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그리드를 통한 전기자동차의 전력망 영향 관리 효과
Analysis of the Impact of Smart Grids on Managing EVs' Electrical Loads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1 no.11, 2013년, pp.767 - 774  

박찬국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정책연구본부) ,  최도영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정보통계센터) ,  김현제 (에너지경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기자동차 보급이 확대됨과 동시에 충전이 특정 시간대에 몰리거나 전력수요가 높은 시간대에 늘어나면 전력수급 균형이 불안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동차 충전으로 인한 전력수요가 증가함과 동시에, 전기자동차의 전력수요를 분산시키고,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여분의 전기를 활용할 수 있는 스마트그리드 구축이 중요해진다. 아직 국내에서 스마트그리드가 전기자동차의 전력망 영향 관리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정량적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그리드를 통한 전기자동차의 전력망 영향 관리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스마트그리드는 전기자동차의 전력망 영향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었다. 전력시장 구조와 규제 프레임워크스마트그리드 기술의 실증과 상용화 촉진을 뒷받침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could be off balance if several electric vehicles(EVs) were charged at the same time or at peak load times. Therefore, smart grids are necessary to flatten the EVs' electricity demand and to enable EVs to be used as distributed storage devices as electricity dem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스마트그리드를 통한 전기자동차 전력수요 관리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그동안 논의가 심층적으로 진행되지 못하였으나 최근 들어 상용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V2G(vehicle to grid)1) 기술의 효과를 반영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스마트그리드를 통한 전기자동차 전력수요 관리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그동안 논의가 심층적으로 진행되지 못하였으나 최근 들어 상용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V2G(vehicle to grid)1) 기술의 효과를 반영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IEA(2011.8)에 따라 배터리 저장용량 Es는 EV(순수전기자동차)가 30kWh, PHEV(플러그인전기자동차)가 8kWh로 가정한다. 그리고 EV와 PHEV의 평균 주행효율성(ηEV/PHEV)은 0.
  • V2G 지원 AMI의 구축은 초기에 지수함수 형태의 성장을 보이다가 점차 성장률이 둔화되고 최종적으로 대부분의 가정에 AMI가 구축되면서 성숙단계에 이를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2017년부터 2035년까지 특정 연도의 V2G 지원 AMI 구축 비중은 식(3)과 같은 공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 그리고 EV와 PHEV의 평균 주행효율성(ηEV/PHEV)은 0.15kWh/km로 가정한다.
  • 그리고 인버터의 효율성(ηINV)은 Kempton and Tomić(2005)이 가정한 바와 같이 0.93으로 설정하였다[5].
  • 그러나 V2G 기술 상용화 시기가 언제인지, V2G 지원 AMI 보급률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AMI의 V2G 영향은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V2G 지원 AMI 보급이 2017년부터 시작되고 2035년에 완료될 것이며, V2G 지원 AMI가 구축됨과 함께 V2G가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 요금구조는 충·방전 시간대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요금이 현재와 같을 경우 전력망에 연결된 전기자동차 비중을 40%로 가정하고 있다. 만약 시간대별 또는 첨두부하 시간에 차별적인 요금을 부과한다면 첨두부하 시간에 G2V를 줄이고 V2G를 확대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 그런데 첨두부하 시간대에 자동차 운행 비율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첨두부하 시간대에 전력망에 연결되어 있는 전기자동차의 비중은 정차된 비중(95%)보다는 낮아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첨두부하 시간대에 전기자동차의 40%가 전력망에 연결된다고 가정한다.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속충전의 장점 및 단점은 무엇입니까? 그러나 고속충전은 빠른 시간 내에 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비용이 높으면서 배터리 수명을 단축하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아니다. RWTH(2010)은 전기자동차의 90%가 저속으로 충전하고 10%는 고속으로 충전할 것이라고 전망하였고, IEA(2011.
첨단 계량장비의 이점은 무엇입니까? 이를 통해 일 부하곡선을 완만하게 하고, 발전 및 전력망 투자 수요를 줄이는 데 일조하며, 전력생산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을 최소화한다. 스마트미터(smart meter) 등 첨단 계량장비(AMI, advanced metering equipment)는 양 방향 정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소비자와 전력회사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며, 소비자가 자신 및 전력회사가 지불해야 할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 충전(G2V, grid-to-vehicle)을 계획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원격 연결과 연결 해제를 가능하게 한다. 가령, 전력망 운영자는 전력망 용량이 포화상태일 때, 재충전 중인 전기자동차들을 부분적으로 전력망에서 분리 할 수 있다.
스마트그리드 기술로 인한 이점은 무엇입니까? 스마트그리드 기술은 충전부하를 전력수요가 높은 시간대에서 낮은 시간대로 이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일 부하곡선을 완만하게 하고, 발전 및 전력망 투자 수요를 줄이는 데 일조하며, 전력생산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을 최소화한다. 스마트미터(smart meter) 등 첨단 계량장비(AMI, advanced metering equipment)는 양 방향 정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소비자와 전력회사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며, 소비자가 자신 및 전력회사가 지불해야 할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기자동차 충전(G2V, grid-to-vehicle)을 계획할 수 있게 해 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D.Y. Choi, C.K. Park, S.Y. Kim, Analysis of Effects of Electric Vehicles on the Energy Demand and Supply in Korea, KEEI, 2012.12. 

  2. IEA, Impact of Smart Grid Technologies on Peak Load to 2050, 2011.8 

  3. IEA, Technology Roadmap: Electric and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2011.6 

  4. ITF(International Transport Forum), Smart Grids and Electric Vehicles: Made for Each Other?, 2012. 

  5. Kempton, W. and J. Tomic, Vehicle-to-grid power fundamentals: Calculating capacity and net revenue, Journal of Power Sources, 2005. 

  6. KPX(Korea Power Exchange), "Impact of Electric Vehicles on the Electric Power Supply and Demand and Implications, 2009. 11. 

  7. Kurani, K., T. Turrentine, and D. Sperling,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in hybrid households: an exploratory analysis, Trans. Policy 1, pp: 244-256, 1994. 

  8. MKE(Ministry of Knowledge and Economy), Korean Smart Grid Roadmap, 2010.1.25. 

  9. MKE, The 1st Basic Plan for Korean Smart Grids, 2012.6. 

  10. Pike Research, Vehicle to Grid Technologies, 2011. 

  11. RWTH(Rheinisch-Westf?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hen), Grid for Vehicles,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