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일본뇌염 백신의 면역원성 및 중화항체 지속률을 평가하여 일본뇌염 예방 사업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 6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2-6세의 어린이 중 기초접종력이 확인된 170명을 대상으로 기초접종 완료 경과 기간에 따른 중화항체가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170명 중 불활성화 백신 접종군 103명, 생백신 접종군 64명, 교차접종군 3명이었다. 항체검사까지의 기간은 불활성화 백신 17.5개월, 생백신 21.0개월이었고 모두 일본뇌염 방어가 가능한 항체가를 보여 불활성화 백신 322, 생백신 266이었다. 추가접종 후 항체역가 변화는 1-4개월에 가장 높았고 이후 서서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불활성화 백신과 생백신의 면역원성과 중화항체 지속률에는 차이가 없고 두 백신 모두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적절한 수준의 면역원성을 갖고 있었다. 향후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antibody response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ation in children using different kinds of vaccines (inactivated vaccine, live attenuated vaccine or interchanged)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vaccines to provide the basis of efficient immunization s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불활성화 백신 접종군, 생백신 접종군, 교차접종군에서 면역원성 및 중화항체 지속률을 전향적으로 조사하여 불활성화 백신의 접종 일정 변경에 따른 접종 횟수 감소가 일본 뇌염 항체 보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생백신의 도입 이후 생백신 접종군 및 기존 불활성화 백신 접종군과 교차접종이 이루어진 군의 중화항체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일본뇌염 예방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판단 및 접종 정책 수립을 위한 객관적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렇듯 예방접종은 국내외 일본뇌염 예방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여왔고, 앞으로도 효과적인 예방접종이 시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현재의 예방접종 일정 및 접종 백신의 종류에 따른 방어면역 수준과 유지기간에 대한 전향적인 국내 연구 자료를 생산하기 위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불활성화 백신과 생백신 모두 접종 후 충분한 중화항체를 보유한 것을 알 수 있었고 중화항체의 기하평균치는 불활성화 백신 접종군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본뇌염 바이러스은 어떻게 전파되는가? 일본뇌염은 뇌염모기(Culex tritaeniorhynchus)에 의하여 매개되는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플라비바이러스속(Flavivirus genus)의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 cephalitis virus, JEV)가 원인 병원체이며,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소아기 뇌염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 2).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자연계에서 주로 뇌염모기를 매개로 하여 돼지나 물새의 체내에서 증폭된 후 흡혈을 통하여 다른 모기에게 옮겨지거나 우연숙주인 사람이나 중대형 동물에게 전파된다3). 일본뇌염은 감염된 환자의 대부분에서 불현성 감염이지만 약 0.
일본뇌염 백신의 면역원성 및 중화항체 지속률을 평가한 결과는 어떠한가? 방법: 국내 6개 대학병원에 입원한 2-6세의 어린이 중 기초접종력이 확인된 170명을 대상으로 기초접종 완료 경과 기간에 따른 중화항체가를 조사하였다. 결과: 총 170명 중 불활성화 백신 접종군 103명, 생백신 접종군 64명, 교차접종군 3명이었다. 항체검사까지의 기간은 불활성화 백신 17.5개월, 생백신 21.0개월이었고 모두 일본뇌염 방어가 가능한 항체가를 보여 불활성화 백신 322, 생백신 266이었다. 추가접종 후 항체역가 변화는 1-4개월에 가장 높았고 이후 서서히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불활성화 백신과 생백신의 면역원성과 중화항체 지속률에는 차이가 없고 두 백신 모두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적절한 수준의 면역원성을 갖고 있었다.
일본뇌염이란 무엇인가? 일본뇌염은 뇌염모기(Culex tritaeniorhynchus)에 의하여 매개되는 인수공통 감염병으로 플라비바이러스속(Flavivirus genus)의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 cephalitis virus, JEV)가 원인 병원체이며,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하는 소아기 뇌염의 주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1, 2).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자연계에서 주로 뇌염모기를 매개로 하여 돼지나 물새의 체내에서 증폭된 후 흡혈을 통하여 다른 모기에게 옮겨지거나 우연숙주인 사람이나 중대형 동물에게 전파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ambers TJ, Hahn CS, Galler R, Rice CM. Flavivirus genome organization, expression, and replication. Annu Rev Microbiol 1990;44:649-88. 

