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주 부산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Effect of Wine By-product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6 no.8 = no.196, 2016년, pp.948 - 954  

백재열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  임선영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도주 가공 중에 발생하는 포도주 부산물의 항산화 활성 검토를 위해 포도주 부산물을 유기용매로 추출 및 분획하여 총 플라보노이드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포도주 부산물의 항산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포도주 부산물의 분획 및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의 양을 측정한 결과 MeOH 추출물은 A+M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분획물들 중에서는 85% aq. MeOH 분획물이 105.1±0.93 mg/g으로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은 MeOH 추출물과 n-BuOH 분획물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를 통한 라디칼 소거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0.5 mg/ml 첨가농도에서 MeOH 추출물은 74%의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분획물들 중에서는 n-BuOH 분획물이 72%의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를 통한 라디칼 소거활성능을 측정한 결과, 0.5 mg/ml 첨가농도에서 85% aq. MeOH 및 n-BuOH 분획물들은 각각 90% 및 92% 소거활성을 나타내어 동일한 BHT 농도에서 92%인 것과 비교해 보았을 경우 합성항산화제만큼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세포내 활성 산소종 소거 효과를 나타내는 ROS 실험을 통해 0.1 mg/ml 첨가농도에서 MeOH 추출물과 n-BuOH 분획물은 각각 64%와 60%의 소거 활성을 나타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포도 및 포도씨와 비교했을 때 포도주 부산물의 경우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유량은 다소 낮았지만 항산화 효과도 지속되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향후 포도주 부산물의 응용이 기대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flavonoid and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effect of wine by-product extract. Antioxidant effects were measured with 1,1-diphenyl-2-picry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radical cation (ABTS+) assays. Cellular reactiv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포도주 가공 중에 발생하는 포도 주 부산물의 항산화활성 검토를 위해 포도주 부산물을 유기 용매로 추출 및 분획하여 총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포도주 부산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rannen, A. 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 toluene and butylated hydroxy anisole. J. Am. Oilchem. Soc. 52, 59-63. 

  2. Brito, P., Almeida, L. M. and Dinis, T. C. 2002. The interaction of resveratrol with ferrymyoglobin and peroxynitrite; protection against LDL oxidation. Free Radic. Res. 36, 621-631. 

  3. Chae, S. K., Kang, G. S., Ma, S. J., Bang, K. W., Oh, M. M. and Oh, S. H. 2002. Standard food analysis. Jigu Publishing: Paju, Korea. 381-382. 

  4. Chan, K. M., Decker, E. A. and Means, W. J. 1993. Extraction and activity of carnosine, a naturally occurring antioxidant in brrf muscle. J. Food Sci. 58, 1-4. 

  5. Chen, H. H., Muranmoto, K., Yamauchi, F., Fujimoto, K. and Nokihara, K. 1995. Antioxidative properties of histidine-containing peptides designed from peptide fragment found in the digests of a soybean protein. J. Agri. Food Chem. 46, 49-53. 

  6. Choi, S. K., Zhang X. H. and Seo, J. S. 2012. Spression of oxidative stress by grape seed supplementation in rats. Nutr. Res. Preact. 6, 3-8. 

  7. Droge, W. 2001.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col. Rev. 82, 47-95. 

  8. Flolin, O. and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lo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9. Francis, F. J. 1992. A new group of food colorants. Trends Food Sci. Technol. 3, 27-30. 

  10. Halliwell, B., Aeschbach, R., Loliger, J. and Aruoma, O. I. 1995.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33, 601-617. 

  11. Hogan, S., Canning, C., Sun, S., Sun, X. and Zhou, K. 2010. Effects of grape pomace antioxidant extract on oxidative stress and inflammation in diet induced obese mice. J. Agric. Food Chem. 58, 11250-11256. 

  12. Hwang, I. W., Lee, H. R., Kim, S. K., Zheng, H. Z., Choi, J. U., Lee, S. H., Lee, S. H. and Chung, S. K. 2008. Proanthocyanidin content and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grape seeds. Kor. J. Food Preserv. 15, 859-863. 

