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자기효능감 및 가족지지가 재활이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Rehabilitation Motivation,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n Rehabilitation Adherence in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9 no.2, 2017년, pp.113 - 122  

박안숙 (효드림 요양병원) ,  고은 (국립순천대학교 생명산업과학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rehabilitation adherence in strok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face-to-face interviews with a convenient sample of 192 subjects, who were admitted in 5 reha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와 가족지지[15], 자기효능감과 건강행위[8] 및 자기관리[9]와의 관련성을 확인한 선행연구가 보고 되었으나, 이들 관련요인을 통합적으로 제시하여 재활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및 재활이행의 정도를 파악하고, 재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뇌졸중 환자의 재활이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및 재활이행의 정도를 파악하고, 재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및 재활이행의 정도를 파악하고, 재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뇌졸중 환자의 재활이행은 재활동기, 자기효능감 및 가족지지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고, 재활동기와 자기효능감은 재활이행을 향상시킬 수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동기,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및 재활이행의 정도를 파악하고, 재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재활이행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의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은 어느정도인가?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사망원인 중 하나이다. 한국의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은 2015년 인구 10만명당 49.7명으로 2005년에 64.1명이었던 것에 비해 25.1%가 감소하였으나 암, 심장질환에 이어 여전히 사망원인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뇌졸중 유병률은 2010년 2.
뇌졸중 유병률은 어느정도인가? 1%가 감소하였으나 암, 심장질환에 이어 여전히 사망원인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뇌졸중 유병률은 2010년 2.9%에서 2015년 4.0%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50대이후 연령에서 유병률 및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1]. 뇌졸중은 일단 발생하면 환자의 9%만이 질병이전의 기능 상태로 완전히 회복되고 73%의 환자들은 불안전하게 회복되어, 뇌졸중 환자는 뇌손상 부위에 따라 편마비, 언어, 감각 및 인지 등 다양한 후유장애를 가지고 살아가야 한다.
뇌졸중 환자 중 꾸준히 재활을 받는 환자는 어느정도인가? 여러 가지 이유로 진단 후 1년 이내 40.7%의 환자들이 재활을 중단하고, 2년 이상 꾸준히 재활을 받는 환자는 20%에불과하여 환자의 치료 순응이나 이행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5]. 이는 뇌졸중 환자의 재발이나 질병의 악화를 초래하는 원인이 되므로 뇌졸중 환자의 지속적인 재활이행에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s Korea [Internet]. Daejeo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cited 2017 Apr 4].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_01List.jsp?vwcdMT_ZTITLE&parentIdD#SubCont 

  2. Im JH, Lee KS, Kim KY, Hong NS, Lee SW, Bae HJ. Follow-up study on mortality in Korea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2011;54(11):1199-1208. http://dx.doi.org/10.5124/jkma.2011.54.11.1199 

  3. Hong MS, Jo HS, Yom YH, Kim GM. The analysis of trends and contents of nursing intervention research for stroke pati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1):109-121. 

  4. Bushnell CD, Olson DM, Zhao X, Pan W, Zimmer LO, Goldstein LB, et al. Secondary preventive medication persistence and adherence 1 year after stroke. Neurology. 2011;77(12):1182-1190. http://dx.doi.org/10.1212/WNL.0b013e 31822f0423 

  5. Kim YT, Park KS, Bae SG. Predictors of persistence and adherence with secondary preventive medicat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5;40(1):9-20. http://dx.doi.org/10.5393/JAMCH. 2015.40.1.009 

  6. Suh M, Choi-Kwon 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stroke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4):533-541. http://dx.doi.org/10.4040/jkan.2010.40.4.533 

  7. Kim CG, Park H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eb-based education program to prevent secondary stroke. 2011;41(1):47-60.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47 

  8. Kim MK, Lee HR, Kwon JY, Oh HS. Influencing and mediating factors in health behaviors among stroke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6):610-621. http://dx.doi.org/10.7475/kjan.2012.24.6.610 

