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이 직무가치관과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that social welfare officials' awareness of welfare has on their sense of duty value and duty efficiency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1, 2013년, pp.133 - 141  

조은숙 (국제문학원대학원대학교) ,  김종태 (국제문학원대학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내의 핵심역량이라 할 수 있는 사회복지공무원들의 복지의식이 직무가치관과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가 갖는 함의는 첫째,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수준을 실증적으로 밝혀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둘째,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이 직무가 치관과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 제고의 필요성, 복지정책과 제도의 바람직한 운용을 위한 접근방향과 대안개발에 구체적인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지정책이 평등화 효과를 높이고 무임승차나 근로의욕 저해를 최소화하는 방향에서 수립되고 운영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넷째, 복지관련 업무경력이 낮을수록 낮은 복지가치관과 직무가치관, 직무효과성을 보인다는 사실을 통해 사회복지공무원의 업무체계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의거하여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에 대한 연구의 활성화, 사회복지공무원 대상 복지정책, 제도, 가치 등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의 필요성, 사회적 형평성과 평등화를 제고하는 방향에서의 복지정책의 결정을 통한 사회복지공무원의 긍정적인 복지의식과 직무성과 제고 필요성, 사회복지공무원의 업무체계 개선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that social welfare officials' awareness of welfare, who play the core role in delivering public welfare service, has on their sense of duty value and duty efficiency. The implications this study sugges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공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내에서 서비스의 질과 복지대상자의 서비스만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핵심역량이라 할 수 있는 사회복지공무원들의 특수한 가치체계로서의 복지의식이 직무가치와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 공무원의 복지의식 및 직무가치에 대한 인식과 직무효과성 수준을 파악하고 복지의식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지각하는 직무가치와 직무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이 복지발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주목하고 사회복지공무원의 복지의식이 직무가치관과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가 갖는 결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공공복지서비스 전달체계 내에서 서비스의 질과 복지대상자의 서비스만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핵심역량이라 할 수 있는 사회복지공무원들의 특수한 가치체계로서의 복지의식이 직무가치와 직무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 공무원의 복지의식 및 직무가치에 대한 인식과 직무효과성 수준을 파악하고 복지의식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지각하는 직무가치와 직무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하에서는 본 연구와 관련된 복지의식 측정과 관련한 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지의식이란? 복지의식은 한 사회의 정치ㆍ경제적 기반 위에서 사회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복지제도에 대한 생각, 가치, 태도 등을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로서(양옥경, 2002: 231), 국가의 복지정책 일반 또는 궁극적 복지책임주체에 대한 가치지향이나 태도를 의미한다(함철호ㆍ이중섭, 2010: 302). 그런 점에서 복지의식은 복지에 대한 인식, 복지에 대한 감정, 의지 등을 함축하는 개념으로서 사회복지를 통해서 사회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에 대해서 사회구성원들이 지니는 전반적이고 일반적인 사고와 가치판단의 틀이자 가치인식체계라 규정할 수 있다.
가치는 어떠한 것의 기반이 되는가? 가치는 상대적으로 무엇이 옳고 그른지 밝혀주거나 좋고 싫음을 명백하게 밝혀주는 일반적인 신념이다.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보다 선호하는 지속적인 신념으로 가치는 가장 견고한 개인의 특성이며 행동이나 선호, 결정, 삶의 방향, 개인 취향의 기반이 되는 것이다(Rokeach, 1973: 5).
전국의 사회복지인력으로 투입된 공무원은 몇명인가? 사회복지전담공무원 제도는 1987년 7월 별정직인 사회복지전문요원 49명을 공공부문에 전문 사회복지인력으로 투입하면서 최초로 시작된 이후 1991년 7월 사회복지공무원에 대한 법적 근거인 ‘사회복지전문요원 직무 및 관리운영에 관한 규칙’(보건사회부 훈령 제622호)가 마련되어 사회복지전문요원 1,676명이 신규 배치되었다. 사회복지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전국의 공무원 현황은 총22,338명으로 사회복지직 공무원이 10,496 (47.0%)명이며, 일반행적직 공무원은 11,842명(5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G. M. Nam & S. H. Le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limat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lient-Oriented Tendency of Social Workers in Public Sector. -Focused on Empowerment and Jab Satisfaction as Mediators, Academy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Vol. 13, No. 3, pp. 123-152, 2011. 

  2. C. H. Park, The job and character of superial central officials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Vol 7, No. 1, pp.179-201, 2008. 

  3. M. J. H. Seo & S. G. Sun,. A Study on the Professionalism and Burn-out of Social Welfare Officials : Group Differences between Social-Welfare and Non-Social-Welfare Professionals, Academy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Vol. 13, No. 3, pp. 231-255, 2011. 

  4. Gui-Geun Song, A study on the professional capacity of social welfare public officials in a local government: focused on the case of GwangJu, Ph.D.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2012. 

  5. D. K. Oh, Effect of perceived value of Work(PVW) on job effectiveness,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 17 No. 3, pp. 375-399, 2004. 

  6. Hyun-Sook. You, The Impact of Work Stress of Social Welfare Officials on Their Work Performance, Ph.D.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2010. 

  7. C. Y. Yoon, An inconvenient truth about public officer in charge of the social welfare, Monthly welfare trend, Vol. 126. pp. 55-56, 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