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전 성인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the Bone Mineral Density on Premenopausal Women: Using the 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2, 2013년, pp.6246 - 6256  

전영미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이선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를 조사하고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로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BMI, 나이, 걷기운동이었고 설명력은 11.7%이었다. 이중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은 BMI로 저체중, 정상, 과체중에 따라 골밀도 수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가 50대에 비해 골밀도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걷기운동에서는 3일 이하 운동이 골밀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폐경 전 여성인 경우 골밀도 유지를 위해 과도한 다이어트를 지양하고 올바른 체형인식을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대 골질량 형성기인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적절한 영양과 운동 및 생활습관을 위한 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on Premenopausal Women. This study made use of the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2011).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ctors with an effect on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를 조사하고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를 조사하고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폐경 전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국가에서 실시한 전국 규모의 체계적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것으로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골밀도 감소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또한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연구에서도 대부분이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18,19] 폐경 전 여성들의 골밀도 및 골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토대로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를 조사하고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밀도란?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는 골질량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수로 골밀도 측정은 골질량 감소의 정도, 치료의 필요여부 및 향후 골절 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1]. 청소년기나 성인기에 낮은 골밀도를 갖고 있는 경우 폐경이후의 골다공성 골절의 위험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으므로 폐경 전에 높은 골밀도를 형성,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2,3].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생리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에 따른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둘째, 생리적 요인 및 환경적 요인과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셋째, 생리적, 환경적 요인이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골다공증은 한번 생기면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없기 때문에 골 질량을 극대화하고 골 손실 위험요인을 규명하여 제거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으로 알려져 있다[9].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종이나 성별과 같은 유전적 요인[10], 초경나이, 출산횟수, 폐경 등의 생리적 요인[11], 신체활동, 흡연, 음주 및 카페인 섭취, 식이섭취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들이 알려져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J. A. Kanis, E. V. McCloskey, H. Johansson, A. Oden, L. J. Melton 3rd, N. Khaltaev, "A reference standard for the description of osteoporosis, Bone, 42(3), 467-475, 2008. DOI: http://dx.doi.org/10.1016/j.bone.2007.11.001 

  2. J. W. Nieves, "Osteoporosis: the role of micronutrient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81(5), 1232s-1239s, 2005. 

  3. C. H. Song, S. Y. Joo, Y. S. Kim, S. M. Ock,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exercise and physical activity in premenopausal women" Osteoporosis, 8(3), 290-296, 2010. 

  4. E. S. Choi, J. Y. Lee, "A study on the level of awareness and self-efficacy of osteoporosis in young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2), 204-214, 2010.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2.204 

  5. S. M. Jang, C. M. Park, S. H. Jang, C. S. Shin, Y. C. Ha, "A study of the drug prescription patterns and medical use on osteoporosis", 83-87, Health Insurance Review Assessment Service, 2010. http://www.hira.or.kr 

  6. H. Y. Jung, "Comparative analysis of body mass index and body mineral dens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at their 20s'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physical exerci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2004. 

  7. J. W. Chae, I. H. Kim, W. S. Kwon, K. M. Lee, S. P. Jung, Y. Mo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20(1), 53-61, 2003. 

  8. Health Insurance Review Assessment Service, {cited 2013.01.31.},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 000000&cmsurl/cms/notice/02/1316013_13390.html 

  9. H. J. Lim,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with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lifestyles in premenopausal working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3(2), 339-348, 2004. DOI: http://dx.doi.org/10.3746/jkfn.2004.33.2.339 

  10. H. A. Makay, M. A. Petit, K. M. Khan, R. W. Schutz, "Lifestyle determinants of bone mineral: a comparison between prepubertal Asian and Caucasian boys and girls". Calcified Tissue International, 66(5), 320-324, 2000. DOI: http://dx.doi.org/10.1007/s002230010067 

  11. J. I. Youk, "Female bone mineral density in an urban area and its relation with contributing facto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2004. 

  12. E. J. Lee, "A study on dietary life related factors affecting on bone mineral density in the postmenopausal women with decreased bone mineral dens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Seoul, 2002. 

  13. Y. S. Byun, O. S. Kim,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and it effect on osteoporosis and life style among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3), 764-775. 2000. 

  14. E. N. Lee, Y. W. Yoo,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compliance level with therapeutic regimen after the bone minera densitomet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1), 63-71, 2004. 

  15. I. R. Reid, "Relationship among body, its component and bone", Bone, 31(5), 547-555, 2002. DOI: http://dx.doi.org/10.1016/S8756-3282(02)00864-5 

  16. Y. M. Kim, S. U. Wie, "The effects of 12-weeks health education and exercis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bone density, blood lipid, and health behavior among middle-aged and aged women in r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4), 1737-1746, 2013. 

  17. J. H. Kim, S. M. Choi, Y. H. Park, K. A. Park, M. H. Suh, S. O. Lee, "The effect of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education program on bone mineral density in the middle-aged women: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Biology Nursing Science, 12(3), 195-205, 2010. 

