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회용 써클소프트렌즈의 초과 착용에 의한 정상안의 자·타각적 증상 및 렌즈 광투과율의 변화
Changes in Subjective/Objective Symptoms and the Light Transmissibility of Lens Associated with Overusage of Daily Disposable Circle Contact Lenses in Normal Eye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4 = no.53, 2013년, pp.429 - 439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권해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최새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회용 써클콘택트렌즈(이하 써클렌즈)의 초과 착용으로 유발될 수 있는 자각적 및 타각적 변화와 광투과율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3가지 다른 재질(hilafilcon B, nelfilcon A, etafilcon A)의 일회용 써클렌즈를 안질환이 없으며 눈물량이 정상인 20대 20안에게 각각 착용시키고 자각적 불편감, 착용자의 순목횟수, 비침습성 눈물막 파괴시간(NIBUT), 각막에서의 렌즈 중심안정위치 및 렌즈 가시광선 투과율를 렌즈 착용직후와 착용자가 불편감을 호소하여 더 이상 렌즈를 착용하지 못하였을 때에 각각 측정한 후 비교하였다. 결과: 일회용 써클렌즈의 평균 착용권장시간인 8시간을 초과하여 15시간 이상 착용하였을 때부터 착용감 저하를 호소하였으며, 30시간 이상 착용 시에는 대부분의 피검자가 렌즈 착용을 중단하였다. 렌즈 착용중단시점에서 대표적인 자각적인 불편감은 뻑뻑함, 건조감 및 피곤함이었다. 일회용 써클렌즈의 초과착용 시 순목횟수는 착용직후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NIBUT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렌즈 착용중단시점에서 렌즈의 중심안정위치는 착용직후에 비해 동공 중심으로부터 벗어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든 렌즈에서 나타나는 결과이었으나 렌즈 재질의 종류나 개인에 따라서 자각적 및 타각적인 변화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렌즈의 가시광선 투과도의 변화는 크게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에서 일회용 써클렌즈의 초과착용 시 감소된 NIBUT값은 건조감과 뻑뻑함을, 가시광선 투과도의 감소는 순목횟수 증가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는 중심안정위치의 이탈과 자각적 불편감의 증가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개인 및 렌즈 재질의 종류에 따라서 그 정도의 차이가 크며, 이로 인하여 개인에 따라서는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일일 권장착용시간 준수의 필요성 및 문제점의 교육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ssessed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subjective and/or objective symptoms and the light transmissibility of lens caused by over-usage of daily disposable circle contact lenses (circle lens). Methods: Three daily disposable circle lenses made of etafilcon A, hilafilcon B,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프트렌즈의 가시광선 투과도는 렌즈 착용 시 이물질의 침착 등으로 인하여 감소하게 된다.[1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써클렌즈를 초과 착용하였을 경우 렌즈 가시광선 투과율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Fig. 10).
  • [13,14] 자각적 불편감 중 건조감과 뻑뻑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써클렌즈 초과착용으로 인한 순목횟수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 [2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써클렌즈를 초과착용 하였을 때 시야의 흐릿함, 착용감 저하의 원인이 되는 중심안정위치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눈물량이 정상인 사람이 일회용 써클렌즈를 초과 착용하였을 때 렌즈의 중심안정위치와 비침습성 눈물막 파괴시간, 순목 횟수, 광투과율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설문을 통하여 써클렌즈 초과 착용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자각적 증상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써클렌즈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어떤 이유로 사용하고 있는가? 최근 눈동자를 크고 또렷하게 보이려는 미용의 목적으로써클소프트콘택트렌즈(이하 써클렌즈)를 착용하는 사용자들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착용 연령 또한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1] 장기간 착용이 가능한 콘택트렌즈에 비해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일회용 콘택트렌즈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으나, 렌즈 비용에 대한 부담감으로 착용자들이 렌즈 권장착용 시간을 준수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일회용 콘택트렌즈 사용시 발생하는 관리상 문제점은? 최근 눈동자를 크고 또렷하게 보이려는 미용의 목적으로써클소프트콘택트렌즈(이하 써클렌즈)를 착용하는 사용자들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으며, 착용 연령 또한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1] 장기간 착용이 가능한 콘택트렌즈에 비해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일회용 콘택트렌즈의 사용이 많아지고 있으나, 렌즈 비용에 대한 부담감으로 착용자들이 렌즈 권장착용 시간을 준수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박 등은 써클렌즈 착용자의 50%가 렌즈 교체의 가장 큰 원인을 불편감이라고 답했음에도, 1일 최대 8시간 착용할 수 있는 렌즈를 권장시간을 지키기 않고 하루 8시간 이상 또는 2일 이상 착용하여 권장 착용시간이 바르게 준수되고 있지 않음을 보고한 바 있다.
일회용 써클콘택트렌즈(이하 써클렌즈)의 초과 착용 후 몇시간을 착용하였을 때 부터 착용감 저하를 소호하였으며, 착용 중단까지는 얼마의 시간이 지난 후 였는가? 방법: 3가지 다른 재질(hilafilcon B, nelfilcon A, etafilcon A)의 일회용 써클렌즈를 안질환이 없으며 눈물량이 정상인 20대 20안에게 각각 착용시키고 자각적 불편감, 착용자의 순목횟수, 비침습성 눈물막 파괴시간(NIBUT), 각막에서의 렌즈 중심안정위치 및 렌즈 가시광선 투과율를 렌즈 착용직후와 착용자가 불편감을 호소하여 더 이상 렌즈를 착용하지 못하였을 때에 각각 측정한 후 비교하였다. 결과: 일회용 써클렌즈의 평균 착용권장시간인 8시간을 초과하여 15시간 이상 착용하였을 때부터 착용감 저하를 호소하였으며, 30시간 이상 착용 시에는 대부분의 피검자가 렌즈 착용을 중단하였다. 렌즈 착용중단시점에서 대표적인 자각적인 불편감은 뻑뻑함, 건조감 및 피곤함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ong JS, Lee H, Kim JW, Chang MH, Ha SK, Kim HM. The effects of cheap tinted contact lenses on corneal swelling and ocular surface inflammation. J Korean Oph Soc. 2008;49(12):1888-1893. 

