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아-아버지 그림책 읽기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과 참여 실태
Fathers' Awareness and Practice of Picture Book Reading with Toddler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9 no.5, 2013년, pp.277 - 297  

김명순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배선영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김지연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영아 자녀를 둔 아버지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인식과 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59%의 아버지는 12개월 이전부터 자녀와 그림책을 읽어야하고, 36%는 자녀가 원할 때까지 함께 그림책을 읽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림책 읽기의 효과로는 책을 통해 얻는 정서적 측면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둘째,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 그림책을 읽는 빈도가 1주일에 1-2회(46%), 3-4회(37%)이었으며, 1회 평균 책읽기 시간이 6-10분(37%), 11-15분(24%)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시, 60%의 아버지는 내용과 그림을 설명해주고, 24%는 자녀의 질문에 답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아버지는 영아의 선택과 요구를 존중하고, 영아의 반응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려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책 읽기 시 어려운 점으로 시간과 기술의 부족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들의 그림책 읽기 인식과 실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추후 아버지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fathers' awareness and practice of picture book reading with toddlers. The subjects were 221 fathers who have toddlers, and the data collected by questionnaires were analys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frequency analysis. As a result, approximate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버지가 자녀의 발달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존재로 재인식되고 있고 아버지 스스로가 양육에 대해 관심을 갖고 참여정도가 높아졌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영아 자녀를 둔 아버지의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인식과 가정에서의 참여 실태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있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아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인식과 참여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며,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아버지가 영아기 자녀와 그림책 읽기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참여 실태는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인식과 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연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영아 자녀를 둔 아버지 2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림책 읽기에 대한 인식과 참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첫째, 59%의 아버지는 12개월 이전부터 자녀와 그림책을 읽어야하고, 36%는 자녀가 원할 때까지 함께 그림책을 읽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림책 읽기의 효과로는 책을 통해 얻는 정서적 측면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둘째,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 그림책을 읽는 빈도가 1주일에 1-2회(46%), 3-4회(37%)이었으며, 1회 평균 책읽기 시간이 6-10분(37%), 11-15분(24%)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시, 60%의 아버지는 내용과 그림을 설명해주고, 24%는 자녀의 질문에 답한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아버지는 영아의 선택과 요구를 존중하고, 영아의 반응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려는 경향을 보였다. 그림책 읽기 시 어려운 점으로 시간과 기술의 부족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아버지들의 그림책 읽기 인식과 실태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추후 아버지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함을 제안하였다.
인간이 언어를 통해 할 수 있는 것은? 인간은 일생동안 언어를 통해 외부세계와 소통하며, 글을 읽고 씀으로써 시공간을 초월하여 자신이 속한 세계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인간은 세상에 태어나는 순간부터 발성, 몸짓과 표정을 사용하다가 점차 주변 맥락 속에서 의미를 전달하는 어휘를 통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며, 문어 역시 구어처럼 가정내 환경에서 생애 초기부터 발달되어 간다(김명순, 한찬희, 유지영, 2012; Makin & Whitehead, 2004; McGee & Richgels, 2000)
영아가 자신의 주변 문해환경에서 처음 그리고 매우 빈번하게 접하는 매체 중 하나는? 영아가 자신의 주변 문해환경에서 처음 그리고 매우 빈번하게 접하는 매체 중 하나가 바로 그림책이다(정지은, 김명순, 2012). 영아는 글과 그림이 조화롭게 결합된 형태인 그림책을 통해 문자언어와 그림이라는 시각적인 자극을 접하게 되고, 생애 최초의 문학적 경험을 하게 된다(현정희, 서정숙, 2009; Nodelman,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8)

  1. 김명순, 권희경(2002). 어머니와 아버지의 아동 문해발달에 대한 태도 및 가정문해환경. 대한가정학회지, 40(1), 1-12. 

  2. 김명순, 성지현(2002). 1세 영아의 언어와 놀이의 관계. 아동학회지, 23(5), 19-34. 

