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미역을 첨가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prepared with Sea Mustard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3 no.6, 2013년, pp.810 - 817  

강혜민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이신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박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국장의 품질 향상과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미역을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역 첨가 청국장은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와 유사한 미생물수를 나타내었고, 청국장의 pH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높아졌으며, 발효 72시간에는 대조구에 비해 미역 첨가 청국장의 pH가 높았다. 청국장의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 초기에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구보다는 미역첨가 청국장이 더욱 높았으며, 발효 72시간에는 SM5에는 $397.13{\mu}g/mL$로 가장 높았다. 발효 종료 후 청국장의 점질물의 양은 SM5가 6.53%로 가장 높았다. 발효 48시간째 SM5, SM10, SM15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77.91, 80.72, 79.40%를 나타내어 대조구(68.09%)에 비해 높았다. 발효 종료 후 대조구의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266.46{\mu}g/mL$인데 반해, 미역첨가 청국장은 $352.87{\sim}396.07{\mu}g/mL$를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소거능은 SM5, SM10, SM15 각각 89.01, 91.32, 92.27%로 대조구(86.66%)보다 높았다. 미역 청국장의 관능검사 결과, 맛은 SM5가 3.40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가 2.88로 가장 낮았다. 풍미와 종합적 기호도도 SM-5가 가장 높았고, 대조구에 비해 미역 첨가 청국장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onggukjang that was prepar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ea mustard [0% (control), 5% (SM5), 10% (SM10) and 15% (SM15)] were investigated. The pH of cheonggukjangs prepared with sea mustard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during fermentation for 72 hrs at $37^{\circ}C$. The tota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청국장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기질 및 식이섬유소가 풍부한 미역을 이용하여 청국장을 제조하고, 미역 첨가가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청국장의 품질 향상과 기능성을 강화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미역을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역 첨가 청국장은 발효 전 기간 동안 대조구와 유사한 미생물수를 나타내었고, 청국장의 pH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높아졌으며, 발효 72시간에는 대조구에 비해 미역 첨가 청국장의 pH가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역이 함유하고 있는 성분은? 미역(Undaria pinnatifida(Harvery) Suringer)은 다시마목 미역과에 속하는 갈조류로서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며, 연해주, 중국, 일본 등 극동지방 특산의 해조류이다. 미역은 Na, K, Ca, Mg, P, S, 식이섬유소, 리놀산, 비타민 등이 풍부한 알칼리성 건강식품으로 생리활성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Choi et al 1991). 특히 미역에 들어 있는 점질 다당류인 알긴산(alginic acid)은 중금속 및 방사능 물질의 체외 배출, 콜레스테롤 저하, 비만 및 변비 방지 효능과 더불어 혈압이나 당뇨 예방 효과가 높다는 보고가 있다(Kim & Cheng 1984, Sato et al 2002, Suetsuna et al 2004).
미역은 어떤 해조류인가? 미역(Undaria pinnatifida(Harvery) Suringer)은 다시마목 미역과에 속하는 갈조류로서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며, 연해주, 중국, 일본 등 극동지방 특산의 해조류이다. 미역은 Na, K, Ca, Mg, P, S, 식이섬유소, 리놀산, 비타민 등이 풍부한 알칼리성 건강식품으로 생리활성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Choi et al 1991).
미역 첨가 청국장의 발효 중의 생균수의 변화는 어떠한가? 1에 나타내었다. 발효 초기에는 4.87∼4.94 log CFU/g(이후 단위 생략)으로 모든 처리구가 유사한 미생물 수를 나타내었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급격하게 증가하여 발효 24시간에는 대조구는 8.96를 나타내었고, SM5, SM10, SM15는 각각 8.50, 8.73, 8.59로, 대조구에 비해 미역 첨가구의 미생물 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발효 48시간에는 미역 첨가구가 9.35∼9.37의 범위를 나타내어 대조구(9.03)에 비해 높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배양 72시간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발효 중기 이후부터 미역이 청국장 발효 미생물의 성장에 양호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Foods Industry Association (2009) Food Code. Moonyongsa Co., Seoul. pp 319-320. 

  2. Ann CB, Shin TS, Nam TS (2000) A trial for preparation of jam using sea mustard stem. J Korean Fish Soc 33: 423- 430. 

  3. Ann YG (2011) Changes in components and peptides during fermentation of cheonggookjang. Korean J Food & Nutr 24: 124-131.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5. Bojakowski, K, Abramczyk P, Bojakowska M, Zwolinska A, Przybylski J, Gaciong Z (2001) Fucoidan improves the renal blood flow in the early stage of renal ischemia/reperfusion injury in the rat. J Physiol Pharmacol 52: 137-143. 

