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력망 충전식 전기자동차의 영향 및 에너지비용
Potential Impacts and Energy Cost of Grid-Connected Plug-in Electric Vehicles 원문보기

에너지공학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v.19 no.2 = no.62, 2010년, pp.92 - 102  

이경호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한승호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의 일종으로, 배터리 용량을 HEV보다 더욱 증대시키고 배터리의 충전을 전력망으로부터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이며, 순수 배터리 전기자동차(Plug-in Battery Electric Vehicle, PBEV)는 전력망으로부터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여 저장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만을 이용하여 운전가능한 자동차이다. 최근에 PHEV와 PBEV에 대한 관심과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 전력망 충전식 전기자동차가 전력망의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PHEV와 PBEV 자동차의 보급으로 전력망의 전력수요,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차량구매자의 관점에서 운전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020년경에 차량보급이 10%정도로 이루어질 것을 가정하여 영향을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PHEV) is a hybrid electric vehicle (HEV) with more added battery capacity that can be recharged from the electric power grid. Plug-in battery electric vehicle(PBEV) is a pure electric vehicle that uses only electric motor using electricity from battery that recharg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충전식 전기자동차인 PHEV 및 PEV의 보급으로 전력계통의 전력수요, 차량구매자의 운전비용, 이산화탄소 배출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단순화한 분석 모델과 시나리오로써 시뮬레이션 분석을 수행하여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 국내 승용차의 1일 평균 주행거리는 약 40 km수준으로 해마다 짧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16]. 본 연구에서 전기자동차를 포함한 차량의 년간 주행거리는 14,600 km로 하였으며, 일주일 중 일부는 단거리 운행을 나머지 일부는 장거리운행을 하는 시나리오를 취하여 [17], 평균적인 일일주행거리가 PHEV의 AER(All-Electric Range)미만으로 계산되어 항상 전기차모드로 운행되는 것으로 분석되는 오류를 피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일주일 중의 5일간은 단거리 운행모드를 취하고, 2일간은 장거리 운행모드로 운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단거리 운행모드에서 일일 주행거리는 분석을 위한 파라미터로 두었으며, Table 1에 분석에 사용한 값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 본 연구에서는 PHEV와 PBEV의 보급이 미치는 영향으로서 이산화탄소배출, 전력망의 전력수요, 그리고 차량별 운전 에너지비용을 분석하고자 차량성능, 차량 운행, 전력수요 등에 대한 모델과 시나리오를 단순화하여 설정하고 그 영향을 계산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차량성능의 모델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그 성능의 범위를 고려하였고, 차량운행조건과 전력수요는 통계값 및 정부의 전력수급계획을 참고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가솔린엔진 차량을 비교기준으로 하여 충전식 전기자동차인 PHEV, PBEV에 대하여 보급차량 대수가 국내 전체 승용차 대수의 10% 정도인 100만대 수준이상으로 확대되었을 경우에 전력계통의 전력수요, 이산화탄소배출량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며, 차량구매자 관점에서 충전식 전기자동차를 운전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비용을 비교하고자 한다.
  • 12에 각각 8월의 최대전력수요일과 12월의 월평균 전력수요곡선을 나타내었고, PHEV가 100만대, 500만대, 1,000만대일 경우에 충전에 의한 전력수요를 추가하여 전력수요곡선이 어떻게 달라질지를 나타내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020년경에 전기자동차 보급대수는 100만대 수준일 것으로 예측이 되므로, 500만대와 1,000만대 비교는 의미가 없을 수도 있으나, 보급대수의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함께 나타내었다. PHEV의 보급에 따른 영향을 살펴 보면, Fig.

