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력교정술 후 써클콘택트렌즈 착용 시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 변화
The Changes in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Sensitivity when Wearing Circle Contact Lenses after the Refractive Surgery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21 no.1, 2016년, pp.23 - 34  

권기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상희 (가야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소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  박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써클콘택트렌즈의 착용이 시력교정술을 받은 눈에서의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40안과 시력교정술을 받은 30안에 무도수의 써클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킨 후 CGT-1000을 이용하여 대비감도와 눈부심감도를 평가하였으며, 동공크기를 측정하여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와 동공크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력교정술을 받은 경우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으로 고영역대 공간주파수에서는 대비감도의 저하가 나타났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군보다 그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동공크기와 대비감도 변화와의 상관성이 작아졌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은 군에서 상관성이 더 작아졌다. 또한,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은 눈부심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공크기에 따른 눈부심감도의 변화분석에서도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군에서 눈부심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교정술을 받은 각막에서의 써클콘택트렌즈는 각막의 중심부에 위치하지 못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시력교정술 후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대비감도가 저하되며 눈부심이 증가되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circle contact lenses wear on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sensitivity in a refractive surgery group was investigated. Methods: The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sensitivity were evaluated using by CGT-1000 for a non-refractive surgery group as contr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력교정술에 의해 각막형태가 변한 각막에 일반적인 각막에 착용하도록 설계된 써클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시력의 질 변화를 대비감도와 눈부심 대한 감도를 측정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착용한 써클콘택트렌즈의 각막에서의 위치를 측정하여 시력교정술을 한 각막에 써클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시력과 관련된 문제점 및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눈부심이 주어진 상태에서의 대비감도 변화를 측정하여 시력교정술 및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이 눈부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제로 눈부심은 일상생활에서의 불편감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시력에도 영향을 미쳐 시력교정술을 받은 눈에 눈부심을 줄여주었을 때 시력이 향상(시표에서 2줄 시력)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눈부심에 의한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개선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이렇게 시력교정술과 미용 착색렌즈의 착용 모두 대비 감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력교정술을 받은 사람이 써클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대비감도가 어느 정도까지 저하되는 지를 알아보자 하였다. Dutt 등은 시력교정술 후 1년까지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대비감도가 감소한다고 하였고, Niesen 등은 시력교정술 후 고영역대 공간주파수에서의 대비감도는 1년 후에 회복이 되지만 저영역대와 중간영역대 공간주파수의 대비감도는 1년이 지나도 회복되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이는 수술 후 불규칙적 각막 표면, 각막혼탁, 느린 시력회복 등의 원인으로 나타나는 결과라고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력교정술에 의해 각막형태가 변한 각막에 일반적인 각막에 착용하도록 설계된 써클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시력의 질 변화를 대비감도와 눈부심 대한 감도를 측정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착용한 써클콘택트렌즈의 각막에서의 위치를 측정하여 시력교정술을 한 각막에 써클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의 시력과 관련된 문제점 및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력교정술 후 야간 시력 저하나 눈부심이 있는 원인은 무엇인가? 시력교정술은 수술방법 및 장비의 발달로 인해 시력의 질에 있어 지속적인 발전을 해왔으나 여전히 시력의 질적인 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 있다. 시력교정술 후 시력에 대한 만족도가 높더라도 야간시력의 저하나 눈부심을 호소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러한 현상은 시력교정술에 의한 각막의 표면의 불규칙화, 각막형태의 비정상적인 비구형화, 수술에 의한 각막 혼탁 및 반흔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19,20] 권 등은 시력교정술을 받은 눈에 써클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경우는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눈에 써클콘택트렌즈를 착용하였을 때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조전달기능이 저하되었고, 객관적 산란지수는 증가하였으며, 망막에 맺히는 상의 집속률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써클콘택트렌즈의 착용이 시력교정술을 받은 눈에서의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는 어떠한가? 방법: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40안과 시력교정술을 받은 30안에 무도수의 써클콘택트렌즈를 착용시킨 후 CGT-1000을 이용하여 대비감도와 눈부심감도를 평가하였으며, 동공크기를 측정하여 대비감도 및 눈부심감도와 동공크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시력교정술을 받은 경우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으로 고영역대 공간주파수에서는 대비감도의 저하가 나타났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군보다 그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동공크기와 대비감도 변화와의 상관성이 작아졌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은 군에서 상관성이 더 작아졌다. 또한,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은 눈부심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공크기에 따른 눈부심감도의 변화분석에서도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군에서 눈부심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교정술을 받은 각막에서의 써클콘택트렌즈는 각막의 중심부에 위치하지 못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시력교정술 후 써클콘택트렌즈 착용으로 인해 대비감도가 저하되며 눈부심이 증가되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대비감도란 무엇인가? 대비(contrast)란 인접한 두 대상의 휘도(luminance)의 차를 합으로 나눈 것으로 두 대상 사이의 대비가 낮을수록 식별하기 어려워진다. 인접한 두 대상의 대비를 간신히 식별할 수 있을 때의 대비를 대비역치(contrast threshold)라 하며, 대비역치가 낮을수록 또는 대비역치의 역수가 높을 수록 휘도의 관점에서 두 대상을 잘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이 대비역치의 역수를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라 정의하며 대비감도가 높을수록 두 대상의 식별이 잘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Lee EJ, Yoon MJ, Kim SH, Yang GT, Jeong JH, Kim HJ et al. Changes of contrast sensitivity with decreasing luminance in photopic condition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2; 17(4):411-417. 

