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업의 융복합 환경에서 코칭리더십, 직무특성, 조직효과성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Coaching Leadership,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onvergence Environm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5, 2016년, pp.247 - 262  

권기창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  양해술 (호서대학교 벤처대학원 정보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융복합 환경에서 창의성을 포함한 인적자원의 역량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코칭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직무특성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코칭리더십이 조직 효과성의 행동적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리더의 코칭활동은 직무특성에는 정적, 이직의도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특성은 코칭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코칭리더십 자체가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코칭 활동을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형성될 때 조직시민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coaching leadership has been highlighted to enhance creativity and competence of human resources in convergence environment. This paper was validated through a structural relationships model, the impact of coaching leadership on behavioral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Stowell(1987)이 제안한 직무기반의 방향제시, 개발과 수행평가, 그리고 관계 요인 등 코칭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 등 행동적 차원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영향력을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코칭리더십의 직무특성에 대한 영향력, 그리고 직무특성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영향력도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코칭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모형에서 직무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둘째, 공변량을 통해 잠재요인이 갖는 전체효과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구분하여 제시함으로써 매개변인의 기능을 파악하는데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닌다[6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장점을 지닌 구조방정식을 통해 직무특성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고, 연구모델의 인과적 관계를 검토하였다.
  • 더불어 코칭리더십의 직무특성에 대한 영향력, 그리고 직무특성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영향력도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코칭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모형에서 직무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코칭리더십의 활용을 통한 인적자원 관리방안과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한 학술적,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로 인해 조직과 구성원들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 하고 개개인의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칭리더십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직원을 대상으로 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 등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히, 직무특성의 매개적 역할에 주목하여 관리자의 코칭리더십 행동이 조직 효과성의 태도적 변인이 아닌 행동적 차원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모델을 통해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업 내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중간관리자란 최고 관리자과 하위 관리자인 실무자들 사이에서 일하는 사람으로 각 영역의 관리와 책임을 지니고 감독하는 계층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융·복합 환경 속에서 중간관리자의 코칭리더십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조직효과성의 하위차원으로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를 설정하였다.
  • 이때 태도변수는 조직구성원의 만족도나 조직몰입 등이 해당하며, 행동변수는 조직시민행동이나 이직의도를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를 조직효과성의 하위 차원으로 설정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행동변수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39].
  • 본 연구에서는 코칭리더십을 Stowell의 네 가지 코칭 리더십 구성요소(방향제시, 개발, 수행평가, 관계)로 구분하고 이를 통해 코칭리더십이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의 코칭 활동이 직무특성과 조직 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직무특성이 코칭리더십과 조직 효과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연구가설을 도식화하면 [Fig.
  • 본 연구의 첫 번째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 등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Hagan(2012)은 문헌연구를 통해 코칭 활동이 조직효과성의 태도 변인인 직무만족과 성과, 조직몰입, 구성원의 사기를 향상시키며, 더 나아가 조직시민행동, 학습활동, 과업수행과 같은 조직에 기여하는 생산적 행동을 촉진한다고 밝혔다[44].
  • 마지막으로 코칭리더십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모형에서 직무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실증적 연구를 통해 코칭리더십의 활용을 통한 인적자원 관리방안과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한 학술적,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직원을 대상으로 코칭리더십, 직무특성, 조직 효과성 변인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Stowell(1987)이 제안한 직무기반의 방향제시, 개발과 수행평가, 그리고 관계 요인 등 코칭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 등 행동적 차원의 조직효과성에 대한 영향력을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 구성원이 조직을 떠나려는 의도를 가진다면 조직이 달성하려는 목표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줄 수 있는 탓에 이직의도는 조직 효과성을 나타내는 가장 강력한 지표라 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실증적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 효과성의 변인으로 이직 의도를 이용하고자 한다.
  • 조직과 조직구성원들을 이끄는 리더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리더십 중 본 연구에서는 코칭리더십에 주목하고자 한다. 코칭은 기존의 리더십과는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조직구성원의 성과를 극대화시키는데 있어 개인의 잠재능력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2].
  • 직무특성에 대한 인식이 관리자의 코칭리더십과 조직 효과성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정은 모집단으로부터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 데이터를 대상으로 재 표본 추출을 통해 표준오차를 추정하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해 검증하였다[69].
  • 직무특성은 조직구성원들이 업무에 몰입하고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핵심요인이며, 이는 다양성, 정체성, 중요성 등 자신의 직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고, 자율성과 피드백을 통해 업무에 대한 책임감과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하지만 직무특성과 코칭리더십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드문 실정이며[13],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직무특성과 코칭리더십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 코칭리더십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2 : 코칭리더십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3 : 코칭리더십은 직무특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4 : 직무특성은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5 : 직무특성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6 : 조직시민행동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칭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코칭은 조직구성원 개인의 성과 개선을 돕기 위한 것이며 그들에게 대한 존경과 관심, 지지를 표현하는 배려라고 정의한 Fleishman(1957)외에도 많은 연구자들이 코칭에 대하여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다[4]. 이를 정리해보면, 코칭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으로 하여금 자신에게 잠재된 능력을 스스로 발견하고 이를 적절하게 개발하고 활용하도록 도와주는 리더십의 한 종류라고 정의할 수 있다. 급변하는 사회에서 조직이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기존의 강한 리더십이 아닌 보다 수평적인 코칭과 리더십이 결합된 코칭리더십은 그 중요성을 꾸준히 인정받고 있다.
리더란 무엇인가?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하여 조직 내 인적자원의 역량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끌어내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며, 그에 따른 리더의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리더는 조직의 구성원들을 적재적소에 선발하고 이를 평가하며 개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자를 의미한다[1].
중간관리자들이 가지고 있는 책임은 무엇인가? 중간관리자들은 조직이 갖고 있는 전략적 비전과 그것의 실질적인 운영의 중심에 있는 직위를 가진 조직의 구성원이라 할 수 있다[22]. 이들에게는 리더로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휘관으로써의 책임과, 최고관리자를 보좌하는 책임, 그리고 조직구성원들과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는 세 가지 책임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부하직원들의 활동을 조정하는 능력이 반드시 요구된다[2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간관리자들의 코칭리더십이 조직구성원들의 역량개발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고 보고 기업의 중간 관리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A. Thornhill, M. N. K. Saunders, "What if line managers don't realize they're responsible for HR?", Personnel Review, Vol. 27 Issue. 6, pp.460-476, 1998 

