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9 no.6, 2013년, pp.223 - 241  

채진영 (전북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영유아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만족도 가운데 직무특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훈육에 대한 교사 효능감이 가장 높았으며,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직접적 대처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 가운데 긍정적인 학습환경을 조성하는 능력은 영유아교사직의 직무특성,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의사결정참여 능력은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근무환경, 복리 및 보수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요인 가운데 직접적인 대처 방식이 직무만족도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적, 심리적, 파괴적인 대처 방식은 각각 직무특성, 원장 및 동료와의 관계, 복리 및 보수에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eacher efficacy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189 teachers were recruited from 8 day care centers and 10 kindergartens in Seoul, Kyunggi, Kyungbuk, and Chonbuk province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유아교사직은 지식과 기술을 전달하는 교수자 역할 이외에도 하루 일과 중 대부분의 시간을 부모를 대신하여 여러 명의 영유아를 한정된 공간에서 동시에 보살펴 하는 양육자 역할을 수행하며 영유아의 사회화를 돕는다. 공동체 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인성을 기르고 안전과 질서를 위해 훈육은 필요하며, 긍정적인 훈육을 하였을 경우 학급운영에도 도움이 되므로 교사로서의 자신의 훈육에 대한 능력을 높게 평가하지 않았나 추측해 본다. 영유아교사가 자신의 직업적 책임은 주로 교육과 훈육이라고 인지하고(Ho & Hau, 2004), 영유아교사의 효능감과 훈육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김미정, 윤갑정, 2013)는 선행연구 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영유아교사로서 영유아의 훈육을 중시하고 지도하는 데 있어서 어느 정도의 자신감을 의미한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 이 연구는 영유아와 많은 시간을 함께 생활하는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변인들의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영유아를 위한 보육 · 교육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영유아교사와 함께 많은 시간을 상호작용하는 영유아에게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렇듯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보육 ·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을 간구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이 연구결과는 긍정적인 방식으로 스트레스에 대처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과업을 적극적으로 이룰 수 있고, 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받게 해 주는 건강한 조직문화를 조성하여 이직의도를 줄이고 영유아를 돌보고 교육시키는 일에 보람과 긍지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질적인 보육 · 교육 향상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근본이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영유아의 하루 일과 중 많은 시간을 함께 하는 영유아교사 직무만족도를 향상시켜 궁극적으로는 영유아에게 그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였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질적인 보육 · 교육 제공하기 위해 영유아교사의 처우개선과 근무환경의 향상을 도모하고, 개인의 발달 및 생애에 있어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시기인 영유아기에 부모의 역할을 대신하여 보육 · 교육하는 영유아교사가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 이를 바탕으로 질적인 보육 · 교육 제공하기 위해 영유아교사의 처우개선과 근무환경의 향상을 도모하고, 개인의 발달 및 생애에 있어 매우 민감하고 중요한 시기인 영유아기에 부모의 역할을 대신하여 보육 · 교육하는 영유아교사가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고 이와 관련된 정책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만족도란?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Jorde-Bloom, 1988). 일반적으로 직무만족도란 개인이 지각하는 자신의 직무와 직무상황에 대한 적극적 또는 소극적으로 나타내는 태도와 느낌의 정도(Compbell & Scarpello, 1983)를 일컬으며,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보육 및 교육활동 등의 직무 자체,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 직장으로써의 근무환경 및 근로자로서 누리는 복지 등과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느끼는 만족 정도라 할 수 있다(이점자, 김형모, 2012; 조성연, 2005; Jorde-Bloom, 1988). 영유아교사는 영유아가 신체적인 성장 뿐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안정과 성장을 포함한 조화로운 전인적인 발달을 이루도록 조력하는 역할을 수행(최애경, 2007)해야 하므로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영유아교사가 자신의 직업에 대해 만족을 한다면 좋은 에너지가 되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영유아교사는 어떤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가? 일반적으로 직무만족도란 개인이 지각하는 자신의 직무와 직무상황에 대한 적극적 또는 소극적으로 나타내는 태도와 느낌의 정도(Compbell & Scarpello, 1983)를 일컬으며,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보육 및 교육활동 등의 직무 자체,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 직장으로써의 근무환경 및 근로자로서 누리는 복지 등과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느끼는 만족 정도라 할 수 있다(이점자, 김형모, 2012; 조성연, 2005; Jorde-Bloom, 1988). 영유아교사는 영유아가 신체적인 성장 뿐 아니라 정신적, 심리적 안정과 성장을 포함한 조화로운 전인적인 발달을 이루도록 조력하는 역할을 수행(최애경, 2007)해야 하므로 직무만족도가 높은 교사는 영유아교사가 자신의 직업에 대해 만족을 한다면 좋은 에너지가 되어 영유아와의 상호작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반대로 영유아교사가 자신의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낮으면 질적인 보육 및 교육의 향상을 이룰 수 없게 될 것이다.
교사로서의 능력이 자신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일은 영유아교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렇듯 직무만족도에 교사효능감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강란혜, 2006; 이세나, 2007; Labone, 2004; Wheatley, 2005)가 존재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지 않아 깊이 있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부모를 대신하여 보육 · 교육을 해야 하는 영유아교사직의 특성상 교수 능력 이외에도 훈육을 해야 하고, 부모와의 긴밀한 협력도 필요하며, 사회적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 다양한 능력이 요구된다(김연하, 김양은, 2008). 따라서 이러한 교사로서의 능력이 자신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일은 영유아교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란혜(2006).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25(1), 71-88. 