  2. You YC, Choi TH, Lee HB. Normal contrast sensitivity for various ages.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1): 150-156. 

  3. Park SL, Moon NJ. The availability of contrast sensitivity in low vision patients. J Korean Ophthalmol Soc. 1998; 39(8):1788-1793. 

  4. Kim CJ, Kim HJ, Kim JM. Comparison of contrast sensitivity at near between functional progressive addition lenses and single vision lens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0;(15)4:381-388. 

  5. Lee MA, Kim HJ, Kim JM.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with spherical and toric soft contact lenses in low-astigmatic eye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09;14(1):39-45. 

  6. Kim EA, Koo YJ, Han YB. Contrast sensitivity changes in patients with diabetic retinopathy. J Korean Ophthalmol Soc. 1995;36(9):1523-1528. 

  7. Kim CJ, Choi EJ. Effects of induced dioptric blur on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2):261-270. 

  8. Choi SL, Han KL, Shim HS. Comparison to contrast sensitivity of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ir 20s.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4;19(1):87-92. 

  9. Ohyama J, Sagawa K. The effects of letter design features and aging on legibility. Perception. 2016;pii:0301006616629036. 

  10. Vasudevan B, Sultani K, Cossette C, Burr B. Effect of defocus on response time in different age groups: A pilot study. J Optom. 2015;pii:S1888-4296(15)00098-9. doi: 10.1016/j.optom.2015.11.001. 

  11. Richards OW. Effects of luminance and contrast on visual acuity, ages 16 to 90 years. Am J Optom Physiol Opt. 1977;54(3):178-184. 

  12. Rabin J. Luminance effects on visual acuity and small letter contrast sensitivity. Optom Vis Sci. 1994;71(11):685-688. 

  13. Tobimatsu S, Kurita-Tashima S, Nakayama-Hiromatsu M, Akazawa K, Kato M. Age-related changes in pattern visual evoked potentials: differential effects of luminance, contrast and check size. Electroencephalogr Clin Neurophysiol. 1993;88(1):12-19. 

  14. Yamauchi T, Tabuchi H, Takase K, Ohsugi H, Ohara Z, Kiuchi Y. Comparison of visual performance of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 with same material monofocal intraocular lenses. PLoS One. 2013;8(6):e68236. 

  15. Oh JJ, Choi JS. Clinical results and optical quality of 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 J Korean Ophthalmol Soc. 2015;56(12):1867-1873. 

  16. Pesudovs K. Takagi Glare Tester CGT-1000 for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testing in normal individuals and cataract patients. J Refract Surg. 2007;23(5):492-498. 

