 젖은 토양으로 부터 6가지 미생물을 분리하였으며, 그들의 질산이온 흡수 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미생물들은 1,000-3,000 ppm (10-50 mM) 수준의 질산이온을 제거할 수 있었으며, 특히 PCE3 균주는 4,000 ppm으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 균주들을 동정하기 위하여, 16S rRNA 유전자 서열을 결정하고 분석하였다. 이들 균주중 PCE3 균주는 Bacillus 속으로 확인되었다. 균주의 성장과 질산이온 흡수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37^{\circ}C$와 pH 7-9 범위에서 최대 값을 보였다. Bacillus sp. PCE3 균주는 배지의 질산이온 농도에 따라 40-60 mM (2,500-3,700 ppm)의 질산이온을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Bacillus sp. PCE3 균주는 질산이온이 집적한 시설원예 토양에서 질산이온 제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trate is one of the major nutrients in plants, and nitrate fertilizer often overused for the high yields of crops. Nitrate deposit in soil became one of the major reasons causing salt stress. Specially, salt stress is a serious problem in the soils of plastic film or glass houses. In this study,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산이온 흡수능이 크고 환경에 적응력이 우수한 균종을 분리하던 중, Bacillus sp. PCE3 균주를 축산폐수를 접하는 토양에서 분리하였고, 이 균주의 우수성을 확인하였기에 다양한 조건에서의 균주의 질산이온 흡수 특성을 조사하였다.
  • 질산이온의 농도를 30-500 mM까지 증가시키며 Bacillus sp. PCE3 균주의 성장 및 질산이온 흡수능을 측정하였다(Fig. 3). 질산이온의 첨가에 따른 균주의 성장은 대체로 일정하였으며, 높은 질산이온 농도에서도 균주의 성장은 양호하였다.
  • Bacillus sp. PCE3 균주의 성장과 질산이온 흡수를 위한 최적 조건을 확인하기 위하여 pH 5-9 범위에서 10시간 배양하였을 때, 균주의 성장과 질산이온 흡수를 측정하였다(Fig. 4). pH가 증가함에 따라 균주의 성장도 같이 증가하였으나, pH 5에서는 균주의 성장과 질산이온의 흡수를 관측할 수 없었다.
  • )을 통해 정제하였고, 염기서열은 ABI PRISM 3700 DNA 분석기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다른 균주와의 유전자 염기서열 상동성은 BLASTn(NCBI, Bethesda, M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계통수 분석은 neighbor-joining 방법에 따라 만들어졌으며, 진화적 거리는 Clustal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 배지의 pH 조절은 조제한 배지가 다량의 단백질 및 펩티드 성분과 인산염 등을 포함하고 있어 자체적인 완충력을 가짐으로 별도의 완충액을 첨가하지 않고 이루어졌다. 따라서 배양전 배지의 초기 pH 조정은 가능한 적은양의 산과 염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즉, PAF 배지를 pH 5에서 pH 9까지 조절하기 위하여, pH 5, 6, 7은 묽은 HCl, pH 8, 9는 묽은 NaOH 용액이 사용되었다.
  • 미생물 균주에 의한 질산이온 흡수는 균주의 배양중 배지에 남아있는 질산이온의 양을 정량분석하여 측정하였다. 질산이온의 농도는 질산이온전극과 표준전극(double junction reference electrode)을 이용한 이온분석기(Ion Selective Analyzer, Orion 960 ISE 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Kang과 Hong, 2004).
  • 즉, PAF 배지를 pH 5에서 pH 9까지 조절하기 위하여, pH 5, 6, 7은 묽은 HCl, pH 8, 9는 묽은 NaOH 용액이 사용되었다. 배지의 pH 변화는 pH 측정기(M-92, MeterLab Co., France)로 측정하였다.
  • 배지의 pH 조절은 조제한 배지가 다량의 단백질 및 펩티드 성분과 인산염 등을 포함하고 있어 자체적인 완충력을 가짐으로 별도의 완충액을 첨가하지 않고 이루어졌다. 따라서 배양전 배지의 초기 pH 조정은 가능한 적은양의 산과 염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 미생물 균주는 다양한 농도의 질산이온, 서로 다른 탄소원, pH별로 PAF 액체배지에서 37℃에 12시간동안 150 rpm의 교반상태로 배양하였다. 세균의 균수는 분광광도계(U2000, Hitachi, Tokyo)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고, 이것을 균수에 따른 표준곡선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 분리한 균주는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하고 염기서열비교방법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유전자 DNA는 Wizard genomic DNA purification kit (Promega Co., Madison, USA)를 이용하여 미생물 배양체에서 분리하였고, 유전자 증폭은 universal primer인 518F와 800R을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며, PCR 산물들은 Wizard SV Gel과 PCR clean-up 시스템(Promega Co.)을 통해 정제하였고, 염기서열은 ABI PRISM 3700 DNA 분석기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다른 균주와의 유전자 염기서열 상동성은 BLASTn(NCBI, Bethesda, M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 질산이온 흡수능력이 탁월한 PCE3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유전자 증폭방법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PCE3 균주의 염기서열은 BLAST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전자은행에 등록하였다(GenBank Accession No.
  • 5 g; glycerol, 10 mL; Agar, 15 g/L)에 도말하여 배양하였다. 질산이온 흡수능이 큰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배지에 50 mM KNO3를 첨가하였고, 37℃에서 12시간 이상 배양하여 성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였다. 미생물 균주는 다양한 농도의 질산이온, 서로 다른 탄소원, pH별로 PAF 액체배지에서 37℃에 12시간동안 150 rpm의 교반상태로 배양하였다.
  • 질산이온 흡수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pH를 7.0으로 고정하고 배양온도를 달리하여 균주의 질산이온 흡수를 측정하였다(Fig. 5). 균주를 20, 25, 37, 45℃의 각 온도조건에서 배양하면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20℃에서는 성장이 매우 늦었고 질산이온의 흡수도 약 10%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 미생물 균주에 의한 질산이온 흡수는 균주의 배양중 배지에 남아있는 질산이온의 양을 정량분석하여 측정하였다. 질산이온의 농도는 질산이온전극과 표준전극(double junction reference electrode)을 이용한 이온분석기(Ion Selective Analyzer, Orion 960 ISE 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Kang과 Hong, 2004). 표준용액과 배양액 시료의 측정은 50:1 (v/v)의 비율로 이온강도조정용액(Ion Strength Adjuster)을 섞은 후에 이루어졌다, 전극은 사용하기 전에 50 ppm의 질산이온 표준용액에 2시간동안 안정화시키고, 분석 전에 5 ppm과 50 ppm의 질산이온표준용액을 사용하여 보정을 하였다.
  • 양계장과 양돈장을 포함하는 축산농가의 하수 배출구 주위 환경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높은 농도의 질산이온을 함유하는 선택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총 6종의 미생물 균주를 콜로니의 색과 모양에 따라 분리하였고, 균주의 성장과 질산이온 흡수력을 측정하였다(Fig. 1). 균주중 PCE3 균주는 탁월한 성장력과 더불어 높은 질산이온 흡수능력을 갖고 있었다.