  2. 권혜진(2008).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 - 정서적 부조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인간발달연구, 15(4), 93-113. 

  3. 김미정, 윤갑정(2013). 유아기 인성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의 훈육에 대한 의미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81-203. 

  4. 김연아, 김경은(2012).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9(1), 105-121. 

  5. 김연하, 김양은(2008). Bandura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eacher Self-efficacy Scale 요인구조 분석). 유아교육연구, 28(2), 169-191. 

  6. 김한나, 송지연, 오유경, 최지원, 유계숙(2011). 보육교사의 교사직 지속.이직 이유가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5(3), 91-116. 

  7. 보건복지부(2013). 보육통계. http://www.index.go.kr/egams/index.jsp 

  8. 성태제(2007).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 기술통계에서 구조방정식모형까지. 서울 : 학지사. 

  9. 신지연, 최석란(2006). 2세 영아의 어머니와 보육교사에 대한 복합 애착과 사회정서적 행동. 아동학회지, 26(1), 137-154. 

  10. 이세나(2007).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2), 1-21. 

  11. 장미아(1996).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정옥분(2010). 아동연구와 통계방법. 서울 : 학지사. 

  13. 정채옥(2006). 현직보육교사와 예비보육교사의 지원동기 및 전문성과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관한 인식비교 연구. 유아교육학연구, 10(3), 191-120. 

  14.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15. 채진영, 권혜진(2012).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5-23. 

  16. 최애경(2007). 예비유아교사의 보육실습 전.후에 따른 교사이미지 변화. 아동교육, 16(3), 291-302. 

  17. 한국교육개발원(2012). 교육통계연보. http://cesi.kedi.re.kr 

  18. 황미구(2001). 통제소재,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전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14, 165-184. 

  19. 홍계옥(2003). 유아교사의 훈육행동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 유아의 성, 연령, 학급의 크기 그리고 교사의 교육경력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 6, 59-74. 

  20. Bandura, A. (2006). Guide for constructing self-efficacy scales. In F. Pajares & T. Urdan (Eds.), Self-efficacy beliefs of adolescents (pp. 307-337). New York: H. H. Freeman. 

  21. Caprara, G. V., Barbaranelli, C., Borgogni, L., & Steca, P. (2003). Efficacy beliefs as determinant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 821-832. 

  22. Compbell, J. P., & Scarpello, V. (1983). Job satisfaction and the fit between individual needs and organizational rewards.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6, 315-328. 

  23. Emmer, E., & Aussiker. A. (1987, April). School classroom discipline program: How well do they work? Paper presented at the nation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Washington, D.C. 

  24. Feitler, F. C., & Tokar, E. B. (1981). Teacher stress: Sources, symptoms and job satisfac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Los Angles, CA, April, 13-17.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04 857. 

  25. Golbasi, Z., Kelleci, M., & Dogan, S. (2008). Relationships between coping strategi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in a sample of hospital nurses: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5, 1800-1806. 

  26. Green, S. B., & Ross, M E. (1996). A theory-based measure of coping strategies used by teachers: The problmes in teacher scale. Teaching & Teacher Education, 12(3), 315-325. 

  27. Ho, I. T., & Hau, K. T. (2004). Australian and Chinese teacher efficac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personal instruction, discipline, guidance efficacy and beliefs in external determinant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 313-323. 

  28. Jorde-Bloom, P. (1988). Measuring work attitude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Technical manual for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Illinois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29. Klassen, R. M., Foster, R. Y., Rajani, S., & Bowman, C. (2009). Teaching in the Yukon: Exploring teachers' efficacy beliefs,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a remote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8, 381-394. 

  30. Klassen, R. M., Tze, V. M. C., Betts, S. M., & Gordon, K. A. (2011). Teacher efficacy research 1998-2009: Signs of progress or unfulfilled promis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3(1), 21-43. 

  31. Labone, E. (2004). Teacher efficacy: Maturing the construct through research in alternative paradigm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0, 341-359. 

  32. Muijs, R. D., & Rejnoalds, D. (2001). Teachers' beliefs and behaviors: What really matters. Journal of Classroom Interaction, 37, 3-15. 

  33. Rudasill, K. M., & Rimm-Kaufman, S. E. (2009).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The roles of child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4, 107-120. 

  34. Wheatley, K. F. (2005). The case for reconceptualizing teacher efficac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1, 747-76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