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연안선 부근에 밀집된 육상양식장 배출구 주변 4개 해역(애월리, 행원리, 표선리, 일과리)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격월로 총 12회 조사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조사해역에서 연중 영양염의 분포는 염분과의 관련성 없이 배출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에 의해 영양염의 농도가 조절되어, 연안에서 외해역으로 갈수록 농도구배가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특히 용존무기질소의 경우는 배출구와 인접한 해역에서는 부영양상태로 인에 비해 질소가 과잉되고 있었다. 유기물의 분포는 담수유입량이 증가하는 고수온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변화는 애월 및 행원해역은 담수유입과 관련된 기상요인(기온 및 강우), 표선 및 일과는 영양염의 인위적 공급요인(양식장 배출수)에 의한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출구로부터 직선거리 약 300 m 및 수심 10 m이내 해역의 표 저층에서는 고영양염 농도 분포가 지속되고 있어, 부영양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직 간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육상양식장의 운영 시 취수지점이 배출수의 영향을 받는 지점에 위치할 경우 사육수질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mporal-spatial distribution and variations in water quality parameters (temperature, salinity, pH, DO, COD, SPM, DIN, DIP, silicate, TN, TP, and chlorophyll-a) in the coastal area of Jeju, Korea, adjacent to aquaculture ponds (Aewol-ri, Haengwon-ri, Pyosun-ri, and Ilk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내 육상양식장이 밀집한 애월리, 행원리, 표선리, 일과리 지역의 배출구로부터 800 m 이내에 순차적으로 멀어지는 인접해역의 수질인자 시공간적 변화 특성 및 조절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상양식장의 배출수가 야기하는 문제는? 제주 지역은 반폐쇄적 내만과 달리 사면이 바다와 접하는 섬 지형이므로 내만 지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육상기인 오염물질의 연안 체류시간이 짧고 수질상태가 양호하다는 자연환경적 장점으로 인해 육상양식업은 최근까지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해 왔다. 육상양식장의 성장은 지역 내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반면 육상양식장의 배출수는 제주주변 연안의 수질오염 및 해양생태계 문제를 야기하고 마을어장을 운영하는 공동체와 육양양식장 운영자간에 마찰을 빚기도 한다. 최근 제주연안의 마을어장은 주변 환경 변화에 의해 갯녹음 확산, 해조류 군락 감소, 패류 생산량의 감소 등 어장의 생산력이 크게 감소되고 있다(JDI, 2008).
제주 지역의 자연환경적 장점은? 제주 지역은 반폐쇄적 내만과 달리 사면이 바다와 접하는 섬 지형이므로 내만 지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육상기인 오염물질의 연안 체류시간이 짧고 수질상태가 양호하다는 자연환경적 장점으로 인해 육상양식업은 최근까지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해 왔다. 육상양식장의 성장은 지역 내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반면 육상양식장의 배출수는 제주주변 연안의 수질오염 및 해양생태계 문제를 야기하고 마을어장을 운영하는 공동체와 육양양식장 운영자간에 마찰을 빚기도 한다.
제주 육상양식장 배출구 주변 4개 해역의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에서 주성분 분석 결과 나타난 특징은 무엇인가? 제주연안선 부근에 밀집된 육상양식장 배출구 주변 4개 해역(애월리, 행원리, 표선리, 일과리)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격월로 총 12회 조사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조사해역에서 연중 영양염의 분포는 염분과의 관련성 없이 배출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에 의해 영양염의 농도가 조절되어, 연안에서 외해역으로 갈수록 농도구배가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특히 용존무기질소의 경우는 배출구와 인접한 해역에서는 부영양상태로 인에 비해 질소가 과잉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ure, J. and A. Stigebrandt(1990), Quantitative estimates of the eutrophication effects of fish farming on fjords, Aquaculture, Vol. 90, pp. 135-156. 

  2. Baek, S. G. and M. E. Park(2005), Exploration and Verific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on Jeju Island by Remotely Sensed Based Water Quality Analysis, Econ. Environ. Geol., Vol. 38, No. 4, pp. 395-409. 