  18. G. A. Go, "Dietary intakes and quality among korean postmenopausal women with different bone health levels : using the 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2012. 

  19. S. O. Moon,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using the data from 2008-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2013. 

  20. Y. M. Kim, M. S. Chung, S, C, Seong, "Introduction to orthopedic surgery", 49-60, Koonja Publisher, 1998. 

  21.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5), 20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2. M. S. Kim, J. O. Koo,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with different age among adult women in seoul area",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12(5), 2007. 

  23. H. C. Kim, M. R. Kim, "Self-perception of body image and dieting behaviors by gender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buk province", The East Asian Society Dietary life, 21(4), 587-599, 2011. 

  24. I. K. Jung, "A study on body image perception a weight control by degree of obesity in male students", The Journal of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Education, 24, 31-39, 2006. 

  25. S. O. Park, I. J. Lee, G. S. Shin, "The relationship of age, body mass index, and individual habit to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31(4), 2008. 

  26. C. Cure-Cure, P. Cure-Ramirez, E. Teran, P. Lopez-Jaramillo, "Bone-mass peak in multiparity and reduced risk of bone-fractures in menopause", International Journal of Gynaecology and Obstetrics 76(3), 285-291,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020-7292(01)00583-5 

  27. Y. H. Choi, C. J. Sung, "Physiological factors and lifestyles on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40(6), 2007. 

  28. W. W. Kim, S. K. Jang,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obstetric history in korean women", The Korean Society Menopause, 8(1), 27-36, 2002. 

  29. H. K. Rho, E. S. Lee, H. M. Park, "Level of vitamin D and calcium on osteoporosis treatment", The Korean Society Menopause, 14(2), 115-129, 2008. 

  30. J. I. Lee, Y. S. Byeon, "Effects of treadmill walking exercise on BMD and BMI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5(1), 53-59, 2008. 

  31. J. H. Khil, S. B. Kim, "The effects of Taekwondo exercise programs o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obese adult women", The Journal of Taekwondo Science, 3(1), 23-33, 2010. 

  32. J. H. Yoo, E. K. Park, K. W. Yoo, "A study of bone mass & health related physical fitness induced exercise & drinking habits on pre & post-menopause of female", The Journal of the Korea Exercise Science Academy, 20(1), 27-34, 2011. 

  33. H. J. Oh, C. H. Lim, H. Y. Chung, K. O. Han, H. C. Jang, H. K. Yoon, I, K. Han, "Relationship of obesity and BMD in pre & peri-menopausal women", Korean Academic Society of Womens Health, 1(1), 91-100, 2000. 

  34. H. Y. So, S. H. Ahn, R. Y. Song, H. L. Kim, "Relationships among obesity, bone mineral density, and cardiovascular risks in post-menopausal women",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16(3), 224-233, 2010.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3.224 

  35. S. K. Jeon, H. R. Hong, K. W. Yi, H. T. Park, J. H. Shin, N. W. Lee, T. Kim, H. J, Kim, J. Y. Hur, S. H. Kim,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The Korean Society Menopause 16(3), 142-147, 2010. 

  36. M. R. Kim, H. J. Park, H. J. Yu, B. A. Chae, M. J. Kim, H. H. Jo, S. J. Hwang, D. J. Kwon, Y. O. Lew, Y. T. Lim, J. H. Kim, J. W. Lee, J. H. Kim,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Bone Metabolism, 13(2), 149-155, 2006. 

  37. A. Khan, "Premenopausal women and low bone density", Canadian Family Physician, 52, 743-747, 2006. 

  38. K. M. Winters, C. M. Snow, "Body composition predicts bone mineral density and balance in premenopausal women", Journal of Women's Health & Gender-Based Medicine, 9(8), 865-872, 2000. DOI: http://dx.doi.org/10.1089/152460900750020892 

  39. S. J. Shin, "Obesit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aged women", Nursing Science, 19(1), 8-15, 2007. 

  40. J. O. Koo, S. Y. Park, "Analysis of BMI menopause, blood pressure and dietary habit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of 30-60 years women",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15(3), 403-414, 2010. 

  41. J. K. Lee, E. J. Kim, M. H. Suk, E. Y. Kim, L. L. Hwang, "Factors influencing osteoporosis",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4(2), 253-262, 2003. 

  42. M. Gotoh, K. Mizuno, Y. Ono, M. Takahashi. "High blood pressure, bone-mineral loss and insulin resistance in women", Hypertension Research, 28, 565-570, 2005. DOI: http://dx.doi.org/10.1291/hypres.28.565 

  43. S. H. Lee, "Association of bone mineral density with dietary intake and health-related behavior among korean postmenopausal wome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2012. 

  44. I. J. Kim, "The effect of the walking exercise, on the body composition the blood components and bone mineral density(BMD) of obese middle-aged wo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