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스 성분이 포함된 인공누액이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rtificial Tear Containing Carboxymethyl Cellulose Component on Physical Properties of Hydrogel Contact lens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8 no.4 = no.53, 2013년, pp.457 - 463  

조선아 (세한대학교 안경광학과) ,  성아영 (세한대학교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에 미치는 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스나트륨을 포함한 인공누액의 영향을 다양한 조건에서 분석 하였다. 방법: 렌즈 재료로 사용되는 NVP(N-vinyl-2-pyrrolidone) 및 MMA(methyl methacrylate)를 가교제인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를 사용하여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와 공중합 하였으며, 개시제로는 azobisiobutyonitrile을 사용하였다. 또한 제조된 렌즈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함수율, 굴절률, 접촉각 그리고 분광투과율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기본 물성을 측정한 결과, 함수율 26.61% ~ 48.58%, 굴절률 1.422~1.455 그리고 분광투과율의 경우 80.8%~91.4%로 나타났으며 접촉각은 $33.93^{\circ}{\sim}65.70^{\circ}$의 범위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된 콘택트렌즈를 인공누액에 침지시킨 후 측정한 물리적 특성은 함수율 24.46%~48.25%, 굴절률 1.422~1.457 또한 분광투과율의 경우 77.0%~91.0%로 나타났으며 접촉각은 $37.25^{\circ}{\sim}77.33^{\circ}$의 범위로 나타났다. 수화시간에 따른 물성 변화는 굴절률의 증가, 함수율의 감소, 광투과율 감소 및 접촉각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카르복시메칠 셀룰로오스나트륨을 포함한 인공누액은 친수성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함수율, 굴절률, 접촉각 그리고 광투과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termine the impact of artificial tears which include carboxymethyl cellulose on a hydrogel contact lenses. Methods: A contact lenses made of the cross-linking agent, EGDMA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HEMA (2-hydroxyethyl methacrylate) and with added NVP (n-vinyl-2-pyrrolidone) and MM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시중에서 판매되는 인공누액은 주성분에 따라 여러 가지로 나뉘며 CMC가 주성분인 인공누액의 종류도 다양하다. CMC가 함유된 인공누액이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에 미치는 물리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고,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누액 1 ml 중 CMC가 5 mg 포함된 인공누액이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함수율에 따라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 9%의 염화나트륨 생리 식염수에 24시간 수화시키는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각 표본은 함수율에 따라 각각 G1, G3, G5로 분류하여 명명하였으며, CMC를 포함한 인공누액에 침지하기 전의 표준시료(Ref.)와 각각 3분, 5분, 10분, 1시간, 2시간 그리고 72시간 동안 침지시킨 시료를 비교하여 물리적 및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콘택트렌즈 표본의 배합비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 분광투과율은 spectral transmittance meter(TM-2, TOPCON, Japan)를 사용하여, UV-B, UV-A 그리고 가시광선 영역의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고 백분율로 표시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침지 시간의 경과에 따른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표본을 인공누액에 침지 후 3분, 5분, 10분, 1시간, 2시간 그리고 72시간 경과 후에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 또한 함수율 별로 다양하게 중합하기 위해 20%의 NVP(n-vinyl-2-pyrrolidone)와 MMA(methyl methacrylate, 99.5%)를 배합비에 따라 각각 조합한 후 약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열중합 방식을 사용하여 중합하였으며, 암수몰드 방법을 사용하여 성형하였다. 제조된 콘택트렌즈 표본은 0.
  • 본 연구는 소프트 콘택트렌즈 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NVP(n-vinyl-2- pyrrolidone), MMA및 HEMA를 기본 조합으로 사용하여 공중합하고 소프트 콘택트렌즈 시료를 제조한 후, 건성안의 치료 목적과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사용자 눈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CMC를 포함한 인공누액에 침지시킨 다음 침지 시간별로 나타나는 렌즈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 렌즈의 습윤성은 접촉각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접촉각 측정기를 사용하여 sessile drop method로 측정하였다. 분광투과율은 spectral transmittance meter(TM-2, TOPCON, Japan)를 사용하여, UV-B, UV-A 그리고 가시광선 영역의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고 백분율로 표시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침지 시간의 경과에 따른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표본을 인공누액에 침지 후 3분, 5분, 10분, 1시간, 2시간 그리고 72시간 경과 후에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각각 측정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표본 콘택트렌즈의 제작은 개시제로 AIBN(azobisisobutyronitrile)을 사용하여 HEMA, NVP, MMA 및 EGDMA를 기본 조합으로 배합한 후 고분자의 중합을 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NVP(n-vinyl-2-pyrrolidone)와 가교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98%)는 모두 Aldrich사 제품을, 또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96%)와 개시제인 AIBN(2,2'-azobisisobutyronitrile)은 JUNSEI사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MMA(methyl methacrylate, 99.
  • 5%)를 배합비에 따라 각각 조합한 후 약 30분 동안 교반한 다음 열중합 방식을 사용하여 중합하였으며, 암수몰드 방법을 사용하여 성형하였다. 제조된 콘택트렌즈 표본은 0.9%의 염화나트륨 생리 식염수에 24시간 수화시키는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각 표본은 함수율에 따라 각각 G1, G3, G5로 분류하여 명명하였으며, CMC를 포함한 인공누액에 침지하기 전의 표준시료(Ref.
  • 중량측정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콘택트렌즈의 함수된 무게와 건조된 무게를 각각 측정한 후 함수율을 측정하였다. 3가지의 표준시료에서는 Ref.