  13. Imai, J., Ide, N., Nagae, S., Moriguchi, T., Matsuura, H. and Itakura, Y. 1994.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Plant Med. 60, 417-420. 

  14. Ito, N., Fukushima, S. and Hasebawa, A. 1983. Carcinogenicity of BHA in F344 rats. J. Natl. Cancer Inst. 70, 343-352. 

  15. Jara-Palacios, M., Hernanz, D., Escudero-Gilete, M. L. and Heredia, F. J. 2014. Antioxidant potential of white grape pomaces: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capacity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and cyclic voltammetry methods. Food Res. Inter. 66, 150-157. 

  16. Kim, E. J., Choi, J. Y., Yu, M. R., Kim, M. Y., Lee, S. H. and Lee, B. 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44, 337-342. 

  17. Kim, H. W., Chu, S. M. and Lee, D. J. 2006. Determination of resveratrol content in grapes and wines. Kor. J. Crop. Sci. 51, 259-263. 

  18. Lazze, M. C., Pizzala, R., Pecharroman, F. J. G., Garnica, P. G., Rodriguez, J. M. A., Fabris, N. and Bianchi, L. 2009. Grape waste extract obtained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containes bioactive antioxidant molecules and induces antiproliferative effects in human colon adenocarcinoma cells. J. Med. Food 12, 561-568. 

  19. LeBel, C. P., Ischiropoulos, H. and Bondy, S. C. 1992. Evaluation of the probe 2', 7'-Dichlorofluorescin as an indicator of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and oxidative stress. Chem. Res. Toxicol. 5, 227-231. 

  20. Lee, E. J. and Kwon, J. H. 2006. Characteristic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for grape seed components with different solvents. Kor. J. Food Preserv. 13, 216-222. 

  21. Lee, J. H. and Lee, S. 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in Korean plant foods. Kor.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22. Lu, Y. R. and Foo, L. Y. 1999. The polyphenol constituents of grape pomace. Food Chem. 65, 1-8. 

  23. Macrae, R. G., Robinson, R. K. and Sadler, M. J. 1993. Encyclopedia of food science, food technology and nutrition. pp.607-171, 1st ed., Academic Press: Waltham, MA., USA. 

  24. Maier, T., Schiever, A., Kammerer, D. R. and Carle, R. 2009. Residues of grape (Vitis vinifera L.) seed oil production as a valuable source of phenolic antioxidants. Food Chem. 112, 551-559. 

  2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4.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pp. 117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Korea. 

  26. Park, S. J., Lee, H. Y. and Oh, D. H. 2003.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from campbell early grape (vitis labruscana B.). J. Kor. Soc. Food Sci. Nutr. 32, 115-118. 

  27.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Tang, M. and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h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28. Rice-Evans, C. A., Miller, N. J. and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 152-159. 

  29. Stojanovic, S., Sprinz, H. and Brede, O. 2001. Efficiency and mechanism of the antioxidant action of trans-resveratol and its analogues in the radical liposome oxidation. Arch. Biochem. Biophys. 391, 79-89. 

  30. Tournour, H. H., Segundo, M. A., Magalhaes, L. M. and Barreiros, L. 2015. Valorization of grape pomace: Extraction of bioactive phenolics with antioxidant properties. Industrial Crops Products 74, 397-406. 

  31. Um, M. Y. and Kim, M. K. 2002. Effect of grape intakes on lipid metabolism of rats during aging. Kor. J. Nutr. 35, 713-728. 

  32. Wang, S., Mateos, R., Goya, L., Amigo-Benavent, M., Sarria, B. and Bravo, L. 2016. A phenolic extract from grape by-products and its main hydroxybenzoic acids protect Caco-2 cells against pro-oxidant induced toxicity. Food Chem. Toxicol. 88, 65-74. 

  33. Zhu, F., Du, B., Zheng, L. and Li, J. 2015. Advanced on the bioactivity and potential applications of dietary fibre from grape pomace. Food Chem. 186, 207-2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