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과 태도 변화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Systematic Review of Changes i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Medical Doctors towar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17 no.3, 2013년, pp.31 - 46  

김숙경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문소영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김범수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  윤영주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o find a collaboration strategy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KM),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medical doctors toward KM through systematic review. Method : Systematic literature searches were performed on six 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제까지 수행된 의사(의대생 포함)의 한의학에 대한 인식조사에 대한 체계적 고찰을 통해 한의학에 대한 인식의 변화 내용, 변화 원인을 분석해보고, 한의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의사들의 한의학에 대한 인식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의학에 대한 의사의 인식조사가 설문조사 형태로 들어있는 연구를 우선적으로 검색해 보았다. 해당 연구의 숫자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의대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CAM 또는 협진을 주제로 한 설문조사 연구이지만 내용 중에 한의학에 대한 인식이 드러난 연구들까지 연구 대상에 포함하기로 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의 치료효과 중 그나마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점은 무엇인가? 한의학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서는,침치료와 근·골격계 질환에서의 한방치료효과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기반으로 해서 더 넓은 분야로 의사들의 한방치료경험,협진 경험을 늘리는 것과 의사들이 수긍할 수 있는 과학적 데이터를 한의학 교육에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양방의 이원화가 가져오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한·양방의 이원화된 체계는 국민들의 의료이용에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하였다.의료이원화 체계는 이용자에게 의료선택의 혼란과 중복진료로 인한 시간적,경제적 손실 및 의료자원의 비효율적 활용 1),두 의료영역간의 신뢰부족과 갈등 심화 등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비효율성을 초래하고 있다.또한 이원화된 의료체계라는 한국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의 보완대체의학의 수용은 일원화된 의료체계를 가진 나라들과는 달리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한의학을 신뢰할 수 없는 요인으로 꼽는 것은 무엇인가? 1993년부터 2011년까지 수행된 의대생 및 의사들의 한의학에 대한 태도와 인식에 대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한 결과 의사들의 한의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나 신뢰도는 개선되지 않았고,한의학을 신뢰할 수 없는 요인으로 ‘한의학의 비과학성’을 꼽는 비율이 더욱 높아졌다. 한의학의 치료효과에 대한 평가도 높아지지는 않았으나,모든 연구에서 침 치료에 대한 평가가 한약에 대한 평가보다 좋았고,한방치료가효과적인 질환은 뇌혈관계 질환에서 근·골격계 질환으로 순위가 변동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류지선, 임병묵, 조병만, 이원철, 윤태호. 협진병원 근무 의사들과 종합병원 근무 의사 들의 양.한방 협진에 대한 인식도.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09:13(3):29-41. 

  2. 강영호, 이상일, 이무송, 구희조, 강위창, 임병묵. 우리나라 개원의사와 한의사의 보완요법 사용, 지식, 태도와 건강관. 대한가정의학회지. 1999:20(9):1106-1117. 

  3. 윤현국, 김진하, 오상우, 윤영호, 유태우. 서울지역 개원의의 대체의학에 대한 인식 및 형태. 가정의학회지. 1999:20(1):71-78. 

  4. 이언숙, 서홍관, 김철환, 김일수. 한의학과 양.한의학 일원화에 대한 양의사의 인식도. 가정의학회지. 1998:19(8):662-670. 

  5. 조기호. 한.양방 의료의 상호보완 발전방안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1999. 

  6. 최영희. 보완대체요법에 대한입원환자, 간호사 및 의사의 태도 비교 연구.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06:10(1):45-56. 

  7. 김영숙. 암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사용에 대한 간호사와 의사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조사 연구. 성균관대 임상간호대학원. 2005. 

  8. 김향자.의대생과 한의대생의 보완대체의료에 대한 지식, 태도, 신념에 관한 연구. 서울대보건대학원. 2006.2. 

  9. 이종문. 의료기관 종사자의 대체의학 이용양상 및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대전대학교 스포츠대학원 대체의학과. 2004.2. 

  10. 강승완, 하태국, 조병희, 이상철, 한동석, 이경미, 한서경. 보완대체의학에 대한 국내 일 차진료의사와 대학 병원 근무 의사의 지식, 태도, 경험에 관한 설문조사.대한의사협회지.2011:54(2):217-229. 

  11. 박미경.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의료인,입원 환자 및 보호자의 인식과 경험 및 수용태도. 가천대학교 간호대학원. 2012. 8. 

  12. 이은주, 박한솔, 이소영, 배다정, 이탁근, 신현규. 대학부속병원 근무 의사들의 한의학에 대한 인식.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2:26(5):773 -777. 

  13. 이은주, 박한솔, 이소영, 배다정, 이탁근, 신현규. 의과대학부속병원 의사들의 양.한방 협진에 대한 인식.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2:33 (3):298-305. 

  14. 홍성란. 간호사와 의사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태도. 중앙대대학원. 2011. 

  15. 이동희, 류규수. 한양방협진체계 개발에 관한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1998:3(1):34-61. 

  16. 허남우, 정승아, 김선재, 목나래, 박해원, 신현규. 의대생들의 한의학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인식 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3:17 (1):107-116. 

  17. 박종구, 김춘배, 조경숙, 최서영, 이종찬, 이선동, 전세일, 김중호. 양.한방 상호보완 방안에 관한 인식도 연구. 보건행정학회지. 2000: 10(4):57-74. 

  18. 보건복지가족부.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1:228-229. 

  19. 한국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장협회. 의학교 육정책포럼 자료집-국내 의과대학 보완의학 교육실태와 교육과정 개발현황. 2010:10. 

  20. 이응세 외. 한방의료이용 실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1999. 

  21. Kenji K Fujiwara, Jiro J Imanishi, Satoko S Watanabe, Kotaro K Ozasa, KumiK Sakurada. Changes in Attitudes of Japanese Doctors towar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omparison of Surveys in 1999 and 2005 in Kyoto.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lternative Medicine. 2011. 

  22. Chung VC, Hillier S, Lau CH, Wong SY, Yeoh EK, Griffiths SM. Referral to and attitude towards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mongst western medical doctors in postcolonial Hong Kong. Social Science & Medicine. 2011;72(2):247-255. 

  23. 한경연, 구현경, 윤영주. 한양방 협진을 위한 한의학 교육에 대한 의사 한의사의 인식조사. 대한한의학회지. 2013;34(1):160-169. 

  24. 박종구. 양한방의 상호보완 발전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00 

  25. 박일훈, 양한방 상호보완 의료체계에 관한 고찰.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1997.6 

  26. 김용익, 김창엽, 김윤. 청장년 의사들의 의료 제도 및 대한의학협회에 대한 의견조사. 대한의학협회.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