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에 대한 임상 고찰
Clinical Manifestations of Hospitalized Children Due to Varicella-Zoster Virus Infection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20 no.3, 2013년, pp.161 - 167  

곽병옥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동현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환종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  최은화 (서울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의 임상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피부 병변의 수포액으로 시행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배양검사와 중합효소 연쇄반응검사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진된 40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진단 시 연령 및 성별, 수두 백신 시행유무, 임상증상 및 경과, 기저질환, 치료와 합병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 중 수두 환자는 16명, 대상포진 환자는 24명이었고, 연령 중앙값은 10.5세로 생후 16일부터 19세까지 분포하였다. 기저질환이 동반된 환자는 35명(87.5%)이었고, 24명의 대상포진 환자 중 과거에 수두를 앓았던 경우가 11례에서 있었고, 재발한 대상포진은 1례에서 있었다. 20명(50%)은 이전에 수두 백신의 접종력이 있었고, 이 중 19명은 면역저하환자였다. 대부분의 환자(95%)는 정맥용 또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로 치료받았고, 정맥용 항바이러스제 투여 후 치료 실패는 관찰되지 않았다. 면역저하환자에서 발열의 기간은 평균 4.4일(1-10일)로 정상 면역력을 가진 환자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항바이러스제의 투여기간은 평균 12일(7-23일)로 유의하게 길었다(P=0.014). 두 명(5.0%)의 환자에서 Streptococcus pyogenes와 Klebsiella oxytoca에 의한 이차 세균 감염이 확인되었으며, 1명(2.5%)에서 폐렴이, 11명(27.5%)에서 대상포진후 신경통이 합병되었다. 결론: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은 면역저하 소아에서 발생할 시에 장기간의 항바이러스제 치료가 필요하므로 이 같은 환자들을 적극적으로 치료하고, 면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scribe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hospitalized children due to varicella-zoster virus (VZV) infection Methods: This study included 40 children who were hospitalized for varicella or herpes zoster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2009-2012.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두 및 대상포진으로 입원한 소아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의 임상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수두 및 대상포진으로 입원한 환자들의 인구학적 특징과 임상 경과를 조사하였고, 면역저하 환자군과 정상 면역력을 가진 환자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면역저하 환자에서 발열의 기간이 더 길고, 합병된 감염증의 발생빈도가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두 및 대상포진으로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 평균 항바이러스제 투여기간은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면역저하 환자에서 발열의 기간이 더 길고, 합병된 감염증의 발생빈도가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평균 항바이러스제의 투여기간은 면역저하환자에서 면역력이 정상인 환자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었다.
수두는 무엇인가? 수두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zoster virus, VZV)의 일차감염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염력이 높은 질환으로 주로 소아기에 발병한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일차 감염 시 수두로 발현되지만, 신경절에 잠복하여 있다가 재활성화 되면 대상포진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수두나 대상포진의 발병이 치명적인 대상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일차 감염 시 수두로 발현되지만, 신경절에 잠복하여 있다가 재활성화 되면 대상포진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수두나 대상포진은 정상 소아에서는 대개 경과가 양호하지만, 혈액종양질환 환자, 고형장기이식 혹은 조혈모세포이식을 받은 환자, 또는 자가면역질환이나 선천성 면역결핍질환을 가진 환자들에서 발병할 경우에는 치명적일 수 있다1, 2) . 백신이 도입되기 이전에는 미국에서 매년 400만 명의 수두 환자가 발생하였고, 11,000명의 입원 환자 및 1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다3)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Davison AJ, Scott JE. The complete DNA sequence of varicella-zoster virus. J Gen Virol 1986;67(Pt 9):1759-816. 

  2. Schmidt-Chanasit J, Sauerbrei A. Evolution and worldwide distribution of varicella-zoster virus clades. Infect Genet Evol 2011;11:1-10. 

  3. Seward JF, Watson BM, Peterson CL, Mascola L, Pelosi JW, Zhang JX, et al. Varicella disease after introduction of varicella vaccine in the United States, 1995-2000. JAMA 2002;287:606-11. 

  4. Takahashi M, Otsuka T, Okuno Y, Asano Y, Yazaki T. Live vaccine used to prevent the spread of varicella in children in hospital. Lancet 1974;2:1288-90. 

  5. Nguyen HQ, Jumaan AO, Seward JF. Decline in mortality due to varicella after implementation of varicella vaccination in the United States. N Engl J Med 2005;352:450-8. 

  6. Oh SH. Update in varicella vaccination. Korean J Pediatr 2006;49:229-34. 

  7. Choi EH. Varicella vaccination: worldwide status and provisional updated recommendation in Korea.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8:15;11-8. 

  8. Park SJ, Song HJ, Kim CW, Lee KS. A clinical study of 72 cases of herpes zoster in children and adolescents. Korean J Dermatol 2006;44:664-8. 