  2. Erlanger TE, Weiss S, Keiser J, Utzinger J, Wiedenmayer K. Past, present, and future of Japanese encephalitis. Emerg Infect Dis 2009;15:1-7. 

  3. Endy TP, Nisalak A. Japanese encephalitis virus: ecology and epidemiology. Curr Top Microbiol Immunol 2002;267:11-48. 

  4. Halstead SB, Jacobson J, Dubischar-Kastner.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s. In: Plotkin SA, Orenstein WA, Offit PA, editors. Vaccines. 6th ed. Philadelphia: Elsevier Saunders Co, 2013:312-51. 

  5. Department of Health. Japanese encephalitis. In: Salisbury D, Ramsay M, Noakes K, editors. Immunisation against infectious disease. 3rd ed. London: TSO Co, 2013:201-8. 

  6. Hong YJ.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worldwide and korean status.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8;15:108-14. 

  7. Sohn YM. The background and changes of inactivat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schedule.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0;7:56-70. 

  8. Calisher CH, Monath TP. Togaviridae and Flaviviridae: the alphaviruses and Flaviviruses. In: Lennette EH, Halonen P, Murphy FA, editors. Laboratory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s. 2nd ed. New York: Springer-Verlag,1988:414-34. 

  9.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Japanese encephalitis in Korea since 2001.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08;1:289-92. 

  10.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ivity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 in the Republic of Korea 2012 [Internet]. Osong: Division of Arbovirus; c2013 [Cited 2013 Apr 25]. Available from: http://www.cdc. go.kr/CDC/cms/cmsFileDownload.jsp?fid31&cid20 762&fieldNameattach1&index1 

  11. Hsu TC, Chow LP, Wei HY, Chen CL, Hsu ST. A completed field trial for an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mouse-brain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In: Hammon WMcD, Kitaoka M, Downs WG, editors. Immunization for Japanese Encephalitis. Amsterdam: Excerpta Medica 1972:285-91. 

  12. Hoke CH, Nisalak A, Sangawhipa N, Jatanasen S, Laorakapongse T, Innis BL, et al. Protection against Japanese encephalitis by inactivated vaccines. N Eng J Med 1988;319:608-14. 

  13. Yang SE, Pan MJ, Tseng HF, Liau MY. The efficacy of mouse-brain inactivated Nakayama strain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results from 30 years experience in Taiwan. Vaccine 2006;24:2669-73. 

  14. Poland JD, Cropp CB, Craven RB, Monath TP. Evaluation of the potency and safety of inactivat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in US inhabitants. J Infect Dis 1990;161:878-82. 

  15. Sohn YM, Pyun BY, Lee HJ, Kang JH, Hong YJ, Oh SH, et al. Report of study result regarding effective level of antibody persistence rate after Japanese B encephalitis vaccination. Korean J Pediatr 1995;38:730-1. 

  16. Oya A.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cta Paediatr Jpn 1988;30:175-84. 

  17. Aihara H, Takasaki T, Matsutani T, Suzuki R, Kurane I. Establishment and characterization of Japanese encephalitis virus-specific, human CD4(+) T-cell clones: flavivirus cross-reactivity, protein recognition, and cytotoxic activity. J Virol 1998;72:8032-6. 

  18. Van der Vliet D, Simon de Fanti A, Murri S, Lapidus N, Goujon C, Zeller H, et al. Long-term seroprotection against Japanese encephalitis using an inactivated vaccine (Jevax). Med Trop (Mars) 2010;70:155-7. 

  19. Ku CC, King CC, Lin CY, Hsu HC, Chen LY, Yueh YY, et al. Homologous and heterologous neutralization antibody responses after immunization with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mong Taiwan children. J Med Virol 1994;44:122-31. 

  20. Hennessy S, Liu Z, Tsai TF, Strom BL, Wan CM, Liu HL, et al. Effectiveness of live-attenuat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SA 14-14-2): a case-control study. Lancet 1996;347:1583-6. 

  21. Sohn YM, Park MS, Rho HO, Chandler LJ, Shope RE, Tsai TF. Primary and booster immune responses to SA 14-14-2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in Korean infants. Vaccine 1999;17:2259-6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