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성마비아동의 실제생활에서의 기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Function about Real Lif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8 no.11, 2013년, pp.1763 - 1770  

고유정 (군장대학교 작업치료과) ,  오명화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본 연구는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적 기능과 기능적인 능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아동의 사회적 능력, 의사소통 능력, 일상생활활동, 대근육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뇌성마비 진단을 받은 아동 43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한 결과 사회적 기능, 일상생활활동, 의사소통능력, 대동작활동과의 상관관계에서 네영역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특히 사회적 기능과 일상생활활동과 하부항목 간의 상관관계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사회적 능력의 하부항목들과 의사소통능력과의 상관관계가 높은 반면 대근육활동과의 상관관계에서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활영역에서 뇌성마비 아동들의 실제 생활에서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기능의 사회적인 측면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amongst the social function, communication func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gross motor function beyond existing research on physical function and functional capacity in cerebral palsy. 43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articipa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관련한 연구들은 재활영역에서 중재의 주요 목표로 신체적인 기능과 기능적인 능력의 증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활동과 다양한 사회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둔다[10]. 따라서 본 논문은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적 기능과 기능적인 능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아동의 사회적 능력, 의사소통 능력, 일상생활활동, 대근육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실제생활에서의 사회적 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실제생활의 중요한 영역인 사회적 영역, 의사소통 영역, 신체적인 영역, 일상생활활동 영역이 서로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뇌성마비아동 43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능력, 의사소통능력, 일상생활능력, 신체적 활동능력을 평가하여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논문은 뇌성마비아동의 신체적 기능과 기능적인 능력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아동의 사회적 능력, 의사소통 능력, 일상생활활동, 대근육활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실제생활에서의 사회적 능력과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성마비 및 발달지연아동들은 어떤 부분에서 발달 제한을 받는가? 이러한 문제들은 장애를 가진 아동의 일상생활활동과 다양한 영역에서의 참여의 제한을 초래한다[5-7]. 이러한 뇌성마비 및 발달지연아동들은 신체적 기능, 언어적 기능, 인지적 기능, 사회적 기능 등 여러 영역에서의 발달에 제한을 갖는다. 이러한 발달의 제한은 아동들이 실제 생활(Real Life)에 적응하는데 많은 제한을 초래한다.
재활영역에서 최근의 관심은 어디에 초점을 두는가? 이러한 정의는 실제생활에서의 참여가 건강과 장애를 규정하고 더 나아가 기능의 사회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12]. 따라서 재활영역에서 최근의 관심은 장애를 지닌 아동들의 실제 생활에서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치료사들은 아동 개개인에게 참여의 선택권을 주고 발달에 맞게 실제 생활을 목표로 중재해야 한다[8].
재활영역에서 최근의 관심이 장애 아동들의 실제 상황에 맞춰지는 이유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는 국제 기능·장애·건강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에서 참여에 대한 정의를 개인이 살고 있는 사회적·개인적·물리적 환경 속으로의 포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11]. 이러한 정의는 실제생활에서의 참여가 건강과 장애를 규정하고 더 나아가 기능의 사회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12]. 따라서 재활영역에서 최근의 관심은 장애를 지닌 아동들의 실제 생활에서의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Rosenbaum P., Paneth N., Leviton A., Goldstein M., Bax M., "A report :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Suppl pp. 8-14, 2007. 

  2. Himmelmann K., Beckung E., Hagberg G., Uvebrant P., "Gross motor and fine motor function and accompanying impairments in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Vol. 48, pp. 417-423, 2006. 

  3. Shevell MI., Dagenais L., Hall N., "Comorbidities in cerebral palsy and their relationship to neurologic subtype and GMFCS level", Neurology, No. 72, pp. 2090- 2096, 2009. 

  4. Rosenbaum P., "Cerebral palsy: What parents and doctors want to know", BMJ, Vol. 326, pp. 970-974, 2003. 

  5. Calley, A., Williams, S., Reid, S., Blair, E., Valentine, J., Girdler, S., Elliott C., "A comparison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spastic diplegia cerebral palsy",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34, No. 15, pp. 1306-1310, 2012. 

  6. Engel-Yeger, B., Jarus, T., Anaby, D., Law, M. "Differences in patterns of participation between youths with cerebral palsy and typically developing peers",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3, No. 1, pp. 96-104, 2009. 

  7. Fauconnier, J., Dickinson, H., Beckung E., Marcelli M., McManus, V., Michelsen, S., Parkes J., Parkinson N., Thyen U., Arnol C., Colver A., "Participation in life situations of 8-12 year 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ross sectional European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No. 338, pp. 14-58, 2009. 