  2. B. Redshaw, "Evaluat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Vol. 32 Issue 7, pp.245-248, 2000. 

  3. S. J. Stowell, "Leadership and the coaching process in organiz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Utah, 1986 

  4. E. A. Fleishman, "A leader behavior description for industry. In Stogdill, R. M, Coons, A. E.(Eds.), Leader behavior: Its description and measurement". Columbus, OH: Ohio State University, Bureau of Business Research. 1957. 

  5. D. P. Goleman, "Line manager involvement in learning and development: small beer or big deal", Employee Relations, Vol 25 Issue 3, pp.281-293, 2000. 

  6. D. W.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ungkyunkwan University, 2011. 

  7. M. Baek, "Effects of Coaching Program on Nurses's Emotional Intelligence, Coaching Skill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10. 

  8. K. H. Woo. "The Effects of Coaching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Memb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aster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2009. 

  9. E. J. Choi, "Examine influences of leader development and coaching leadership on motivat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taffs",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Management Chung-Ang University, 2005. 

  10. A. D. Ellinger, A. E. Ellinger, R. G. Hamlin and R. S. Beattie, "Achieving Improved Performance Through Managerial Coaching", Handbook of Improving Performance in the Workplace Vol. 2: Selecting and Implementing Performance interventions, pp.275-298, 2010. 

  11. J. S. Kim, and H. C., Kim, "Linking Leader's Coaching and employees' Performance : the Influence of Intrinsic Motiva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Involvement",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5, No. 2, 675-695 

  12. E. S. Hong, "The Effect of Leadership Coaching Mediated by Self Efficacy on Job-related Performance 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oongsil University, 2009. 

  13. H. R. Woo, "The Moderating Effects of Managerial Coaching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Performance",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5, No. 10, 425-435. 

  14. J. J. Park, "An analysis on the trend of theses regarding coaching leadership and the performance variables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Vol. 8, Issue 1, pp.107 -132, 2012. 