  3. 김명순, 이가현(2009). 어린이집에서 24-36개월 영아-교사간 공동주의와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0(5), 155-165. 

  4. 김명순, 한찬희, 유지영(2012). 가정문해활동,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 및 영아-어머니 간 공동주의와 영아의 언어.인지 발달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3(3), 199-213. 

  5. 김세희, 현은자(1996). 전래동화와 이솝우화의 인물에 대한 유아의 반응. 유아교육연구, 16(2), 5-26. 

  6. 김의향, 김명순(2006). 7-24개월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 습득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7(6), 217-234. 

  7. 김정아(2006). 영아 언어발달을 위한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모형의 적용 및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지윤(2002). 영유아를 위한 어머니의 그림책 인식 및 활용에 관한 조사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혜영, 황정미, 선보영, 김동기(2008). 남성의 부성경험과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 노정임(2012). 영아-어머니의 그림책읽기 행동과 12∼18개월 영아의 어휘력간의 관계.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마쯔이 다다시(1995). 어린이 그림책의 세계. 이상금(옮김). 서울 : 한림출판사. 

  12. 박선영(2007). 아버지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활용에 대한 실태조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수진, 김명순(2010).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18-24개월 영아의 가정문해환경 및 어머니의 상호반응적 교수행동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1(4), 15-27. 

  14. 이나리(2009). 아버지의 문해발달태도 및 가정문해환경과 유아의 어휘력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이문정(2008). 가정에서 책 읽어주기에 대한 아버지 참여 및 아버지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1-19. 

  16. 이미화, 김명순(2004). 영아를 위한 대화식 그림책읽기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학회지, 25(2), 41-57. 

  17. 이수재, 이영환(2007).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과학학회지, 10(3), 1-17. 

  18. 이숙현, 권영인(2009).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1(1), 1-28. 

  19. 임수경, 김명순(2013). 만 2 세 영아-어머니, 영아-아버지의 그림책 읽기행동 및 가정문해환경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4(3), 1-19. 

  20. 정지은, 김명순(2012). 영아반 그림책 읽기활동, 교사의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 및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3(4), 91-106. 

  21. 조해연(2007). 그림책과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활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지연주, 최나야(2012). 교사와 어머니의 문해신념,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읽기활동 빈도가 유아와의 그림책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5-28. 

  23. 황해익 송연숙 최혜진 손원경(2011). 개정 영유아 아동연구에서의 SPSS 자료분석. 서울: 창지사. 

  24. 현정희, 서정숙(2009).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0(2), 125-147. 

  25. Barns. S., Gutfreund, M., Satterly, D., & Wells, G. (1983). Characteristics of adult speech which predict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Child Language, 10, 65-84. 

  26. Bernstein-Ratner, N. (1988). Patterns of parental vocabulary selection in speech to very young children. Journal of Child Language, 15, 481-492. 

  27. Blake, J., Macdonald, S., Bayrami, L., Agosta, V., & Milran, A. (2006). Book reading styles in dual-parent and single-mother familie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3), 501-515. 

  28. Bloome, D. (1985). Reading as social process. Language Arts, 62(2), 134-142. 

  29. Bloom, L. (1993). The transition from infancy to language: Acquiring the power of express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Bus, A. G. (2001). Joint caregiver-child storybook reading: A route to literacy development. In S. B. Neuman & D. K. Dickinson (Eds.), Handbook of early literacy research (pp. 179-191). New York; Guilford. 

  31. Cabrera, N., Tarkow, A., & Shannon, J. (2006, July). Fathers' and mothers' contribution to their preschoolers' emotional regulation. Presented at World Association of the Infant Mental Health, Paris, France. 

  32. Dickinson, D. K., & Smith, M. W. (1994). Long-term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book reading on low-income children's vocabulary and story comprehension. Reading Research Quarterly, 29, 105-122. 