대상 데이터

  • 실험에 사용되는 콘택트렌즈는 3가지 그룹의 함수율로 다양하게 중합하기 위해 MMA와 NVP를 비율별로 첨가하여 중합한 결과, 렌즈는 전체적으로 투명하였으며 무색의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가 제조되었다. 제조된 렌즈를 표준 식염수 용액에 24시간 수화시킨 결과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유연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 실험에 사용된 NVP(n-vinyl-2-pyrrolidone)와 가교제인 EGDM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98%)는 모두 Aldrich사 제품을, 또한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 96%)와 개시제인 AIBN(2,2'-azobisisobutyronitrile)은 JUNSEI사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MMA(methyl methacrylate, 99.5%)는 일본 Crown Guaranteed Reagents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인공누액은 시중 판매되고 있는 점안액을 사용하였으며 원료약품 및 그 성분은 1 ml 중 CMC를 포함한 5 mg의 인공누액을 특별한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습윤 성분의 구조식을 Fig.

데이터처리

  • 제조된 렌즈의 굴절률은 ABBE 굴절계(NAR-1T, ATAGO, Japan)를 사용하여 수화된 상태의 콘택트렌즈를 총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함수율의 경우, ISO 18369-4:2006을 기준으로 중량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 및 계산하였다.

이론/모형

  • 함수율의 경우, ISO 18369-4:2006을 기준으로 중량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 및 계산하였다. 렌즈의 습윤성은 접촉각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접촉각 측정기를 사용하여 sessile drop method로 측정하였다. 분광투과율은 spectral transmittance meter(TM-2, TOPCON, Japan)를 사용하여, UV-B, UV-A 그리고 가시광선 영역의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고 백분율로 표시하여 나타내었다.
  • 제조된 렌즈의 굴절률은 ABBE 굴절계(NAR-1T, ATAGO, Japan)를 사용하여 수화된 상태의 콘택트렌즈를 총 3회 측정한 후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함수율의 경우, ISO 18369-4:2006을 기준으로 중량측정법을 사용하여 측정 및 계산하였다. 렌즈의 습윤성은 접촉각을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접촉각 측정기를 사용하여 sessile drop method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누액은 어떤 목적으로 사용되는가? 인공누액은 안구건조증 및 쇼그렌증후군의 치료제로 또한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 사용자의 눈의 이질감, 건조함 등 불편함을 해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10-16] 안구건조증은 눈물층 중의 수성층 부족에 의한 안구건조증이 가장 많으며, 안구건조로 인한 자극증상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며, 심할 경우 시력감소를 초래하기도 한다.
CMC는 어떤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가? CMC는 카르복시메탈기의 치환의 정도에 따라서 산업에 응용하고 있다.[4-7] CMC는 화학적으로도 매우 안전하고, 특히 인체에 무해, 무독하여 증점 및 증량제, 유화 분산제, 접착제, 보호 콜로이드(colloid)제, 현탁제 등의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 공업용은 물론 대한약전 규격 등에 적합한 합성물로서 여러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고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8-9]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에서 CMC 물질이 포함된 인공 누액의 굴절률은 침지시간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하이드로젤 콘택트렌즈에서 CMC 물질이 포함된 인공 누액은 함수율의 경우 침지시킨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함수율이 높은 소재의 콘택트렌즈일수록 변화량이 더 크게 나타났다. 굴절률의 경우, 인공 누액에 침지 시간이 증가할수록 굴절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촉각은 전체적으로 침지시킨 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수성의 경우 변화량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tdorf JB, Rossmann JM. Industrial gums. New York. Academic press. 1973;695-729. 