  15. H. Law, S. Ireland and Z. Hussain, The psychology of coaching mentoring and learning. England: John Wiley & Sons Ltd., 2007. 

  16. J. M. Hunt, J. Weintraub, How coaching can enhance your brand as a manager, Journal of Organizational Excellence, Spring, pp.39-44, 2002. 

  17. A. M. Grant, "Enhancing coaching skill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training", Industrial and Commercial Training, Vol. 39 Issue 5, pp.257-266, 2007. 

  18. J. Greene, A. M. Grnat, "Solution-focused coaching: A manager's guide to getting the best from people", London: Peason Education Limited. 

  19. R. Luecke, "Havard business essentials: Coaching and mentoring", Boston, MA: Havard Business School Press. 

  20. J. Whitmore, "Coaching for performance(3rd Ed.)" Lodon: Nicholas Bradley. 

  21. H. S. Choi. "Administrative organization", Seoul: Daemyung, 2015. 

  22. H. Mintzberg, "The structuring organization: a synthesis of the research",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1979. 

  23. H. Uyterhoeven, "General Managers in the Middle", Havard Business Review, September-October, 1989. 

  24. A. D. Ellinger, "Managers as facilitators of learning in learning organiza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GA, 1997. 

  25. P. A. Heslin, D. Vandewalle and G. P. Latham, "Keen to help? Managers' implicit person theories and their subsequent employee coaching", Personal Psychology, Vol. 59, pp.871-902, 2006. 

  26. B. J. Hodge, W. P. Anthony and L. M. Gales, "Organization Theory: A Strategic Approach (6th Ed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03. 

  27. P. M. Muchinsky, "Psychology applied to work: An introduction to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th ed.)". Belmont, CA: Thomson Learning, 2006. 

  28. H. P. Sims, A. D. Szilagyi and R. T. Keller, "The measurement of job characteristic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19, pp.195-212, 1976. 

  29. J. R. Hackman, G. R. Oldham,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0 Issue 2, pp.159-170, 1975. 

  30. J. R. Hackman, G. R. Oldham, "Work redesign", MA: Addison - Wesley, 1980. 

  31. J. R. Hackman, G. R. Oldham, "Motivation through the design of work: test of a theor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Vol 16 Issue 2, pp.250-279, 1976. 

  32. P. S. Byun, J. Y. Ko, Y. N. Lee and S. R. Kim, "A Study on Employees Job Characteristics, LMX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Food service Corporation", Journal of Food service Management, Vol.10 No.4, pp. 7-28, 2007. 

  33. H. S. Joo, S. H. Yoon, H. K. KIM, "The Impact of Convention Center Employee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 Committment, Job satisfaction, and Citizenship behavior",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 21 No.4, pp.43-60, 2007 

  34. H. S. Choi,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trategy, Structure, Task Characteristics and Hotel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Vol. 15 Issue. 1, pp. 59-80, 2006. 

  35. S. S. Shick, A Study on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Task characteristics on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ERP, Journal of International accounting Studies, Vol. 14, pp.207-225, 2006. 

  36. Robbins, S. P. "Organizational theory: Structure, design, and application. (3r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90. 

  37. J. P. Campbell, "On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P. S. Goodman & J. M. Pennings(Eds.). New perspectiv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p. 13-56). San Francisco: Jossey-Bass, 1977. 

  38. K. Cameron, "Measur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 23 Issue. 4, pp. 604-632, 1978. 

  39. H. J. Ju, J. G. Kim, "The Influence of Convergence Corporate Culural Management Activities up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Issue 8, pp. 191-206, 2015. 

  40. D. W. Orga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MA, England: Lexington Books/DC Heath and Com, 1988. 

  41. D. Katz, "The motivational basis of organizational behavior", Behavioral Science, Vol. 9 Issue. 2, pp. 131-146, 1964. 

  42. L. Van Dyne, J. W. Graham, and R. M. Dienesc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truct redefinition, measurement, and valid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37 Issue. 4, pp. 765-802, 1994. 

  43. C. Pettijohn, L. Pettijohn, and A. J. Taylor, "Salesperson perceptions of ethical behaviors: Their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Business Ethics, Vol. 78, pp. 547-557, 2007. 

