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국 및 칠레산 수입 레드 와인(Cabernet Sauvignon)의 항산화능
The antioxidant capacities of imported red wines (Cabernet Sauvignon) from US and Chil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5, 2013년, pp.608 - 613  

이혜련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황인욱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하형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  정신교 (경북대학교 식품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에서 주로 수입되고 있는 Cabernet Sauvignon 레드와인(미국산 5종, 칠레산 10종)의 이화학적인 품질 특성과 항산화활성폴리페놀 화합물의 조성을 조사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은 7.03~8.6 $^{\circ}Brix$, 환원당은 2.7~6.7 g/L, 산도는 0.7~0.8% 범위이었으며, 미국산과 칠레산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이산화황 함량은 미국산이 33 mg/L, 칠레산이 45 mg/L로 칠레산이 높았다(p<0.05). DPPH 방법ORAC 방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과 총페놀 함량은 미국산보다 칠레산이 조금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산 가수분해 방법으로 레드 와인 중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HPLC로 분석한 결과 gallic acid, catechin, syringic acid, p-coumaric acid, quercetin, kaempferol의 6종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catechin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폴리페놀화합물의 총 함량은 칠레산이 미국산에 비하여 높았다(p<0.05). 미국산과 칠레산 Cabernet Sauvignon 와인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능은 이산화황 함량과 폴리페놀화합물의 함량이외에는 유의차가 없었다(p<0.05).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15 red wines (Cabernet Sauvignon) from the US (5) and Chile (10) wer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soluble solid, reducing sugar, titratable acidity, and $SO_2$ were measured. Antioxidant capacities were examined by DPP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FTA 시대에 대비하여 국내 레드 와인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차별화와 고품질화 방안의 일환으로 미국과 칠레산 Cabernet Sauvignon 품종 레드 와인의 이화학적인 품질 특성과 항산화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적으로 와인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이유는? 국민 소득이 증가하고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위스키, 코냑, 소주 등의 소비가 점차 감소하면서 저도주인 와인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프랑스인들이 미국인에 비해 심혈관 질환의 발병률이 낮다는 French paradox가 전파되면서 세계적으로 와인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1). 우리나라는 1990년도부터 와인 수입이 전면 개방되어 프랑스, 이태리산이 주로 수입되어 시장 규모가 점차 확대되다가, IMF 이후 침체기를 거쳐서 최근 다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2).
Cabernet Sauvignon 레드와인(미국산 5종, 칠레산 10종)의 이화학적인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이산화황 함량은 어떤 차이점을 보이는가? 05). 이산화황 함량은 미국산이 33 mg/L, 칠레산이 45 mg/L로 칠레산이 높았다(p<0.05).
폴리페놀 물질은 무엇인가? 레드 와인의 주된 phytochemicals로서 proanthocyanidin, resveratrol, flavonol 등의 폴리페놀 물질이 밝혀진 바 있다(3). 이러한 폴리페놀 물질은 과일과 채소 등에 함유되어 있는 천연항산화물질로서, 성인병과 암 및 노화의 원인이 되는 유리 라디칼을 생체 내에서 소거 및 포촉함으로서 각종 대사성 질환에 대하여 예방적 건강기능성을 가진다(4). 국내에서도 Campbell Early, MBA(Muscat Bailey A)와 같은 적포도 품종으로 제조한 레드 와인의 품질 특성에 관하여 보고된 바 있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Renaud S, De Lorgeril M (1992) Wine alcohol, platelets and the French paradox for coronary heart disease. Lancet, 339, 1523-1526 

  2. The trade statistical data (2007) Korea Agricultural Trade Information, Korea Agro-Fisheries Trade Corporation, http://www.kati.net/ 

  3. Frankel EN, Kanner J, German JB (1993) Inhibition of oxidation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by phenolic substances in red wine. Lancet, 41, 454-457 

  4. Paganga G, Miller N, Rice-Evans CA (1999) The polyphenolic content of fruit and vegetable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hat does a serving constitute?. Free Radical Res, 30, 153-162 

  5. Yook C, Seo MH, Lee JW, Kim YH, Lee KY (2008) Quality properties of wines fermented with domestic new different gra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33-642 

  6. Hwang SW, Park HD (2009) Characteristics of red wine fermentation of freeze-concentrated Campbell Early grape juice using various wine yeasts. Korean J Food Preserv, 16, 977-984 

  7. Chapman MD, Matthews MA, Gguinard JX (2004) Sensory attributes of Cabernet Sauvignon wines made from vines different crop yields. Am J Enol Vitic, 55, 325-334 

  8.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9.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l. (17th ed), Vol. II,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Gathersburg, Maryland, USA 

  10. Ough CS, Amerine MA (1988) Methods of analyses of musts and wines, 2nd Ed, Wiley Publishing Co, NY, USA. 198-235 

  1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2.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ic Food Chem, 49, 4619-4626 

  13.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 37-44 

  14. Hertog MGL, Hollman PCH, Venema DP (1992) Optimization of quantitative HPLC determination of potentially anticarcinogenic flavonoids in fruit and vegetables. J Agric Food Chem, 40, 1591-1598 

  15. Kim HA, Cho MH, Lee KH (2009) Studie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ine and imported wi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593-602 

  16. Kim EK, Kim I, Ko JY, Yim SB, Jeong Y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ccessability of commercial low-priced french wi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66-16671 

  17. Chang EH, Jeong ST, Park KS, Yun HK, Roh JH, Jang HI, Choi JY (2008)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red wines. Korean J Food Preserv, 15, 203-208 

  18. Villano D, Fernandez-Pachon MS, Rroncoso AM, Garcla-parrilla MC (2006) Influence of enological practices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wines. Food Chem, 95, 394-404 

  19. Alexey K, Rudolf S, Hana B, Milada K, Stanislav S (2009) The Key role of grape variety for antioxidant capacity of red wines. Clinical Nutr Metab, 4, 41-46 

  20. Kim TH, Yi DH, Kim HJ (2009) Effect of resveratrol on wine sensory evaluation preference analy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740-1745 

  21. Li H, Wang X, Li Y, Li P. Wang H (2009).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selected China wines. Food Chem, 112, 454-460 

  22. Burin VM, Falcao LD, Caves ES, Gris EF, Preti LF, Bordignon-Luiz MT (2010), Phenolic composition, colour, antioxidant activity and mineral profile of Cabernet Sauvignon wines. Food Sci Tech 45, 1505-1512 

  23. Chang SW, Song JH, Shin JS, Lee KY, Rho YT (2009) Determination of major phenolic compounds of grape juice and wine of different geographic origins. Korean J Food Preserv, 16, 747-753 

  24. Burns J, Gardner PT, Oneil J, Crawford S, Morecroft I, McPhail DB (2000) Relationship among antioxidant activity, vasodilation capacity, and phenolic content of red wines. J Agric Food Chem, 48, 220-230 

  25. Vivian MB, Stefany GA, Lea LFC, Marilde TBL (2011) Determination of some phenolic compounds in red wine by RP-HPLC: method development and validation. J Chromatogr Sci, 49, 647-6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