  8. Vicki Mc Manus, Paul Corcoran, Ivan J Perry, "Participation in everyday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in pre-teenage children living with cerebral palsy in South West Ireland", BMC Pediatrics, No.8, pp. 50-63, 2008. 

  9. Engel-Yeger, B., Jarus, T., Anaby, D., & Law, M., "Differences in patterns of participation between youths with cerebral palsy and typically developing peer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Vol. 63, pp. 96-104, 2009. 

  10. Imms, C., Reilly, S., Carlin, J., & Dodd, K., "Diversity of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 50, pp. 363-369, 2008. 

  11. World Health Organizati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Geneva, Switzerland, 2001. 

  12. Wendy coster, Mary Alunkal Khetant, "Measuring particip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sues and challenges",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Vol. 30, No. 8, pp. 639-648, 2008. 

  13. Ji-young Kim, "The Correlation of Activity Limitation by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between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2011. 

  14. Eun-young Park, "The Phychometric Properties of frequency of Participation Questionnair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Vol. 55, No. 2, pp. 39-56, 2012. 

  15. Se-yun Kim, Min-ye Jung, Eun-young Yoo, Soo-h yun Park, Jae-shin Lee, Ji-yeon Lee, "Development of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 for School-Age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21, No. 2, pp. 13-23, 2013. 

  16. Haley, S. M., Coster, W. I., Ludlow, L. H., Haltiwanger, J. T., & Andrellos, P. J.,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Development, standardization, and administration manual", Version 1.0. Boston : New England Medical Center, 1992. 

  17. Byoung-lock Kim, So-yeon Park, Eun-young Yuu, Content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Vol. 9, No. 3, pp. 51- 61, 2011. 

  18. Hidecker, M. J. C., Paneth, N, Rosenbaum, P., Kent, R. D., Lillie, J., Johnson, B., & Chester, K., "Development of the Communicatio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CFCS) for individuals with cerebral palsy", DMCN, Vol. 51, pp. 48-52, 2009. 

  19. Hidecker MJ, Paneth N, Rosenbaum PL, Kent RD, Lillie J, Eulenberg JB, Chester K Jr, Johnson B, Michalsen L, Evatt M, Taylor K.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Communicatio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individuals with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Vol. 53, No. 8, pp. 704-710, 2011. 

  20.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Buffalo,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87. 

  21. Granger CV, Hamilton BB, Keith RA, Zieleny M., Sherwin FS., "Advances in functional assessment for medical rehabilitation", Top Geriatr Rehabil, Vol. 1, pp. 59-74, 1986. 

  22. Granger CV, Byron BH., "The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Report of first admissions for 1990", Am J Phys Med Rehabil, Vol. 71, pp. 109-113, 1992. 

  23. Granger CV, Byron BH., "The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Report of first admissions for 1991", Am J Phys Med Rehabil, Vol. 71, pp. 33-38, 1991. 

  24. Palisano, R., Rosenbaum, P., Walter, S., Russell, D., Wood, E., & Galuppi,B., "Development and reliablity of a system to classification gross motor func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Development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 39, pp. 214-223, 1997. 

  25. Palisano, R., Rosenbaum, P., Bartlett, D., Livingston, M., H., "Content validity f the expended and revised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Development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Vol. 50, No. 10, pp. 744-750, 2003. 

  26. Jeong-won Kim, Myung-hwa Oh, Hyun-ae Chung, "Disabled peopl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relationship",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pp. 173-180, 2013. 

  27. Hyun-sun An, Myung-hwa Oh, Jeong-ja Kim, "A study on the situations and satisfaction of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service for childre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 pp. 1189-1195, 2012. 

  28. Jeong-ja Kim, Bok-hee Chong, Myung-hwa Oh, "A study on parenting stress of disabled children's fathers in IT era", pp. 363-370. 2013. 

  29. Eun-Jin Seo, Hyon-Hui Beak, Jeong-Ja Kim, "The Effect of Direct Swallowing Treatment on the Swallowing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Stroke Patient", pp. 1413-1420, 2013. 

  30. Chia-ling Chen, Chung-yao Chen, I-hsuan Shen e, I-Shu Liu b, Lin-ju Kang b, Ching-yi Wue, "Clinimetric properties of the Assessment of Preschool Children's Particip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 34, pp. 1528- 1535, 2013. 

  31. Koa Whittingham, Michael Fahey, Barry Rawicki, Roslyn Boy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or abilities and early social development in a preschool cohor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Vol. 3, pp. 1346-1351, 2008. 

  32. Jeanine M Voorman, Annet J Dallmeijer, Carlo Schuengel, Dirk L Knol, Gustaaf J Lankhorst and Jules G Becher,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of 9- to 13-year-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linical Rehabilitation, Vol. 20, pp. 937-94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