  2. Ott Emil, Spurlin HM. Cellulose and cellulose derivatives 2nd ed. New York. Interscience. 1954. 

  3. Baird GS, Spericher JK. Carboxymethylcellulose in water soluble. 1962. 

  4. Kuroiwa S, Nakamura M. Non-Newtonian flow of indurstrial water soluble polymers, Kogyo Kaguka Zasshi. 1964;67:1624-1629. 

  5. Rees DA. Adv. Carbohyd. Chem Biochem, 1969;24:267-332. 

  6. Mashiko K, Matsumoto T. Nihon Reoroji gakkaishi. 1986;14: 93. 

  7. Glicksmann M. New York. Academic press. 1969. 

  8. DeButts EH, Hudy JA, Elliot JH. Ind Eng Chem. 1957; 49(1): 94-98. 

  9. Tako M, Nagahama T, Nomura DJ. Chem Agric Soc Japan. 1977; 51:397-403. 

  10. Kim WJ, Lee JH. The effect of punctal occlusion in dry eye syndrome. J Korean Ophthalmol Soc. 1990;31(7): 851-856. 

  11. Smith RE. The tear film complex pathogenesis and emerging therapies for dry eyes. Cornea. 2005;24(1):1-7. 

  12. Balaram M, Schaumberg DA, Dana MR. Efficacy and tolerability outcome after punctal occlusion with silicone plug in dry eye syndrome. Am J Ophthalmol. 2001;131:31- 36. 

  13. Drusun D, Ertan A, Bilezikci B, Akova YA, Pelit A. Ocular surface change in keratoconjunctivitis sicca with silicone punctum plug occlusion. Curr Eye Res. 2003;26: 263-269. 

  14. Tai M, Cosar CB, Cohen EJ, Rapuano CJ, Laibson PR. The clinical efficacy of silicone puntal plug therapy. Cornea. 2002;21:135-139. 

  15. Punctal occlusion for the dry eye. Three-year revision.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Ophthalmology. 1997;104:1521-1524. 

  16. Liu D, Sadhan Y. Surgical punctal occlusion: a prospective study. Br J Ophthalmol. 2002;86(9):1031-1034. 

  17. Tsubota K. The importance of the Schirmer test with nasal stimulation. Am J Ophthalmol. 1991;111(1):106-108. 

  18. Perry HD, Donnenfeld ED. Dry eye diagnosis and management in 2004. Curr Opin Ophthalmology. 2004;15(4): 299-304. 

  19. Cho SA, Sung AY. Influence of artificial tear containing chlorhexidine gluconic acid on physical properties of hydrogel contact lens. Korean J Vis Sci. 2012;14(4):403-412. 

  20. Cho SA, Sung AY. Comparison of physical properties of hydrogel contact lens on artificial tear containing povidone and hyaluronic acid of hydrogel contact lens. Korean J Vis Sci. 2013;15(3):305-3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