  17. Reinstein DZ, Carp GI, Lewis TA, Archer TJ, Gobbe M. Outcomes for myopic LASIK with the MEL 90 excimer laser. J Refract Surg. 2015;31(5):316-321. 

  18. Khalifa MA, Mossallam EF, Massoud TH, Shaheen MS. Comparison of visual outcomes after variable spot scanning ablation versus wavefront-optimized myopic LASIK. J Refract Surg. 2015;31(1):22-28. 

  19. Holladay JT, Dudeja DR, Chang J. Functional vision and corneal changes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determined by contrast sensitivity, glare testing, and corneal topography. J Cataract Refract Surg. 1999;25(5):663-669. 

  20. Niesen U, Businger U, Hartmann P, Senn P, Schipper I. Glare sensitivity and visual acuity after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for myopia. Br J Ophthalmol 1997;81(2):136-140. 

  21. Kwon KN, Kim SR, Park M. The evaluation of visual quality by employing double-pass principle in circle contact lens wearers after refractive surgery. J Korean Ophthalmic Opt Soc. 2015;20(3):277-284. 

  22. Gupta N, Naroo SA, Wolffsohn JS. Visual comparison of multifocal contact lens to monovision. Optom Vis Sci. 2009;86(2):E98-E105. 

  23. Fernandes PR, Neves HI, Lopes-Ferreira DP, Jorge JM, Gonzlez-Meijome JM. Adaptation to multifocal and monovision contact lens correction. Optom Vis Sci. 2013;90(3): 228-235. 

  24. Sia RK, Ryan DS, Stutzman RD, Pasternak JF, Eaddy JB, Logan LA et al. Wavefront-guided versus wavefront-optimized photorefractive keratectomy: Clinical outcomes and patient satisfaction. J Cataract Refract Surg. 2015;41(10): 2152-2164. 

  25. Liu M, Chen Y, Wang D, Zhou Y, Zhang X, He J et al. Clinical outcomes after SMILE and femtosecond laserassisted LASIK for myopia and myopic astigmatism: A prospective randomized comparative study. Cornea. 2016;35(2): 210-216. 

  26. Jung JW, Kim SM, Han SH, Kim EK, Seo KY, Kim TI. Effect of the pigment-free optical zone diameter of decorative tinted soft contact lenses on visual function. Br J Ophthalmol. 2015;pii: bjophthalmol-2015-306731. doi: 10.1136/bjophthalmol.2015:306731. 

  27. Hiraoka T, Ishii Y, Okamoto F, Oshika T. Influence of cosmetically tinted soft contact lenses on higher-order wavefront aberrations and visual performance.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09;247(2):225-233. 

  28. Ortiz C, Jimnez R. Optical quality and vision with iris-coloring soft contact lenses. Optom Vis Sci. 2014;91(5):564-569. 

  29. Dutt S, Steinert RF, Raizman MB, Puliafito CA. One-year results of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for low to moderate myopia. Arch Ophthalmol. 1994; 112(11): 1427-1436. 

  30. Niesen UM, Businger U, Schipper I. Disability glare after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for myopia. J Refract Surg. 1996;12(2):S267-S268. 

  31. Choi KD, Park HB, Lee DH. The evaluation of contrast sensitivity and glare after LASIK using flying spot mode laser according to pupil diameter and refractive error. J Korean Ophthalmol Soc. 2002;43(12):2391-2400. 

  32. Gatinel D, Saad A, Guilbert E, Rouger H. Simultaneous correction of unilateral rainbow glare and residual astigmatism by undersurface flap photoablation after femtosecond laser-assisted LASIK. J Refract Surg. 2015;31(6): 406-410. 

  33. Bamashmus MA, Hubaish K, Alawad M, Alakhlee H. Functional outcome and patient satisfaction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or correction of myopia and myopic astigmatism. Middle East Afr J Ophthalmol. 2015;22(1):108-114. 

  34. Ganesh S, Gupta R. Comparison of visual and refractive outcomes following femtosecond laser-assisted lasik with smile in patients with myopia or myopic astigmatism. J Refract Surg. 2014;30(9):590-5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