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뇌염 백신의 이상반응 실태조사
Investigation on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Common Adverse Reactions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s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16 no.2, 2009년, pp.183 - 190  

김부영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김동현 (질병관리본부) ,  이훈재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  정수경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  이소산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  박숙경 (질병관리본부) ,  고은영 (질병관리본부) ,  홍영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일본뇌염 백신의 종류별 이상반응 발생실태를 조사하여 일본뇌염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향후 일본뇌염 국가예방접종사업의 효율화를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8월부터 2007년 2월까지 본 연구에 협력하기로 한 일개 대도시 지역의 보건소 4개소와 소아과 의원 9개소에서 실시되었다. 총 658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이상반응 평가가 완료되었다. 이들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예방접종 당일부터 4일후까지 발적, 동통, 발열, 두통 등 상대적으로 흔한이상반응의 발생빈도 등을 전향적으로 추적 관찰하였다. 결과: 대상 소아의 평균 연령은 사백신이 1.4세(1-8.5), 생백신이 1.7세(1-8.3)였다. 그 중 보건소에서 사백신을 접종받았던 어린이는 425명(64.6%)이었으며 소아과 의원에서 생백신을 접종받은 경우는 233명(35.4%)이었다. 사백신의 경우 전체 접종 어린이 중 3.3%인 14명이 한 가지 이상의 국소 이상 반응이 나타났으며, 생백신 접종 어린이들의 2.6%가 한 가지이상의 국소 이상반응을 호소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P =.607). 발열 등의 전신반응의 경우 사백신과 생백신 접종 어린이들의 각각 5.2%와 8.2%에서 나타났으나 역시 유의한 수준의 차이는 아니었다(P =.131). 사백신 접종 어린이들에서는 접종당일 발적이 4명(0.9%), 종창이 2명(0.7%), 동통이 7명(1.7%), 발열이 2명(0.5%) 나타났다. 반면 생백신 접종 어린이들의 경우 각각 4명(1.8%), 2명 (0.9%), 0명(0.0%), 6명(2.6%)에서 해당 증상을 호소하였다. 발열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생백신 접종 어린이들에서 빈번하였다(P=.026). 발적, 종창, 동통, 발열 중 한 가지 이상 나타난 어린이들의 백분율은 사백신과 생백신 접종자들의 각각 3.3%와 5.2%였으며, 이는 유의한 수준의 차이는 아니었다(P =.243). 접종 1, 2, 3, 4일 후 주요 국소 및 전신 이상반응 발생빈도는 사백신과 생백신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반응의 세부 항목 중에서는 설사 증상만이 생백신접종 어린이들에서 유의하게 많이 나타났다(P =.044).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일본뇌염백신의 이상반응 발생률이 이전의 보고보다 낮았고, 접종 당일 사백신 접종자들에 비해 생백신 접종자들에서 발열이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그 외 사백신과 생백신의 이상반응 발생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사백신의 경우 향후 더 많은 수의 인구 표본을 대상으로 안전성에 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며, 생백신의 경우 안전성에 대한 객관적 경험이 더 축적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중증이상반응의 발생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감시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o evaluate the number and severity of adverse reactions after Japanese Encephalitis (JE) vaccination in children using different vaccines (inactivated vaccine or live attenuated vaccine) and to determine the ability and safety of the vaccines to provide effective immunization for JE. M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일본뇌염 백신의 종류별 이상반응 발생실태를 전향적으로 조사하여 일본뇌염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향후 일본뇌염 국가예방접종사업의 효율화를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Takahashi H, Pool V, Tsai TF, Chen RT. Adverse events after Japanese encephalitis vaccination: review of post-marketing surveillance data from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e VAERS Working Group. Vaccine 2000;18:2963-9. 

  2. WHO position paper.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s. Wkly Epidemiol Rec. 2006;81:331-40. 

  3. Kitano T, Oya A.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In: Researcher's Associates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Vaccine handbook. Tokyo:Maruzen 1996:103-13. 

  4.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Recent trends in notifiable diseases occurrence based on the data of 2003. Communicable Diseases Monthly Report. 2004;15:135. 

  5.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Japanese encephalitis in Korea since 2001. Public Health Weekly Report 2008;1:289-92. 

  6. Halstead SB, Tsai T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s. In:Plotkin SA, Orenstein WA, editors. Vaccines. 4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2004:919-58. 

  7. Sohn YM. Vaccine adverse reaction and national vaccine injury compensation. J Korean Med Assoc 1997;40: 1635-47. 

  8. Liu ZL, Hennessy S, Strom BL, Tsai TF, Wan CM, Tang SC, et al. Short-term safety of live attenuated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SA14-14-2):results of a randomized trial with 26,239 subjects. J Infect Dis 1997;176: 1366-9. 

  9. Rottem M, Shoenfeld Y. Vaccination and allergy. Curr Opi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4;12:223-31. 

  10. Sakaguchi M, Nakashima K, Takahashi H, Nakayama T, Fujita H, Inouye S. Anaphylaxis to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Allergy 2001;56:804-5. 

  1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activated Japanese encephalitis virus vaccine.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MMWR 1993;42:1-15. 

  12. Hong YJ. The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worldwide and Korean status.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8;15: 108-14. 

  13. Sabin AB. Epidemic encephalitis in military personnel. Isolation of Japanese B virus on Okinawa in 1945, serologic diagnosis, clinical manifestations, epidemiologic aspects and use of mouse brain vaccine. JAMA 1947; 133:281-93. 

  14. WHO. Global Advisory Committee on vaccine safety, 9-10 June 2005. Wkly Epidemiol Rec 2005;80:242-3. 

  15. WHO. Global Advisory Committee on Vaccine Safety, 29-30 November 2006. Wkly Epidemiol Rec 2007;82: 17-24. 

  16. WHO. Japanese encephalitis. Wkly Epidemiol Rec 2006; 81:331-40. 

  17. WHO Expert committee on Biological Standardization. Guidelines for the production and control of Japanese encephalitis vaccine (live) for human use. WHO Tech Rep Ser 2002;910:1-104. 

  18. Global Advisory Committee on Vaccine Safety, 12-13 December 2007. Wkly Epidemiol Rec 2008;83:37-44. 

  19. Kohl KS, Gidudu J, Bonhoeffer J, Braun MM, Buettcher M, Chen RT, et al.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case definitions and guidelines for adverse events following immunization. Vaccine 2007;25:5671-4. 

  20. Beigel J, Kohl KS, Khuri-Bulos N, Bravo L, Nell P, Marcy SM, et al. Rash including mucosal involvement: case definition and guidelines for collection,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immunization safety data. Vaccine 2007;25:5697-706. 

  21. Kohl KS, Walop W, Gidudu J, Ball L, Halperin S, Hammer SJ, et al. Induration at or near injection site: case definition and guidelines for collection,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immunization safety data. Vaccine 2007; 25:5839-57. 

  22. Sejvar JJ, Kohl KS, Bilynsky R, Blumberg D, Cvetkovich T, Galama J, et al. Encephalitis, myelitis, and acute disseminated encephalomyelitis (ADEM): case definitions and guidelines for collection,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immunization safety data. Vaccine 2007;25:5771-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