  9. Cho SH, Yun KS. Influence of uncertainty, physiologic risk factors, self-efficacy on self-management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6;23(2):114-124. http://dx.doi.org/10.5953/JMJH.2016.23.2.114 

  10. Park MG, Ha Y. Effectiveness of a self-management program using goal setting based on a G-AP for patients after a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2014;44(5):581-591. http://dx.doi.org/10.4040/jkan.2014.44.5.481 

  11. Kim JY, Na YK, Hong HS. The effects of a secondary stroke prevention program on the health risk indicators and self-care compliance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6;18(2):69-77. http://dx.doi.org/10.7586/jkbns.2016.18.2.69 

  12. Munoz-Venturelli P, Sacks C, Madrid E, Lavados PM. Long-trem adherence to national guidelines for secondary prevention of ischemic stroke: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 public hospital in Chile.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2014;23(3):490-495. http://dx.doi.org/10.1016/j.jstrokecerebrovasdis.2013.04.013 

  13. O'Carroll RE, Chambers JA, Dennis M, Suldow C, Johnston M. Improving adherence to medication in stroke survivors: A pilot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13;46(3):358-368. http://dx.doi.org/10.1007/s12160-013-9515-5 

  14. Nayperi ND, Mohammadi S, Razi SP, Kazemnejad A.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family-centered care program on stroke patients' adherence to their therapeutic regimens. Contemporary Nurse. 2014;47(1-2):88-96. http://dx.doi.org/10.1080/10376178.2014.11081910 

  15. Moon J, Cho BH. Relationships among rehabilitation motivation, perceived stress and social support in stroke survivors.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1;14(1):24-31. 

  16. Yeo HN, Kim YK. Effects of a group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for stroke patients on their depression and motivation of rehabilita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3):424-434. 

  17. Park YS, Kweon SS. Factors affecting stroke patients' rehabilitation-motivation.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Association. 2002;28(1):21-30. 

  18. Kim AL. An explanatory model for patient adherence of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0;22(1):90-102. 

  19. Kim C. The comparison between stroke patinets'desired rehabilitative care and therapists' perception about their services. Korean Journal of Neural Rehabilitation. 2014;4(2):28-33. 

  20. Rah UW, Kim YH, Ohn SH, Chun MH, Kim MW, Yoo WK.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troke rehabilitation in Korea 2012. Brain Neurorehabilitation. 2014;7(1):1-75. https://doi.org/10.12786/bn.2014.7.Suppl1.S1 

  21. Hafen K, Jastrebow J, Nubling R, Bengel J. Development of a patient questionnaire for assessment of rehabilitation motivation(PAREMO). Rehabilitation. 2001;40(1):3-11. 

  22. Sherer M, Maddux JE, Mercandante B, Prentice-Dunn S, Jacobs B, Rogers RW.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1982;51(2):663-671. http://dx.doi.org/10.2466/pr0.1982.51.2.663 

  23. Kim HS, Kim YS.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family support of stroke patient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3;20(1).111-130. 

  24. Kang HS.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1984. p.1-125. 

  25. Moon HH.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family support, rehabilitation motive in patient with acute or subacute hemorrhagic stroke [Master]. Wonju: Yonsei University;2010. p.1-75. 

  26. Ko J, Lee SH, Lee TK, Jung HR, Hong GH, Hong KH. The effect of self-efficiency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local community stroke patients on quality of life in caregiver.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2015;5(1): 11-21. http://dx.doi.org/10.18598/kcbot.2015.05.01.02 

  27. Lee EH, Cha HG, Ahn OH. Subjectivity research on rehabilitation awareness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Wellness. 2016;11(2):157-169. 

  28. Jones F, Riazi A, Norris M. Self-management after stroke: Time for some more question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2013;35(3):257-264. http://dx.doi.org/10.3109/09638288.2012.6919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