대상 데이터

  • 양계장과 양돈장을 포함하는 축산농가의 하수 배출구 주위 환경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높은 농도의 질산이온을 함유하는 선택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총 6종의 미생물 균주를 콜로니의 색과 모양에 따라 분리하였고, 균주의 성장과 질산이온 흡수력을 측정하였다(Fig.

데이터처리

  • 질산이온 흡수능력이 탁월한 PCE3 균주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유전자 증폭방법을 통하여 결정하였다. PCE3 균주의 염기서열은 BLAST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전자은행에 등록하였다(GenBank Accession No. KC544070). PCE3 균주는 phylogenetic tree 분석을 통하여 Bacillus에 속하는 균주임을 확인하였으나, 기존에 보고된 유전자은행의 균주들 중 유전자 서열에서 상동성이 98% 이상인 균주를 찾을 수 없어 Bacillus sp.
  • 다른 균주와의 유전자 염기서열 상동성은 BLASTn(NCBI, Bethesda, M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계통수 분석은 neighbor-joining 방법에 따라 만들어졌으며, 진화적 거리는 Clustal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론/모형

  • 분리한 균주는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하고 염기서열비교방법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유전자 DNA는 Wizard genomic DNA purification kit (Promega C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농도 질산이온을 함유한 선택배지에서 PCE3 균주의 질산이온 흡수 양상을 성장기간에 따라 살펴본 결과는? PCE3 균주는 접종 후 약 2시간에 대수기 성장을 시작하여 약 6시간 만에 정체기에 도달하였으며, 배지에 존재하는 50 mM (3,100 ppm) 질산이온을 대부분 제거하였다. 균주의 성장기간에 따른 질산이온의 흡수는 접종 후 2시간이 지나서부터 증가하여 6시간 후 최대치를 보였다. 이 결과는 PCE3 균주의 질산이온 흡수활성이 균주의 성장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Strohm 등, 2007), 질산이온이 균주성장의 영양원이거나 전자수용체로 역할을 함을 의미한다(Steenhoudt 등, 2001).
질산이온 흡수에 우수한 활성을 갖는 Enterobacter sp. GG0461 균주의 단점은? GG0461 균주를 분리하였고, 이를 시설재배지 토양에 처리하였을 때, 염류제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Kim 등, 2009). 그러나, 이 균주는 그램 음성균으로 환경에 노출시 토양중 정착 효율이 크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산이온 흡수능이 크고 환경에 적응력이 우수한 균종을 분리하던 중, Bacillus sp.
토양 중 질산염류의 과다축적이 식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질소원으로 중요한 질산이온은 식물의 생육 초기부터 성장에 주된 영양소로 이용되며(Crawford, 1995), 질산이온의 흡수량과 작물의 성장량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Walker 등, 2001). 그러나 토양중 질산염류의 과다축적은 오히려 염류장애라는 생육장애 현상을 유발하며, 특히 생육초기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함이 알려져 있다(Hasegawa 등, 2000; Kang과 Hong, 2004). 질소질 비료의 사용량은 토양중 함유량에 따라 시용권장량이 제시되고 있으나, 생산 증대를 목적으로 한 다비재배법은 질소질 비료의 과다 시비로 시설을 이용한 원예작물에서 큰 피해가 나타나고 있다(Kang 등, 1996; Cha-um 등, 2010; Mori 등,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rchibald RD, Harper RJ, Fox JED, and Silberstein RP (2006) Tree performance and root-zone salt accumulation in three dryland Australian plantations. Agroforest Syst 66, 191-204. 

