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9 no.5, 2013년, pp.201 - 228
조혜영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김미경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이문옥 (성신여자대학교 유아교육학과)
The research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and difficulties of English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1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of 3-5-year-old children. They were surveyed and some of them were interviewed on...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떻게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나? |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자녀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연희 (2009), 라명희(2008)가 사용한 부모용 설문지를 이미화(2011)가 수정·보완한 설문지와 김은아(1995), 노승희(2008)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초로 하여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북한이탈주민 중에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5명에게 총 3회에 걸쳐 설문 내용을 검토 받았으며, 유아교육 전문가 3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아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이 이해할 수 있는 문장구조와 단어 선정, 특성 등을 고려한 후, 본 연구에 알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 |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어려움을 알아본 결과는 어떠한가? | 연구대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201명이며, 영어교육의 실태에 대한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자녀에게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만 3세 이전에 영어교육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영어교육을 시키는 가장 주된 이유는 같은 또래들이 영어교육을 받고 있기 때문인 경우가 많았다. 자녀의 영어교육을 위한 도움제공은 10분 미만이 가장 많았고, 유아 혼자 복습을 하게하거나, 숙제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영어교육을 시킬 때의 어려움은 비용부담, 정보부족, 영어교육을 시킬 시간부족, 불만족스러운 영어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한 달 영어교육비용은 3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영어교육을 위한 지출은 가계에 부담이 된다는 응답이 많았다. | |
북한이탈주민이 제3국이 아닌 우리 사회에 정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이렇게, 북한이탈주민이 제3국이 아닌 우리 사회에 정착하는 이유는 의사소통이 원활하기 때문이다(조혜영, 권정윤, 2013). 그런데, 북한이탈주민에게 남한과 북한의 언어가 본질적인 차이가 없다는 점이 항상 긍정적인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
교육인적자원부(2007. 1. 22). 초등학교 영어교육 10년. '효과 있었다'. 교육소식. 출력일 2013년 5월 23일.
김경철, 홍정선(2002).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어린이미디어연구, 1, 33-51.
김민진(2012). 조기영어교육 경험이 유아의 사회언어학적 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회지, 16(5), 459-486.
김연희(2009). 영어유치원과 한국어 유치원 7세 유아의 영어 학습 흥미도 분석 및 영어학습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기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은아(1995). 유아의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은영, 조혜주, 김경미(2010). 유치원 특별활동 운영 실태 보고.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09-4.
남은주(2009). 남. 북한 영어교육실태 비교 연구: 남. 북한 중학교 영어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노승희(2008).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유아 부모의 인식 및 실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라명희(2008). 영어유치원과 일반유치원 유아의 영어 학습 흥미도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마송희(2008). 유아교육기관 영어교육의 타당성과 바람직한 실천 방안. 열린유아교육연구, 13(4), 221-245.
문용린(2013). 서울특별시 문용린 교육감을 만나다: 올바른 도덕.인성교육 생애 첫 학교인 유치원부터. 사단법인 전국사립유치원연합회. 소식 제 5호.
박성재, 김화순, 성재민, 반정호, 김선경(2011). 북한이탈주민 취업지원제도 평가 및 개선방안. 통일부.
박약우, 김진철, 고경석, 박기화, 정국진(2000). 남북한 중등학교 영어과 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외국어교육, 7(2), 163-194.
박혜영(2008). 자녀의 영어교육에 대한 초등학생 학부모와 중학생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서문희, 최진, 이정림, 최혜선, 조성연, 권영인(2011). 보육시설 특별활동 중심의 보육프로그램 질관리 방안. 보건복지가족부 육아정책개발센터.
서울특별시(2006). 2020년 서울도시기본계획: 전략보고서. http://spp.seoul.go.kr 출력일 2013년 5월 22일.
송정, 양정선, 차성현, 정연주(2011). 경기도 영유아 사교육 실태 조사.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정책보고서 2011-30.
안은숙, 김연하(2009). 유아교육 및 아동학 관련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영어교육/이중언어발달 관련논문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1), 81-101.
오사라(2008). 대안학교 새터민 청소년의 영어교육 현황 조사 연구. 총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남희(2004). 아동의 권리와 한국의 조기교육. 아동권리연구, 8(2), 189-207.
우남희(2007). 유아의 영어교육 경험과 지능, 창의성과의 관계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4),453-474.
이경호, 김익균(2007). 아동발달과 조기영어 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11(2), 1-20.
이기숙, 장영희, 정미라, 홍용희(2003).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유아교육혁신. 이화교육총서, 2003(2), 1-107.
이루지(2007). 통일을 대비한 남북한 영어교과서 비교.분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미화(2011). 유아 영어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유치원 영어학습자들의 정의적 특징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소영(2012). 북한 영어 교과서 분석: 중학교 4, 5,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숙자(2001). 가정에서 유아의 영어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윤진, 이정림, 김경미(2012). 북한이탈주민 영유아 자녀 양육지원 강화 방안. 육아정책연구소 연구보고 2012-14.
이정원, 박희선(2010). 한국인 영어교사의 효과적인 TEE 방안 연구. Secondary English Education, 3(2), 3-23.
정경일(2002). 북한이탈주민의 언어적응실태. 사회언어학, 10(1), 253-274.
정새론, 임현우(2009). 북한이탈주민들의 관점에서 본 남북한에서의 영어 학습. 중등교육연구, 57(3), 85-111.
조미영, 이문옥(2009). 유아기 조기영어교육에 대한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의 인식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57, 23-51.
조영아, 전우택(2005). 탈북 여성들의 남한사회 적응 문제: 결혼 경험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10(1), 17-35.
조혜영, 권정윤(2013).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경험에 대한 탐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2), 67-89.
천희영, 서현아, 좌승화, 배미숙(2011). 영아영어교육 실태 및 영아어머니의 영아영어교육 요구에의 영향 변인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3), 43-65.
최대헌, 이인수, 김현아(2007). 새터민 아동, 청소년의 적응력향상을 위한 부모프로그램 개발. 아동교육, 16(2), 277-291.
최신영(2002). 효과적인 지도방법으로서 노래와 챈트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영숙(2008). 남.북한 유아교육 관련 법령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제도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통일부(2013a). 북한이탈주민정책: 북한이탈주민 입국인원 현황. http://www.unikorea.go.kr 출력일 2013년 7월 18일.
통일부(2013b). 2013 통일백서. 통일부.
통일부 통일교육원(2013). 2013 북한이해. 통일부 통일교육원
홍주은(2003). 북한이탈부모의 자녀양육 변화와 문제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Creswell, J. W. 2th Ed. (2012).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학지사(원판 2007).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