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뇌졸중 자조관리교실 프로그램이 재가 뇌졸중 환자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질병 관련 지식 및 가족지지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elf-help Management Program at Public Health Centers on Self-efficacy, Self-esteem, Knowledge of Stroke, and Family Supports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4, 2013년, pp.388 - 397  

장경오 (진주보건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s of a self-help management program at public health centers on self-efficacy, self-esteem, knowledge of stroke and family supports in stroke patients. Methods: Based on a quasi-experimental design, 44 persons with stroke were assigned to the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보건소에 뇌졸중 환자로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과 재활사업에 등록 · 관리중인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인 자조관리교실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질병 관련 지식 및 가족지지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므로 지역사회 재가 뇌졸중 환자의 상태와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더불어 가족이 뇌졸중 환자를 도울 수 있는 가족지지 프로그램을 개발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소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과 재활사업 대상자로 등록 ․ 관리하고 있는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8주 동안 일주일에 2회(월요일, 목요일), 하루 2시간씩 자조관리교실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질병 관련 지식 및 가족지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소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과 재활사업에 등록 · 관리 중인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중심 재활사업인 자조관리교실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질병 관련 지식 및 가족지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본 연구는 보건소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과 재활사업에 등록 · 관리하고 있는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보건소 자조관리교실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질병 관련 지식 및 가족지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 후 시차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의 재활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사회 보건소에서 맞춤형방문건강관리사업과 재활사업 대상자로 등록 ․ 관리하고 있는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조관리 교실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상자의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뇌졸중 관련 지식, 가족지지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특정 지역의 보건소에 등록 ․ 관리 중인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자조교실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지역사회 단위의 뇌졸중 환자들을 보다 체계적인 관리위해 보다 나은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일 지역사회의 재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므로 결과를 단정하거나 확대 해석하는데 제한이 따른다.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뇌졸중 진단을 받고 환자로 J시 보건소 등록관리를 받으면서 상태가 안정되고, 재활을 위한 운동요법 등 자조관리교실 프로그램에 참여가 가능하다고 판단된 대상자로 환자와 보호자에게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동의를 구하였다. 대조군에 대한 사전 조사가 끝난 후, 8주 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조군과 비슷한 조건의 실험군을 선정하여 환자와 보호자에게 보건소 뇌졸중 대상 자조관리교실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연구참여에 승낙한 경우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4. 보건소의 재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자조관리교실 프로그램에 참여한 가족의 지지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가족지지의 점수가 높을 것이다.
  • 가설 1. 보건소의 재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자조관리교실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을 것이다.
  • 가설 2. 보건소의 재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자조관리교실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자아존중감이 높을 것이다.
  • 가설 3. 보건소의 재가 뇌졸중 환자를 위한 자조관리교실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질병 관련 지식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발병 후 사망하는 비율은? 뇌졸중의 발병률은 주원인인 고혈압, 당뇨, 비만, 고지혈증 등 대사증후군 관련 질환의 증가로 인해 여전히 높은 상태이다(Korean Stroke Society, 2010). 뇌졸중은 발병 후 약 15~20%는 사망하고, 완전히 회복되는 비율은 10%에 불과하며, 나머지 70~75%는 뇌의 침범영역에 따라 운동장애, 인지장애, 감각 장애 및 언어장애 등 만성적 기능장애로 장기적인 재활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환자는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이 많이 저하되고 장기간의 치료와 간호가 요구(Choi, Seo, & Kwon, 2006)되므로 그 문제점과 심각성이 더욱 대두대고 있다.
자조관리 프로그램의 내용은 무엇인가? 그리고 일상생활이 어려운 뇌졸중 환자와 그의 가족을 위해 개발된 자조관리 프로그램은 대상자들의 지속적인 자기 관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 내용은 환자와 가족에게 뇌졸중 합병증과 재발방지를 위한 지식을 제공하고 질병으로 인한 신체적, 심리적 경제적인 고통 극복할 수 있는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Kim, 2000). 이는 환자와 가족에게 일상생활에서 실제 실시할 수 있는 재활운동의 지침을 제공(Park & Lee, 2006)하는 것으로 지역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우리나라 성인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한 질환은 무엇인가? 통계청(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사망원인으로 뇌혈관 질환이 2위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동일한 순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순환기계 계통 사망률이 인구 10만명당 113.5명으로 그 중 뇌혈관 질환 사망률이 5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ck, J. Y., & Jun, S. E. (2012). Effects of symptom-based discharge education for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 (5B), 2541-2553. 