가설 설정

  • 보급된 전기자동차의 대수는 100만대, 500만대, 1,000만대로 각각 달리하였으며, PBEV의 충전패턴은 심야 자가충전과 충전소 충전의 비중을 각각 50%로 두었으며, PHEV는 항상 자가충전을 하는 것으로 하였다. 100만대 수준의 충전식 전기자동차의 랜덤한 특성의 충전으로 인한 전력수요는 시간에 걸쳐 균등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PHEV와 PBEV의 밤 시간대 자가충전은 전력수요의 평준화에 기여할 수 있는 골짜기 채우기 효과(Valley filling)를 고려하여 자정부터 오전 8시에 걸쳐 일어나는 것으로 하였고, 낮 시간대 충전소에서의 충전은 오전 9시부터 저녁 11시까지 시간대에 걸쳐서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장거리운행모드로 운전하는 날에 있어서 하루 주행거리가 PHEV의 AER을 초과하게 되면, HEV모드로 운전하고, 배터리를 재충전하지 않는 것으로 하였다. PBEV의 경우에 AER을 초과하여 운전하는 경우에 배터리 유효 충전량의 50%아래로 충전량이 내려가면 다시 재충전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100만대 수준의 충전식 전기자동차의 랜덤한 특성의 충전으로 인한 전력수요는 시간에 걸쳐 균등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PHEV와 PBEV의 밤 시간대 자가충전은 전력수요의 평준화에 기여할 수 있는 골짜기 채우기 효과(Valley filling)를 고려하여 자정부터 오전 8시에 걸쳐 일어나는 것으로 하였고, 낮 시간대 충전소에서의 충전은 오전 9시부터 저녁 11시까지 시간대에 걸쳐서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년중 피크전력수요가 나타나는 날은 더운 여름철에 냉방부하로 인하여 나타난다.
  • 충전식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전력에 의한 이산화탄소배출은 생산된 전기가 어떠한 발전원에 의한 전기인가에 따라 다르게 해석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전용 전기는 2006년 발전실적으로부터 발전원의 구성비를 고려하여 충전으로 인하여 새로이 생겨난 전력수요에 필요한 전기는 발전실적 구성비와 동일하게 각각의 발전원으로부터의 평균적인 전기로 공급이 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므로, 발전원이 향후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따라서 이산화탄소배출에 미치는 영향도 크게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 이상과 같이 PHEV와 PBEV의 보급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력수요의 형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은 PHEV와 PBEV의 충전특성이 다소 차이가 있다는 점으로부터 나타나는 것이다. 즉, PHEV는 주로 밤시간대에 충전만으로 충분하고 굳이 낮시간대에 충전을 하지 않아도 되는 충전특성을 가정하였고, PBEV는 밤시간대 뿐만이 아니라 낮시간대에도 충전소에서 충전을 하여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결국, 충전식 전기자동차의 충전특성을 조절하여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제어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 Bass의 확산모델은 초기 구매만을 고려한 확산모형 중 가장 성능이 우수한 모델로 알려져 있다 [7]. 확산모델에서 미정의 계수인 모방계수와 확산계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미국에서 판매된 HEV차량의 판매추이를 충전식 전기자동차가 동일하게 따를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 미국에서의 HEV 차량의 판매추이에 대한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에서는 2012년부터 PHEV 또는 순수EV가 보급되는 것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순수 배터리 전기자동차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의 일종으로, 배터리 용량을 HEV보다 더욱 증대시키고 배터리의 충전을 전력망으로부터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이며, 순수 배터리 전기자동차(Plug-in Battery Electric Vehicle, PBEV)는 전력망으로부터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여 저장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만을 이용하여 운전가능한 자동차이다. 최근에 PHEV와 PBEV에 대한 관심과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시간대별로 충전을 위한 전력요금과 충전요금을 가변하는 방식으로 충전식 전기자동차의 전력수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더욱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이상과 같이 PHEV와 PBEV의 보급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전력수요의 형태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은 PHEV와 PBEV의 충전특성이 다소 차이가 있다는 점으로부터 나타나는 것이다. 즉, PHEV는 주로 밤시간대에 충전만으로 충분하고 굳이 낮시간대에 충전을 하지 않아도 되는 충전특성을 가정하였고, PBEV는 밤시간대 뿐만이 아니라 낮시간대에도 충전소에서 충전을 하여야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결국, 충전식 전기자동차의 충전특성을 조절하여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제어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예를 들어 전력요금과 충전요금의 변화를 통하여 충전식 전기자동차 소유자의 충전행태에 영향을 주어 전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시간대별로 충전을 위한 전력요금과 충전요금을 가변하는 방식으로 충전식 전기자동차의 전력수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더욱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PHEV)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HEV)의 일종으로, 배터리 용량을 HEV보다 더욱 증대시키고 배터리의 충전을 전력망으로부터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이며, 순수 배터리 전기자동차(Plug-in Battery Electric Vehicle, PBEV)는 전력망으로부터 전기를 배터리에 충전하여 저장하고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만을 이용하여 운전가능한 자동차이다. 최근에 PHEV와 PBEV에 대한 관심과 개발이 전세계적으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cott, M.J. et al. Impacts assessment of plug-in hybrid vehicles on electric utilities and regional U.S. power grids, part2: economic assessment,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2007. 

  2. Kintner-Meyer, M. et al. Impacts assessment of plug-in hybrid vehicles on electric utilities and regional U.S. power grids, part1: technical analysis, Pacific Northwest National Laboratory, 2007. 

  3. Hadley, S.W; Tsvetkova, A. Potential impacts of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on regional power generation,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2008. 

  4. 한성빈 외. 디젤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연료경제성 및 배출가스에 관한 시뮬레이션, 에너지공학, 18(1), 2009. 

  5. 노철우; 김민수. PHEV시장 형성시 전력망에 미치는 영향 및 최적 충전 제어전략에 관한 연구,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권, 2009, 33(4). 

  6. 노철우; 김민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연료 경제성에 관한 연구, 대한기계학회논문집 B권, 2009, 33(4) 255-263. 

  7. Bass,F.M. A new product growth model for customer durables, Management Science, 1969, 15(5) 215-227. 

  8. D.M.Lemone, et al. An innovation and policy agenda for commercially competitive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2008, 3. 

  9. EPRI. Environmental assessment of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Vol.1: Nationwide greenhouse gas emissions, 2007. 

  10. J.K.Lindy; T.A.Haskew. Impacts of electric vehicles on electric power generation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2002, 6. 

  11. P.Jaramillo, et al. Greenhouse gas implications of using coal for transportation: Life cycle assessment of coalto- liquids, plug-in hybrids, and hydrogen pathways, Energy Policy, 2009, 37. 

  12. G.J.Suppes. Roles of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s in the transition to the hydrogen economy, International Journal of Hydrogen Energy, 2006, 31. 

  13. H.Lund; W.Kempton. 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into the transport and electricity sectors through V2G, 2008, 36. 

  14. W.Masayoshi.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for clean transport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s, 2009, 21. 

  15. 지식경제부. 제4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08. 

  16. 국토해양부 종합교통정책과. 우리나라 자동차 주행거리 보도자료, 2009. 4.10. 

  17. K.Imai et al. Theoretical performance of EV range extender compared with Plug-in Hybrid, Journal of Asian Electric Vehicles, 2008, 6. 

  18. R.Farrington; J.Rugh. Impact of vehicle air-conditioning on fuel economy, tailpipe emissions, and electric vehicle range, NREL, September 2000. 

  19. IAEA. 발전원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2006. 

  20. Office of transportation and air quality. Average carbon dioxide emissions resulting from gasoline and diesel fuel, EPA420-F-05-001, 2005. 

  21.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팀. 전력거래실적자료, 2006.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