  6. Choi HS, Joo SJ, Yoon HS, Kim KS, Song IG, Min KB (2007) Quality characteristic of hwangki (Astragalus membranaceus) cheonggook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4: 356-363. 

  7. Choi, JH, Kim IS, Kim JI, Yoon TH (1991) Studies on antiaging action of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 Dose) effect of alginic acid as a modulator of anti-aging action in serum lipids. Kor J Geronto 1: 173-178. 

  8.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9. Hong SC, Kwon DJ (2011)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kukjang added with deodeok. Korean J Food Preserv 18: 171-177. 

  10. Iwai K, Nakaya N, Kawasaki Y, Matsue H (2002) Antioxidative functions of natto, a kind of fermented soybeans: effect on LDL oxidation and lipid metabolism in cholesterol-fed rats. J Agric Food Chem 50: 3597-3601. 

  11. Joo EY, Park CS (2010)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y of extracts from soybean and chungkukjang (fermented soybeans) prepared from a black soybean cultivar. Korean J Food Preserv 17: 874-880. 

  12. Kim JH, Lee SH (2013)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with addition of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133-1138 

  13. Kim JH, Park LY, Lee SH (2012)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with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9: 659-664. 

  14. Kim, KH, Cheng DJ (1984) Optimum conditions for extracting alginic acid from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its extraction residue. Kor J Food Sci Technol 16: 336-340. 

  15. Kim SU, Kim JY, Kim SJ, Moon KH, Baek SH (2012) Isoflavonoid contents,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heonggukjang made from sword bea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74-181. 

  16. Ko HS, Cho DO, Hwang SY, Kim YM (1999) The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by chungkukjang processing methods. Korean J Food Nutr 12: 1-6. 

  17. Lee YL, Kim SH, Jung NH, Yim MH (1992)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viscous substance during the chungkukjang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co 35: 202-209. 

  18. Lee MY, Park SY, Jung KO, Park KY, Kim SD (2005) Quality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hungkukjang. J Food Sci 70: 191-196. 

  19. Maeda, H, Hosokawa M, Sashima T, Funayama K, Miyashita K (2005) Fucoxanthin from edible seaweed, shows antiobesity effect through UCP1 expression in white adipose tissu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32: 392-397. 

  20. Mann SY, Kim EA, Lee GY, Kim RU, Hwang DY, Son HJ, Lee BW, Lee CY, Kim DS (2013) Characteristics of chungkookjang produced by Bacillus subtillus MC31. J Life Sci 23: 560-568. 

  21. Murata, M, K. Ishihara K, Saito H (1999) Hepatic fatty acid oxidation enzyme activities are stimulated in rats fed the brown seaweed, Undaria pinnatifida Wakame. J Nutr 129: 146-151. 

  22. Okamato A, Hanagata H, Matumoto E, Kawamura T, Koizume Y, Yanagida F (1995)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various fermented foods. Biosci Biotechnol Biochem 59: 1147-1149. 

  23. Park HY, Cho EJ (2008)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eolitae chungkukjang added with green t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01-404. 

  24. Park JH, Han CK, Choi SH, Lee BH, Lee HJ, Kim SS (2011) Development of odor-reduced Korean traditional cheonggukjang added with Job's te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59-266. 

  25.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 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6. Sato, M, Hosokawa T, Yamaguchi T, Nakano T, Muramoto K, Kahara T (2002)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derived from wakame (Undaria pinatifida) and their antihypertensive effect in spontaneously hypersensitive rats. J Agric Food Chem 50: 6245-6252. 

  27. Suetsuna, K, Kaekawa K, Chen JR (2004) Antihypertensive effects of Undaria pinnatifida wakame peptide on blood pressure in spontaneously hypersensitive rats. J Nutr Biochem 15: 267-272. 

  28. Tiisala S, Majuri ML, Carpen O, Renkonen R (1994) Genistein enhances the ICAM-mediated adhesion by inducing the expression of ICAM-1 and its counter-receptor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3: 443-449. 

  29. Youn KC, Kim DH, Kim JO, Park BJ, Yook HS, Cho JM, Byun MW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the mixed culture of Bacillus natto and B. licheniform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204-2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