  2. Cha WS, Choi HI, Lee DB, and Cha JM (200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nitrification bacteria. Kor J Biotechnol Bioeng 18, 461-5. 

  3. Cha-um S, Siringam K, Juntawong N, and Kirdmanee C (2010) Water relations, pigment stabilization, photosynthetic abilities and growth improvement in salt stressed rice plants treated with exogenous potassium nitrate application. Int J Plant Prod 4, 187-98. 

  4. Crawford NM (1995) Nitrate: Nutrient and signal for plant growth. Plant Cell 7, 859-68. 

  5. De Pascale S, Barbieri G, and Ruggiero C (1997) Effects of water salinity on plant growth and water relations in snap bean(Phaseolus vulgaris L.). Acta Hort 449, 649-55. 

  6. Drysdale GD, Kasan HC, and Bux F (1999) Denitrification by heterotrophic bacteria during activated sludge treatment. Water SA 25, 357-62. 

  7. Eid RA, Abo-Sedera SA, and Attia M (2006) Influence of nitrogen fixing bacteria incorporation with organic, and/or inorganic nitrogen fertilizers on growth, flower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elosia argentea. World J Agric Sci 2, 450-8. 

  8. Eker S, Comertpay G, Konuskan O, Ulger AC, Ozturk L, and Cakmak I (2006) Effect of salinity stress on dry matter production and ion accumulation in hybrid maize varieties. Turk J Agric For 30, 365-73. 

  9. Hasegawa PM, Bressan RA, Zhu JK, and Bohnert HJ (2000) Plant cellular and molecular responses to high salinity.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52, 463-99. 

  10. Hassen AA, Xu J, and Yang J (2007) Growth conditions of associative nitrogen-fixing bacteria Enterobacter cloace in rice plants. Agric J 2, 672-5. 

  11. Kang BG, Jeong IM, Min KB, and Kim JJ (1996) Effect of salt accumulation on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lettuce (Lactuca sativa, L.). Kor J Soil Sci Fert 29, 360-4. 

  12. Kang SS and Hong SD (2004) Estimation of optimum application rate of nitrogen fertilizer based on soil nitrate concentration for tomato cultivation in plastic film house. Kor J Soil Sci Fert 37, 74-82. 

  13. Kim ST, Choi TG, Wang HS, and Kim YK (2009) Nitrate removal mediated by soil microorganism, Enterobacter sp. GG0461. J Gen Appl Microbiol 55, 75-9. 

  14. Lee YH, Sonn YK, Lee ST, Heo JY, Kim MK, Kim ES et al. (2012) Effects of oyster shell lime on barley growth and soil microbe in an upland soil. Korean J Soil Sci Fert 45, 610-3. 

  15. McIsaac G (2003) Surface water: Pollution by nitrogen fertilizers. In Encyclopedia of Water Science, (2nd ed). University of Illinois, USA. 

  16. Mori M, Di Mola I, and Quaglietta CF (2011) Salt stress and transplant time in snap bean: growth and productive behabiour. Intern J of Plant Prod 5, 49-64. 

  17. Shanan NT and Higazy AM (2009) Intergrated biofertilization management and cyanobacteria application to improve growth and flower quality of Matthiola incana. Res J Agr Biol Sci 5, 1162-8. 

  18. Steenhoudt O, Ping Z, Broek AV, and Vanderleyden J (2001) A spontaneous chlorate-resistant mutant of Azospirillum brasilense Sp245 displays defects in nitrate reduction and plant root colonization. Biol Fertil Soils 33, 317-22. 

  19. Strohm TO, Griffin B, Zumft WWG, and Schink B (2007) Growth yields in bacterial denitrification and nitrate ammonification. Appl Environ Microbiol 73, 1420-4. 

  20. Walker RL, Burns, IG, and Moorby J (2001) Responses of plant growth rate to nitrogen supply: a comparison of relative addition and N interruption treatments. J Exp Bot 52, 309-17. 

  21. Wang HS, Han MW, and Kim YK (2010) Chlorate-induced inhibition of nitrate uptake mediated by Enterobacter amnigenus GG0461.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3, 164-9. 

  22. Zayed G and Winter J (1998) Removal of organic pollutants and of nitrate from wastewater from the dairy industry by denitrifica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49, 469-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