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아의 근골격계 감염에서 지역사회 관련 메치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의 증가: 2000년 9월-2012년 8월간의 단일기관 연구
Increasing Rates of Community 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Children with Muscular-Skeletal Infections in Korea: A Single Center Experience from 2000 to 2012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20 no.2, 2013년, pp.63 - 70  

박재홍 (CHA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소아과학교실) ,  이택진 (CHA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소아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본 연구에서는 CA-MRSA로 인한 소아의 세균성 근골격계 감염의 임상양상을 연구하기로 하였다. 방 법 : 2000년 9월부터 2012년 8월까지 12년간 분당 차병원에 입원한 18세 이하의 환아 중 혈액과 관절액, 조직이나 고름의 세균 배양검사에서 S. aureus가 동정된 환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수는 총 31례였으며 중간값은 7세(최소 17일, 최대 18세)이다. 화농성 관절염으로 진단된 경우는 11례(35.5%), 골수염은 16례(51.6%), 화농성 관절염과 골수염이 병발된 경우는 5례(16.1%)였다. 환아의 혈액이나 관절액, 조직이나 고름 등에서 동정된 S. aureus 31례 중 MSSA는 25례(80.6%), MRSA는 6례(19.4%)였다. 검출된 균주 중 다제내성균은 관찰되지 않았다. MRSA가 배양되었던 6례는 모두 2006년 이후 발생하였다. 모든 증례에서 항생제가 투여되었으며 항생제 투여 기간은 $26.4{\pm}12.7$일이었고, 첫 항생제로 반코마이신을 동반 사용한 경우는 4례(12.9%)였으며 10례(32.3%)에서 최종 항생제로 반코마이신이 투여되었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최근 12년간 세균성 근골격계 감염에서 MRSA의 발생은 연구기간 후반에 편중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prevalent the community-rel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MRSA) was in children with muscular-skeletal infection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of 18 years or under who were diagnosed with supp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미국에서의 유병률과는 달리 국내에서는 아직 CA-MRSA 감염으로 인한 감염과 심각한 합병증 및 사망률을 보이지는 않으나31) 성인보다는 소아에게서 CA-MRSA의 감염률이 높으며17) 이로 인한 근골격계의 세균감염의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거나 부적절한 경우에는 빠르게 성장하는 소아기의 골격과 관절을 손상시켜 만성적인 후유증을 초래할 수 있는 중요한 질환이므로18)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나 국내의 소아에서 발생하는 세균성 근골격계 감염에 대한 논문은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2년간 발생한 CA-MRSA로 인한 소아의 세균성 근골격계 감염의 임상양상을 연구하기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RSA란 무엇인가? aureus (MRSA)에 의해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9). MRSA는 oxacillin의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가 4 μg/mL 이상인 S. aureus를 의미하며10, 11) 국내 MRSA의 비율은 1980년대부터 점차 증가하여 현재 대부분의 국내 3차 의료 기관에서 분리되는 S. aureus 균주 중 MRSA의 비율이 70% 이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 13).
골수염 및 화농성 관절염의 원인균은 무엇인가? 가장 흔한 원인균주는 페니실린 감수성을 보이는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이다4). 그 외의 원인균으로 신생아기에는 Group B streptococcus5), 영아기 및 이후로는 Streptococcus pneumoniae, Streptococcus pyogenes 등과 그람 음성균인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및 Pseudomonas aeruginosa 등을 들 수 있다6).
골수염 및 화농성 관절염은 어떤 경우 발생되는가? 골수염(Osteomyelitis) 및 화농성 관절염(Suppurative arthritis)은 성인보다는 소아에서 더 많은 질환으로1, 2), 혈행성 전파나 균주에 직접 접촉한 경우 또는 인근 장기에서 전파되어 화농성 세균이 뼈와 관절강 내에 침입할 경우에 발생한다3). 또한 골 및 관절의 감염은 뼈의 해부학적 특징으로 인해 다른 곳에 발생한 감염에 비해 항생제에 대한 반응이 낮고, 수술적 치료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rogstad P. Osteomyelitis and septic arthritis. Textbook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5th ed. W.B Saunders, Philadelphia, 2004;713-36. 

  2. Gillespie WJ. Epidemiology in bone and joint infection. Infect Dis Clin North Am 1990;4:361-76. 

  3. Park JS, Yeom JS, Hwang SC, Park ES, Seo JH, Lim JY, et al. Clinical study of acute pyogenic osteomyelitis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2005;48:731-6. 

  4. Dormans JP, Drummond DS. Pediatric hematogenous osteomyelitis: New trends in presentation, diagnosis, and treatment. J Am Acad Orthop Surg 1994;2:333-41. 