  2. Bae, H. J., Yoo, K. M., Yoon, B. W., Kim, J., Kim, J. Y., Kim, E. G., et al. (2002). Stroke awareness in Korea: The results of survey in the second stroke prevention campaign.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20 (2), 110-117. 

  3. Bak, H. K. (2003). The effects of the stroke secondary prevention program on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and the health risk indicators of the in-house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4. Choi, J. S., Seo, Y. M., & Kwon, I. S. (2006). Effect of education on knowledge and practice of caregivers of the stroke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7), 1175-1182. 

  5. Ham, M. Y. (2001). An effect of individualized early rehabilitation education program for patients acute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6. Han, B. Y. (2007). The effect of self care ADL programs o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stroke in-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eui University, Busan. 

  7. Hong, M. S. (2011).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n upper extremity exercise program based on patterned sensory enhancement for home-bound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2 (2), 192-203. 

  8. Jang, H. K. (1988). A study of the self-regard, family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9. Jeong, H. J., & Cho, B. H. (2000). A study of the effect of followup care for stroke survivors on primary caregivers quality of lif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3 (2),169-180. 

  10. Ju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1. Kang, H. S. (1984).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2. Kang, S. M. (2005). An effect of the secondary strok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self-care of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3. Kim, G. D. (2000). A study sleep on quality of sleep and sleep dis turbing factors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7 (1), 173-192. 

  14. Kim, K. S., Seo, H. M., & Kang, J. Y. (2000). The effects of community based self-help management program on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muscle strength,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of post-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3 (1), 108-117. 

  15. Kim, K. S., Seo, H. M., Kim, E. J., Jeong, I. S., Choe, E. J., & Jeong, S. I. (2000). Effects of 5 weeks self-help management program on reducing depression and promoting activity of daily livings, grasping power, hope and self 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3 (2), 196-211. 

  16. Ko, L. S., Kim, H. C., Kwon, S. B., Hwang, S. H., Kwon, K. H., Kim, S. M., et al. (1999). The compliance of stroke patients for secondary prevention: In Seoul & Kyu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17 (4), 472-477. 

  17.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2011. Seoul: Author. 

  18. Korean Stroke Society. (2010). What is the stroke? Retrieved May 1, 2011, from http://www.stroke.or.kr/stroke/index.html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8). The guidebook of main administration of chronic disease. Seoul: Author. 

  20. Mun, Y. H. (2004). The effects of self-help management program for post stroke patients at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5 (2), 218-227. 

  21. Oh, B. R. (2006). A study of art therapy about on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il University, Wanju. 

  22. Park, E. J., & Yoo, Y. K. (2011). Effects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self-esteem and self-rating depression in hemiplegia patient after stroke.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9 (S1), 197-197. 

  23. Park, I. H. (2009). The correlation betwee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 family support of stroke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Daegu. 

  24. Park, J. M., & Lee, S. J. (2006). The effects of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unction and mental health status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following chronic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7 (2), 166-175. 

  25.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6. Ryu, M. J. (2002). The effect of a group support program on the burden of primar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strok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7. Seo, M. S., Kang, H. S., & Lee, M. H. (2000). The preliminary study for the evaluation of the rehabilitation nursing program integrated with day care program of stroke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3 (1), 98-107. 

  28. Seo, N. S. (2003). The effects of stage based exercise program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stroke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33 (7), 954-964. 

  29. Seo, N. S., Han, M. S., & Lee, J. S. (2006). Effects of a tilting training program on lower extremities functi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among stroke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3), 514-522. 

  30. Woo, G. M., & Lee, M. H. (1998). An effect of beach ball play for depression, powerlessness, self-esteem,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1 (1), 15-2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