  44. M. S. Hagen, "Managerial coaching: A reviews of th literature",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Vol. 24, pp. 17-39, 2012. 

  45. J. S. Kim, and M. K. Seo, "The Impact Of Leader's Coaching Behavior On Employees' Cognitive Flexibility And Performanc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15, No. 3, 31-48, 2008 

  46. W. S. Ha, and J. K. Tak,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Contextual Performance and Creative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25 No.1, 195-213, 2012. 

  47. J. S. Sin,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Coaching Leadership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2010. 

  48. J. J. Park, and E. S. Choi,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Middle Managers' Coaching Leadership, Learning Organization, Employee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Vol. 15, No. 2, pp.1-28, 2013. 

  49. H. M. An, "Study on the influence between the coaching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s",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2011. 

  50. Mi-sook Choi, Dong-ha Ji, "The comparative study on changes i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mediating factors and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in dental hygienis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27-34, 2015. 

  51. S. H. Park, "An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Managerial Coaching Behaviors on Employees' Learn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Journal of Employment and Skills Development, Vol. 13, No. 3, pp.75-99, 2010. 

  52. N. A. Said and R. Munap,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A relationship study on supervisors performance," 5th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nagement of Innovation and Technology, 2010. 

  53. J. B. Abbott, N. G. Boyd, and G. Miles, "Does type of team matter?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within a team-based environment,"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 146, No. 4, pp.485-507, 2006. 

  54. A. Li and J. Bagger, "Linking procedural justice to turnover intentions: A longitudinal study of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42, No. 3, pp. 624-645, 2012. 

  55. J. R. Hackman, and E. E. Lawler, "Employee reactions to job characteristic"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55, No. 4, pp.259 -286, 1971. 

  56. H. S. Kim, & S. S. Kwon, "A Study on the Effects of Individual and Job Characteristics on Cooperative Behavior: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Moderating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and Collective Valu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24, No. 3, pp. 183-220, 2009. 

  57. H. S. Ju, S. H. Yoon, and H. K, Kim, "The Impact of Convention Center Employee Job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 Committment, Job satisfaction, and Citizenship behavior",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 21, No. 4, pp.43-60, 2007. 

  58. S. H. Choi, D. Y. Cho, and T. H. Ho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 Citizenship Behavior in hospital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13, No. 4, pp.191-207, 2006. 

  59. E. J. Han, "The Effects of Flight Attendant"s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 30, No. 5, 1-20, 2015. 

  60. S. B. Choi, and J. S. Moon, "The Effects of Sub-constru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ain and Turnover Intention from Korean Human Care Service Workers",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20, No. 4, pp.137-156, 2013. 

  61. C. Y. Choi,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Leader's Coaching for the Employee and Customer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Suwon University, 2003. 

  62. J. W. Lee, "The Mediating Role of Job Involvem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mployee Attitudes", Korea Academy of management, Vol. 5, No. 1, pp.87-122, 1997. 

  63. W. J. Kim, and W. S. Seo,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n Job Involvement of Hotel Employees",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Vol. 19, No. 1, pp.137-158, 2010. 

  64. W. H. Mobley,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62, pp.237-240, 1977. 

  65. J. Singh, J. R. Goolsby, and G. K. Rhoads,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boundary spanning burnout for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31, No. November, pp.558-569, 1994. 

  66. H. S. Lee, and J . H. Lim, "SPSS 16.0 manual. Paju, Bobmunsa", 2009. 

  67.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and R. E. Anderson,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ition).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Prentice Hall", 2009. 

  68. J. H. Kim, S. H. Hong, and B. D. Choo,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Management Studies: A Critical Review", Korean Management Review, Vol. 36, No. 4, pp.897-923, 2007. 

  69. Jung-Im Kim, Bo-Ram Choi, "Convergence Study on Emotional Labor, Stress Response and Turnover Intention of Call-center Worke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139 -146, 2015. 

  70. I. S. Yang, S. H. Lee, and D. R. Lee, "A Study on the Effects of Coaching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Mediating Role of Subordinates'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Vol. 22, No. 5, pp.49-72,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