  5. Manzotti A, Rovetta L, Pullen C, Catagni MA. Treatment of the late sequelae of septic arthritis of the hip. Clin Orthop Relat Res 2003;410:203-12. 

  6. Shirtliff ME, Mader JT. Acute septic arthritis. Clin Microbiol Rev 2002;15:527-44. 

  7. Scott RJ, Christofersen MR, Robertson WW Jr, Davidson RS, Rankin L, Drummond DS. Acute osteomyelitis in children : a review of 116 cases. J Pediatr Orthop 1990;10:649-52. 

  8. Goergens ED, McEvoy A, Watson M, Barrett IR. Acute osteomyelitis and septic arthritis in children. J Paediatr Child Health 2005;41:59-62. 

  9. Choi EH. Clinical manifestation and treatment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9;16:1-5. 

  10.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 Nineteenth informational supplement. CLSI document M100-S19; Philadelphia, CLSI 2009. 

  11. Yi J, Kim EC.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Clin Microbiol 2010;13:1-6. 

  12. Chong Y, Lee K. Present situ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in Korea. J Infect Chemother 2000;6:189-95. 

  13. Kim HB, Jang HC, Nam HJ, Lee YS, Kim BS, Park WB, et al. In vitro activities of 28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tertiary-care hospitals in Korea: a nationwide survey.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04;48:1124-7. 

  14. Otter JA, French GL. Molecular epidemiology of community- associate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Europe. Lancet Infect Dis 2010;10:227-39. 

  15. Bukharie HA. Increasing threat of community- 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m J Med Sci 2010;340:378-81. 

  16. Adam HJ, Allen VG, Currie A, McGeer AJ, Simor AE, Richardson SE, et al.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prevalence in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at emergency departments in the Greater Toronto Area and associated risk factors. CJEM 2009;11:439-46. 

  17. Diederen BM, Kluytmans JA. The emergence of infections with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Infect 2006;52:157-68. 

  18. Kwak YH, Park SE, Hong JY, Jung HS, Park JY, Choi JH, et al. Etiologic agents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pyogenic osteoarthritis in children. J Korean Pediatr Soc 2000;43:506-13. 

  19. Como-Sabetti K, Jernigan JA, Harriman K, Harrison LH, Lynfield R, Farley MM.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disease in three communities. N Engl J Med 2005:352:1436-44. 

  20. Klevens RM, Morrison MA, Nadle J, Petit S, Gershman K, Ray S, et al. Invasiv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the United States. JAMA 2007;298:1763-71. 

  21. Gutman L. Osteomyelitis and suppurative arthritis In : Katz SL, Gershon AA, Hotez PJ. editors. Infectious diseases of children. 10th ed. St Luis : Mosby, 1998;290-301. 

  22. Song JS, Choe PG, Song KH, Cho JH, Kim SH, Bang JH, et al. Multicenter study for frequency and clinical features of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Korea. Infect Chemother 2006;38:325-33. 

  23. Prez-Roth E, Claverie-Martin F, Villar J, Mndezlvarez S. Multiplex PCR for simultaneous identific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detection of methicillin and mupirocin resistance. J Clin Microbiol 2001;39:4037-41. 

  24. Bae IG, Kim JS, Kim S, Heo ST, Chang C, Lee EY. Genetic correlation of community-associated n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from carriers and from patients with clinical infection in one region of Korea. J Korean Med Sci 2010;25:197-202. 

  25. Diederen BM, Kluytmans JA. The emergence of infections with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Infect 2006;52:157-68. 

  26. Lee SO, Kim ES, Kim HY, Park ES, Jin HY, Ki HK et al.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tensive care unit module report: data summary from July 2007 through June 2008.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08;13:69-82. 

  27. Jeong HY, Jang SJ, Lee SD, Park SH, Chang JY, Min CS, et al. Antibiotic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community in Korea. [SL-09] In : Program and abstract of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ntimicrobial Agent and Resistance (Seoul). Republic of Korea : Asian-Pacific Research Foundation for Infectious Diseases, 2003. 

  28. Naimi TS, LeDell KH, Como-Sabetti K, Borchardt SM, Boxrud DJ, Etienne J, et al. Comparison of community and health care-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JAMA 2003;290:2976-84. 

  29. Salgado CD, Farr BM, Calfee DP. Community 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a metaanalysis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Clin Infect Dis 2003:36:131-9. 

  30. Boucher H, Miller LG, Razonable RR. Serious infections caused b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lin Infect Dis 2010;51:183-97. 

  31. Choe YJ, Lee SY, Sung JY, Yang MA, Lee JH, Oh CE, et al. A review of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children with an emphasis on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infections.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9;16:150-61. 

  32.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2002.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twelfth informational supplement (M100-S12), Wayne, P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