  2. Park SH, Kim SR, Park MJ. The effect of circle lens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in clinical application on the eyes. J Korean Oph Opt Soc. 2011:6(2):147- 157. 

  3. Park YM, Hahn TW, Choi SH, Lee JS, Lee JE. Acanthamoeba keratitis related to cosmetic contact lenses. J Korean Oph Soc. 2007;48(7):991-994. 

  4. Byun JW, Mun MY, Wi DG, Lee KJ. Subjective and objective responses in successful soft contact lens wearers refitted to daily disposable circle contact lenses. Korean J Vis Sci. 2012;14(2):121-132. 

  5. Benjamin WJ. Downsizing of Dk and Dk/L: The difficulty in using hPa instead of mmHg. Int Contact Lens Clin. 1996;23:188-189. 

  6. Latkany R, Lock BG, Speaker M. Tear film normalization test: a new diagnostic test for dry eyes. Cornea 2006; 25(10): 1153-1157. 

  7. Sahai A, Malik P. Dry eye: prevalence and attributable risk factors in a hospital-based population, Indian J Ophthalmol. 2005;53(2):87-91. 

  8. Lee JH, Choi WS. Blinking frequency in normal and dry eye. J Korean Oph Soc. 1998;29(4):477-480. 

  9. Lee YJ, Park SI, Lee HS, Park MJ. The change of blink rate by wearing soft contact lens. J Korean Oph Opt Soc. 2006;11(3):173-179. 

  10. Kim MJ, Hwang HK, Jang WY, Hong HK. The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progression of dry eyes caused by wearing soft contact lenses (SCL) and cosmetic soft contact lenses(C-SCL). J Korean Oph Opt Soc. 2011;16(4): 375-381. 

  11. Kim JE, Jung BY, Noh HR, Changes in optical and surface properties of contaminated soft contact lenses. J Korean Oph Opt Soc. 2012;17(1):83-89. 

  12. Park MJ, Yang JH, Kim SM, Park SI, Park SH, Kim SR, Changes in centration of contact lenses on cornea and blink rate associated with overusage of disposable lenses. J Korean Oph Opt Soc. 2008;13(4):51-58. 

  13. Mah KC, Park MJ, Kim HJ, Kim DP, Paik SS, Um JH, Contact lens complications, 1st ed. Seoul: Elsevier Korea, 2008;14-23. 

  14. Nichils J, Mitchell GL, King-Smith PE. Thinning rate of the precorneal and prelens tear film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5;45(7):2353-2361. 

  15. Castillo EJ, Koenig JL, Andersen JM, Lo J. Characterization of protein adsorption on soft contact lenses 1. Conformational- changes of adsorbed human serum albumin. Biomaterials 1984;5(6):319-325. 

  16. Zhao Z, Naduvilath T, Flanagan JL, Carnt NA, Wei X, Diec J et al. Contact lens deposits, adverse responses, and clinical ocular surface parameters. Optom Vis Sci. 2010; 87(9):669-674. 

  17. Connell BJ, Tullo A, Morgan PB, Armstrong M. Pseudomonas aeruginosa microbial keratitis secondary to cosmetic coloured contact lens wear. Br J Ophthalmol. 2004;88(12): 1603-1604. 

  18. Glasson MJ, Hseuh S, Willcox MD. Preliminary tear film measurements of tolerant and non-tolerant contact lens wearers. Clin Exp Optom. 1999;82(5):177-181. 

  19. Mengher LS, Bron AJ, Tonge SR, Gilbert DJ. Effect of fluorescein instillation on the pre-corneal tear film stability. Curr Eye Res. 1985;4(1):9-12. 

  20. Nichols JJ, King-Smith PE. The impact of hydrogel lens settling on the thickness of the tears and contact len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4;45(8): 2549-2554. 

  21. Subbaraman LN, Glasier MA, Varikooty J, Srinivasan S, Jones L. Protein deposition and clinical symptoms in daily wear of etafilcon lenses. Optom Vis Sci. 2012; 89(10): 1450-1459. 

  22. Jones L, Evans K, Sariri R, Franklin V, Tighe B. Lipid and protein deposition of N-vinyl pyrrolidone-containing group II and group IV frequent replacement contact lenses. CLAO J. 1997;23(2):122-126. 

  23. Funkenbusch GM, Benson RC. Centering mechanism for soft contact lenses. J Biomech Eng. 1999;121(2):188-195. 

  24. Park MJ, Cho GT, Shin SH, Lee HS, Kim DS. The diameter and base curve changes of soft contact lens by protein deposition. J Korean Oph Opt Soc. 2005;10(3):165-171. 

  25. Kim SR, Park SH, Joo SK, Lee HR, Park MJ. A Comparison of the movements of circle contact lens and soft contact lens with identical material on cornea. J Korean Oph Opt Soc. 2012;17(1):27-35. 

  26. Kim SR, Kang BH, Jung IP, Park MJ. The change in the parameters of silicone hydrogel lens and objective/subjective symptoms induced by repetitive dryness of lens J. Korean Oph Opt Soc. 2012;17(4):381-3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