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몰지 조기 안정화를 위한 유용 미생물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Efficient Microorganism for Early Stabilization of the Burial Sit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9 no.4, 2013년, pp.343 - 352  

김현숙 (경기대학교 생명공학과) ,  박수정 (국립환경과학원) ,  정원화 (국립환경과학원) ,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상섭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를 통해 유용 미생물을 적용하여 악취 저감 효과 및 조기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기물 분해능과 악취 제어능이 뛰어난 유용 미생물 KEM을 개발하고, 이미 현장에 사용 중인 EM과 바실러스를 각각 적용하였다. 랩 스케일의 매몰지 모형 반응기를 제작하여 유용 미생물을 각각 적용한 경우와 적용하지 않은 경우(미생물을 적용하지 않고 사체만 매몰한 경우, 배지만 적용한 경우, 사체만 적용한 경우)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주기적인 수분 공급을 해줌으로써 가축 사체의 분해속도가 빨라진 것을 확인하였고, 유용 미생물을 적용한 반응기의 사체분해속도가 대조군 보다 빠른 것을 확인하였다. 가스는 총 8개의 성분(암모니아, TMA,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DMS, DMDS, $CO_2$, $CH_4$)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유용 미생물을 적용하였을 경우 암모니아와 메틸머캅탄에 대하여 악취 저감 효율을 보였다. 연구에 사용되었던 토양 내에 많은 토양 미생물과 가축 사체에도 많은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어, 유용 미생물을 투입하였을 때의 뚜렷한 차이는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일정 부분에 한하여 악취 저감 효과와 부패 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ave evaluated the effect of efficient microorganisms on odor-removal efficiency and early stabilization of the burial sites. We have developed an efficient microorganism designated as 'KEM' which have the ability to degrade organic compounds and remove odor effectively. Other ef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안정화 효과가 검증되지 않은 유용 미생물 제제들이 매몰지에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Ministry of Environment, 2011), 이에 대한 기본 연구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랩 스케일의 반응기를 통하여 매몰지 조기 안정화 및 악취 제어에 대한 유용 미생물의 효과를 알아보려 한다(Pinelli et al., 1997; Zeev and Aharon, 2000; Zhang et al., 2000; Salminen and Rintala, 2001; Janikowski et al., 2002).
  • 본 연구를 통해 유용 미생물을 적용하여 악취 저감 효과 및 조기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유기물 분해능과 악취 제어능이 뛰어난 유용 미생물 KEM을 개발하고, 이미 현장에 사용 중인 EM과 바실러스를 각각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매몰지 모형 반응기에 유용 미생물을 적용하여 악취 저감효율에 따른 유용성 평가를 목적에 두고 실험하였다. 반응기 내의 가축 사체 분해 속도는 주기적인 수분 공급이 이루어졌을 때 증가되었으며 유용 미생물 EM과 KEM을 적용하였을 때 사체가 더 빠르게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물 사체가 분해될 때 발생하는 황화수소는 어떤 분자가 분해될 때 만들어집니까? 황화수소: 황화수소는 아미노산 중 황을 함유하고 있는 시스테인과 메티오닌이 분해될 때 생성된다(Eweis et al., 1998).
매몰지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용 미생물 제제는 무엇입니까? KEM은㈜닉시안과 환경미생물은행에서 분양 받았으며 유기물 및 질소 분해능이 있는 홍색 비황 혼합 광합성 박테리아와 질소 및 황 화합물 악취 제어능이 뛰어난 균주와 발효 균주를 혼합하여 만들 었다. 또한 대조군으로써 EM과 바실러스를 선정하였으며,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용 미생물 제제로 알려져 있다(Table 1).
혼합 균주 KEM을 분양받은 곳은 어디이며 어떤 미생물을 혼합하여 만들었습니까? 유용미생물 제제로는 혼합 균주 KEM을 개발하였다. KEM은㈜닉시안과 환경미생물은행에서 분양 받았으며 유기물 및 질소 분해능이 있는 홍색 비황 혼합 광합성 박테리아와 질소 및 황 화합물 악취 제어능이 뛰어난 균주와 발효 균주를 혼합하여 만들 었다. 또한 대조군으로써 EM과 바실러스를 선정하였으며,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유용 미생물 제제로 알려져 있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mann, R.I., Ludwig, W., and Schleifer, K.H. 1995. Phylogenetic identification and in situ detection of individual microbial cells without cultivation. Microbiol. Rev. 59, 143-169. 