  33. Decker, D. F., Adamson, L. B., & Bakeman, R. (2006). Child and maternal contributions to shared reading: Effects on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7, 31-41. 

  34. De Temple, J. M. (2001). Parents and children reading books together. In D. K. Dickinson & P. O. Tabors (Eds.), Beginning literacy with language (pp. 31-51). Baltimore: Paul H. Brookes. 

  35. Duursma, A. E. (2007). Parental bookreading in low-income families: Differences and style of reading and the impact on children's language and literacy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vard university. 

  36. Elliot, A. J., & Hewison. J. (1994); Comprehension and interest in home read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4(2), 203-220. 

  37. Ely, R., Gleason, J. B., Narasimhan, B., & McCabe, A. (1995). Family talk about talk: Mothers lead the way. Discourse Processes, 19, 201-218. 

  38. Frick, H. A. (1986). The value of sharing stories orally with middle grade students. Journal of Reading, 29(4), 300-303. 

  39. Gray, L. S. (1995). Taking from books by asking questions.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10, 23-28. 

  40. Guterman, B. N., & Lee, Y. (2005). The Role of fathers in risk for physical child abuse and neglect: Possible pathways and unanswered questions. Child Maltreat, 10(2),136-149. 

  41. Haden, C. A., Reese, E., & & Fivush, R. (1996). Mother's extratextual comments during storybook reading: Stylistic differences over time and across texts. Discourse Processes, 21, 135-169. 

  42. Hammett, A. L., Kleeck. V. A., & Huberty. C. (2003). Patterns of parents' extratextual interactions during book sharing with preschool children: A cluster analysis study. Reading Research Quarterly, 38(4), 442-468. 

  43. Heath, S, B. (1983). Ways with words: Language, life and work in communities and classroom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Heath, S, B. (1982). What no bedtime story means: Narrative skills at home and school. Language in Society, 11, 49-76. 

  45. Hoff-Ginsberg, E. (2001). 언어발달 (Language development). 이현진 박영신 김혜리(옮김). 서울: 시그마 프레스. 

  46. Katz, L. L. (1997). 유아교사를 위한 제언. 이차숙(역). 서울: 양서원. 

  47. Kavanaugh, R. D., & Marnett, J. (1982). Som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peech and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First Language, 2, 103-115. 

  48. Korat, O., Klein, P., & Segal-drori, O. (2007). Maternal mediation in book reading, home literacy environment and children's emergent literacy : A comparison between two social groups. Reading and Writing, 20, 361-398. 

  49. Lamb, M. E. & Tamis-LeMonda, C. (2004). The role of the father: An introduction.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4th ed) (pp. 1-31). New York: Wiley. 

  50. Leaper, C., Anderson, K. J., & Sanders, P. (1998). Moderators of gender effects on parents' talk to their children: A meta-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34, 3-27. 

  51. Lee, K. Y., & Kim, M. S. (2006). Mother-child interactions in picture-book reading and children's language ability among low-income. Journal of ARAHE, 13(1), 39-49. 

  52. Lee, M. J., Kim, M. S., & Pae, S. Y. (2013). Effects of a picture book reading intervention program on young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and Print Concept.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3(1), 33-47. 

  53. Lewis, C., & Gregory, S. (1987). Parents' talk to their infants: The importance of context. First Language, 7, 210-216. 

  54. Lloyd, T. (1999). Reading for the future: boys' and fathers' views on reading. London: Save the Children. 

  55. Makin, L., & Whitehead, M. (2004). How to develop children's early literacy: A guide for professional carers & educators. London: Paul Chapman Publishing. 

  56. McGee, L. M., & Richgels, D. J. (1996). Literacy's beginnings: supporting young readers and writers. 영유아의 문해발달 및 교육(김명순, 신유림 옮김). 서울: 학지사. 

  57. Morman, M, T., & Floyd, K.(2002). A “hanging of fatherhood” effects on affectionate communication, closeness, and satisfaction in men's relationships with their father and their sons. Western Journal of Communication, 66(4), 395-411. 