  9. Seo PS, Yoon NH, Park SD. A clinical study of chicken pox in adolescents and adults. Korean J Dermatol 2005;43:933-8. 

  10. Lee GH, Lee SH, Lee SY, Lee JS, Whang KU. A clinical study of chickenpox in adult inpatients. Korean J Dermatol 2010;48:272-7. 

  11. Park CK, Kim HO, Park CW, Lee CH. The effect of active immunization on the clinical courses of varicella. Korean J Dermatol 2008;46:1011-9. 

  12. Loparev VN, Rubtcova E, Seward JF, Levin MJ, Schmid DS. DNA sequence variability in isolates recovered from patients with postvaccination rash or herpes zoster caused by Oka varicella vaccine. J Infect Dis 2007;195:502-10. 

  13. Loparev VN, Gonzalez A, Deleon-Carnes M, Tipples G, Fickenscher H, Torfason EG, et al. Global identification of three major genotypes of varicella-zoster virus: longitudinal clustering and strategies for genotyping. J Virol 2004;78:8349-58. 

  14. Carapetis JR, Russell DM, Curtis N. The burden and cost of hospitalised varicella and zoster in Australian children. Vaccine 2004;23:755-61. 

  15. Marshall HS, McIntyre P, Richmond P, Buttery JP, Royle JA, Gold MS, et al. Changes in patterns of hospitalized children with varicella and of associated varicella genotypes following introduction of varicella vaccine in Australia. Pediatr Infect Dis J 2013;32:530-7. 

  16. van Lier A, van der Maas NA, Rodenburg GD, Sanders EA, de Melker HE. Hospitalization due to varicella in the Netherlands. BMC Infect Dis 2011;11:85. 

  17. Kim SH, Lee HJ, Park SE, Oh SH, Lee SY, Choi EH. Seroprevalence rate after one dose of varicella vaccine in infants. J Infect 2010;61:66-72. 

  18. Thomas SL, Hall AJ. What does epidemiology tell us about risk factors for herpes zoster? Lancet Infect Dis 2004;4:26-33. 

  19. Nagasawa K, Yamauchi Y, Tada Y, Kusaba T, Niho Y, Yoshikawa H. High incidence of herpes zoster in patients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n immunological analysis. Ann Rheum Dis 1990;49:630-3. 

  20. Morens DM, Bregman DJ, West CM, Greene MH, Mazur MH, Dolin R, et al. An outbreak of varicella-zoster virus infection among cancer patients. Ann Intern Med 1980;93:414-9. 

  21. Adler AL, Casper C, Boeckh M, Heath J, Zerr DM. An outbreak of varicella with likely breakthrough disease in a population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8;29:866-70. 

  22. Folatre I, Zolezzi P, Schmidt D, Marin F, Tager M. Infections caused by varicella zoster virus in children with cancer aged less than 15 years old. Rev Med Chil 2003;131:759-64. 

  23. Arvin AM. Antiviral therapy for varicella and herpes zoster. Semin Pediatr Infect Dis 2002;13:12-21. 

  24. Prober CG, Kirk LE, Keeney RE. Acyclovir therapy of chickenpox in immunosuppressed children--a collaborative study. J Pediatr 1982;101:622-5. 

  25. Nyerges G, Meszner Z, Gyarmati E, Kerpel-Fronius S. Acyclovir prevents dissemination of varicella in immunocompromised children. J Infect Dis 1988;157:309-13. 

  26. Novelli VM, Marshall WC, Yeo J, McKendrick GD. Acyclovir administered perorally in immunocompromised children with varicella-zoster infections. J Infect Dis 1984;149:478. 

  27. Meszner Z, Nyerges G, Bell AR. Oral acyclovir to prevent dissemination of varicella in immunocompromised children. J Infect 1993;26:9-15. 

  28. Jain Y, Lodha R, Tomar S, Arya LS, Kabra SK. Oral acyclovir in varicella zoster virus infections in children with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Indian Pediatr 2000;37:1239-41. 

  29. Carcao MD, Lau RC, Gupta A, Huerter H, Koren G, King SM. Sequential use of intravenous and oral acyclovir in the therapy of varicella in immunocompromised children. Pediatr Infect Dis J 1998;17:626-31. 

  30. Bomgaars L, Thompson P, Berg S, Serabe B, Aleksic A, Blaney S. Valacyclovir and acyclovir pharmacokinetics in immunocompromised children. Pediatr Blood Cancer 2008;51:504-8. 

  31. Eksborg S, Pal N, Kalin M, Palm C, Soderhall S. Pharmacokinetics of acyclovir in immunocompromized children with leukopenia and mucositis after chemotherapy: can intravenous acyclovir be substituted by oral valacyclovir?Med Pediatr Oncol 2002;38:240-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