  2. Angelidaki, I. and Ahring, B.K. 1992. Effects of free long-chain fatty acids on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37, 808-812. 

  3. Banks, C.J. and Wang, Z. 1999. Development of a two phase anaerobic digester for the treatment of mixed abattoir wastes. Water Sci. Technol. 40, 67-76. 

  4. Cassidy, D.P. and Hudak, A.J. 2001. Microorganism selection and biosurfactant production in a continuously and periodically operated bioslurry reactor. J. Hazard Mat. 84, 253-264. 

  5. Castaldi, F.J. and Ford, D.L. 1992. Slurry bioremediation of petrochemical waste sludges. Water Sci. Technol. 25, 207-212. 

  6. Chun, J., Kim, K.Y., Lee, J.-H., and Choi, Y. 2010. The analysis of oral microbial communities of wild-type and toll-like receptor 2-deficient mice using a 454 GS FLX Titanium pyrosequencer. BMC Microbiol. 10, 101. 

  7. Eweis, J.B., Ergas, S.J., Chang, D.P.Y., and Schroeder, E.D. 1998. Bioremediation Principles pp. 207-236, McGraw-Hill, USA. 

  8. Fava, F., Berselli, S., Conte, P., Piccolo, A., and Marchetti, L. 2004. Effects of humic substances and soya lecithin on the aerobic bioremediation of a soil historically contaminated by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Biotechnol. Bioeng. 88, 214-223. 

  9. Fuller, M.E. and Manning, J.F. 2004. Microbiological changes during bioremediation of explosives-contaminated soils in laboratory and pilot-scale bioslurry reactors. Bioresour. Technol. 91, 123-133. 

  10. Hanyang University. 2002. Simultaneous Odors and Nutrients Removal Process Development by Soil Origin Microorganisms. Report fo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1. Higgins, M.J., Murthy, S.N., Striebig, B., Hepner, S., Yamani, S., Yarosz, D.P., and Toffey, W. 2002. Factors affecting odor production in Philadelphia Water Department Biosolids. Proceedings of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Odors and Toxic Air Emissions. 

  12. Ireri, V.R.G., Fabio, F., and Hector, M.P.V. 2008. A review on slurry bioreactors for bioremediation of soils and sediments. Microb. Cell Fact. 7, 5. 

  13. Janikowski, T.B., Velicogna, D., Punt, M., and Daugulis, A.J. 2002. Use of a two-phase partitioning bioreactor for degrading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by a Sphingomonas sp. Appl. Microbiol. Biotechnol. 59, 368-376. 

  14. McBean, E.A. and Ro Farquhar, G.J. 1995. Solid waste landfill engineering and design. Prentice Hall, New Jersey, USA.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정부, 전국 매몰지 일제 조사 후 보완.정비 착수. http://www.me.go.kr/web/286/me/common/board/detail.do?boardIdnotice_02&decoratorme&idx176629 

  16. Oberbremer, A., Muller-Hurtig, R., and Wagner, F. 1990. Effect of the addition of microbial surfactants on hydrocarbon degradation in a soil population in a stirred reactor. Appl. Microbiol. Biotechnol. 32, 485-489. 

  17. Pinelli, D., Fava, F., Nocentini, M., and Pasquali, G. 1997. Bioremediation of a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contaminated soil by using different aerobic batch bioreactor system. J. Soil Contam. 6, 243-256. 

  18. Salminen, E. and Rintala, J. 2001. Anaerobic digestion of organics solid poultry slaughterhouse waste - a review. Bioresour. Technol. 83, 13-26. 

  19. Wang, S.Y. and Vipulanandar, C. 2001. Biodegradation of naphthalene contaminated soils in slurry bioreactors. J. Environ. Eng. 127, 748-754. 

  20. Zeev, R. and Aharon, A. 2000. Anaerobic-aerobic process for microbial degradation of retrabromobisphenol. Appl. Environ. Microbiol. 66, 2372-2377. 

  21. Zhang, C., Hughes, J.B., Nishino, S.F., and Spain, J.C. 2000. Slurry-phase biological treatment of 2,4-dinitrotoluene and 2,6-dinitrotoluene: role of bioaugmentation and effects of high dinitrotoluene concentrations. Environ. Sci. Technol. 34, 2810-28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