  58. Morrow, L. (1983). Home and school correlates of early interest in literature. Journal of Educational, 76, 221-230. 

  59. Nodelman, P. (2001). The pleasures of children's literature. 어린이 문학의 즐거움(김서정 옮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60. Palkovitz, R. (2002). Involved fathering and child development: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good fathering. In C. S. Tamis-LeMonda & N. Cabrera (Eds.), Handbook of father involvement (pp. 119-140). Mahwah, NJ: Erlbaum. 

  61. Pancsofar, N., & Vermon-Feagans, L. (2006). Mother and father language input to your young children: Contributions to later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7, 571-587. 

  62. Pellegrini, A, D., Perlmutter, J. C., Galda, L., & Gene, H. B. (1990). Joint reading between black Head Start children and their mother. Child Development, 61, 443-453. 

  63. Pleck, J. H. (1997). Paternal involvement: Levels, sources, and consequences. In M. E. Lamb (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3rd ed., vol. 3, pp. 66-103). New York: Wiley. 

  64. Renshaw, P. (1994). The reading partnership of children in the transition to school. The Australian Journal of Language and Literacy, 17, 276-287. 

  65. Romotosky, J. A., & Trepanier, M. L. (1977). Examining and influencing the home reading behaviors. Eric No. ED 195938, 1-8. 

  66. Schickedanz, J. A. (1978). Please read that story again!: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story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Young Children, 33, 48-55. 

  67. Senechal, M. (2006). The effect of family literacy intervention on children's acquisition of reading: From kindergarten to grade 3: A meta-analytic review. Partnership for reading, ED 496 880, 36. 

  68. Senechal, M. (1997). The differential effect of storybook reading on preschoolers' acquisition of expressive and receptive vocabulary. Journal of Child Language, 24, 123-138. 

  69. Senechal, M., Cornell, E. H., & Broda, L. S. (1995). Age related differences in the organization of parent-infant interactions during picture-book read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 317-337. 

  70. Shannon, J. D., Tamis-LeMonda, C. S., London, K., & Cabrera, N. (2002). Beyond rough and tumble: Low-income fathers' interactions and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at 24 months. Parenting: Science and Practice, 2, 77-104. 

  71. Silinskas, G., Leppanen, U., Aunola, K., Parrila, R., & Nurmi, J. (2010). Predictors of mothers' and fathers' teaching of reading and mathematics during kindergarten and Grade 1. Learning and Instruction, 20(1), 61-71. 

  72. Snow, C. E. (1983). Literacy and language: relationships during the preschool years. Harvard Educational Review, 53, 165-189. 

  73. Sorsby, A. J., & Martlew, M. (1991). Representational demands in mothers' talk to preschool children in two contexts: Picture book reading and a modeling task. Journal of Child Language, 18, 373-395. 

  74. Sulzby, E., & Teale, W. H. (1991). Emergent literacy. In R. Barr, M. L. Kamii, P. B. Mosenthal, P. D. Pearson (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NY: Longman. 

  75. Tamis-Lemonda S. C., Shannon, D. J., Cabrera, J. N., & Lamb, E. M. (2004). Fathers and mothers at play with their 2-and 3-years-olds: Contributions to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5(6), 1806-1820. 

  76. Valdez-Menchaca, M. C., & Whitehurst, G. J. (1992).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A systematic extension to Mexican day care. Developmental Psychology, 28, 1106-1114. 

  77. Whitehurst, G. J., Arnold, D. S., Epstein, J. N., Angell, A. L., Smith, M., & Fischel, J. E. (1994). A picture book reading intervention in day-care and home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Developmental Psychology, 30, 679-689. 

  78. Whitehurst, G. J., Falco, F. L., Lonigan, C. J., Fischel, J. E., DeBaryshe, B. D., Valdez-Menchaca, M. C., & Caufield, M. (1988).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4(4), 552-5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