  3. Cho, K. D., C. I. Lee, D. S. Kim and Y. J. Yang(2002), Oceanographic environment characteristics in waters adjacent to fish farm on land,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1, No. 4, pp. 297-308. 

  4. Chester, R.(1990), Marine Geochemistry, Unwin Hyman, London, p. 689. 

  5. Herbeck, S. H., D. Unger, W. Ying and T. C. Jennerjahn(2013), Effluent, nutrient and organic matter export from shrimp and fish ponds causing eutrophication in coastal and back-reef waters of NE Hainan, tropical China, Continental Shelf Research, Vol. 57, pp. 92-104. 

  6. JDI(2008), Jeju Development Institute, Study on the Solving Conflicts between Fishing Village Community and Residents in using Community Fishing Ground, Synthesis Report, pp. 1-135. 

  7. Jeju National University(2002), Management of Inland Seawater aquaculture effluent water and optimum treatment method, Synthesis Report, pp. 1-237. 

  8. Jeju National University(2009), Investigation of trophic environment at Jeju coast areas, Synthesis Report, pp. 1-48. 

  9. Kim, G. B., D. W. Hwang, J. W. Ryu and Y. W. Lee(2005),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onsequence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the Coastal Areas of the Korea Peninsula, J.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ol. 10, No. 4, pp. 204-212. 

  10. Kim, M. C., T. W. Jang, Y. J. Han, J. S. Kim, R. Harikrishnan, D. C. Oh, K. Y. Kim and M. S. Heo(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quacultural Discharging Water in Jeju Island, Journal of Life Science, Vol. 19, No. 7, pp. 943-948. 

  11. Kim, S. S., D. K. Kim, P. W. Son, C. H. Lee, and D. S. Ha(2003),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of the Coastal Saline Groudwaters in Jeju Island, J. of Aquaculture., Vol. 16, No. 1, pp. 15-23. 

  12. KMA(201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pp. 144-153. 

  13. KMA(20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pp. 149-158. 

  14.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Web(2013), http://kosis.kr. 

  15. Lim, D. I., K. C. Rho, P. G. Jang, S. M. Kang, H. S. Jung, R. H. Jungand and W. C. Lee(2007), Temporal-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G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and Their Controlling Factor.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9, No. 2, pp. 135-153. 

  16. MEIS(2013), Marin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Web, http://www.meis.go.kr/ 

  17.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2005), Standard methods of marine environment in Korea. 

  18. Murakami, K., Y. Hosokawa and S. Talano(1998), Monitoring on bottom sediment quality improvement by sand capping in Mikawa bay, Bull. Coastal Oceanogr., Vol. 36, pp. 83-89. 

  19. NFRDI(2011),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Estimation of Fishing Ground Environmental in the Jeju Coastal, Synthesis Report, pp. 1-51. 

  20. Pitta, P., E. T. Apostolaki, M. Giannoulaki and I. Karakassis (2005), Mesoscale changes in the water column in response to fish farming zones in three coastal area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Sea,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65, pp. 501-512. 

  21. Raczynska, M., S. Machula, A. Choinski and L. Sobkowiak(2012), Influence of the fish pond aquaculture effluent discharge on abiotic environmental factors of selected rivers in Northwest Poland, Acta Ecologica Sinica, Vo. 32, pp. 160-164. 

  22. Redfield, A. C., B. H. Ketchum and F. A. Richards(1963), The influence of organisms on the composition of seawater, The sea, Wiley Interscience, New York, Vol. 2, pp. 26-77. 

  23. Takeuchi, T(1999), Possibility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works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water areas, Bull. Coastal Oceanogr., Vol. 36, pp. 508-513. 

  24. Wasmund, N., A. Andrushaitis, E. Lysiak-Pastuszak, B. Muller-Karulis, G. Nausch, T. Neumann, H. Ojaveer, I. Olenina, L. Postel and Z. witek(2001), Trophic status of the South-Eastern Baltic Sea: A comparison of coastal and open areas, Est. Coast. Shelf Sci., Vol. 53, pp. 849-8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