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사과 주요 품종들의 자발휴면 타파에 필요한 저온요구도
Chilling Requirement for Breaking of Internal Dormancy of Main Apple Cultivars in Korea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1 no.6, 2013년, pp.666 - 676  

권헌중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사공동훈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송양익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박무용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권순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  김목종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시험은 품종별 휴면 개시점 탐색, 자발휴면 타파시기 및 발아에 필요한 저온($7.2^{\circ}C$ 이하, $0.0-7.2^{\circ}C$) 누적시간을 구명하여 국내 주요 사과품종('후지', '쓰가루')들과 국내에서 육성한 품종('홍로', '선홍', '홍금', '홍안', '홍소', '감홍', '섬머드림')들의 자발휴면 타파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파악하고자 군위지역에서 4년(2009-2012년) 동안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 자료를 이용하여 군위에서의 자발휴면 타파시기와 현재보다 기온이 $4.0^{\circ}C$ 상승되었을 때의 자발휴면 타파시기를 추정하였다. 휴면 개시점은 정단신초를 절단전정을 하였을 때 액아가 발아하지 않는 시기로 정하였다. 자발휴면 타파여부는 생장상에서 과대지의 정아가 15일 이내로 발아되었는가에 따라 결정하였다. 과대지는 매년 12월 초에 품종별로 약 100개씩 채취하여 $5.0^{\circ}C$에 두고 1주일 간격으로 출고하여 생장상에 10개씩 배치하였다. 품종들의 저온요구도는 휴면 개시점부터 과대지들이 15일 내로 발아될 때까지의 노지 및 생장상에서 $7.2^{\circ}C$ 이하 및 $0.0-7.2^{\circ}C$에서의 누적시간으로 표현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조사품종의 휴면개시점은 9월 말로 추정되었다. 조사품종의 자발휴면 타파시기는 1월 말부터 2월 초 사이로 추정되었다. 각 품종별 자발휴면 타파에 필요한 $7.2^{\circ}C$ 이하의 누적시간은 1,600-2,000시간, $0.0-7.2^{\circ}C$ 누적시간은 1,300-1,800시간이었다. 품종별 저온요구도 비교에 있어서는 개화가 빠른 품종의 저온요구도가 개화가 느린 품종보다 적은 경향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군위지역의 기온이 지금보다 $4.0^{\circ}C$ 정도 상승된다고 가정하면, 자발휴면 타파시기는 2-4주 정도 지연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initial point of dormancy, breaking time of internal dormancy, and to find out the accumulated hours of low temperature (under $7.2^{\circ}C$ from $0.0^{\circ}C$ to $7.2^{\circ}C$) for bud-breaking. Over-all, the chilling req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사과품종들의 자발휴면 타파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명확하게 구명하고자, 앞서 조사한 군위 지역 사과나무들의 휴면 개시점부터 매년 과대지를 채취한 시기까지의 7.2℃ 이하 누적시간과 0.0-7.2℃ 누적시간을 구한 뒤 매년 생장상에서 평균 발아소요일수가 15일 이하로 되는 시기까지 품종별 5.0℃에서의 저장시간을 더하여 품종별 저온요구도를 구해보았다
  •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사과품종들과 국내에서 육종한 품종들을 대상으로 발아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구명하고자 휴면 개시점을 찾아내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을 적용하여 품종별 휴면 개시점과 발아에 필요한 누적저온시간을 조사하였다. 또한, 조사된 품종들의 저온요구도를 이용하여 자발휴면 타파시기와 지구온난화에 따른 겨울철 기온 상승이 미래 자발휴면 타파시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 본 시험에서는 앞서 조사된 품종별 자발휴면 타파에 필요 한 저온요구도의 정확성 및 노지에서의 품종별 휴면 타파시기를 추정하고자 3시기(2009-2010년, 2010-2011년, 2011-2012년) 동안 기온이 7.2℃ 이하로 떨어지기 시작하는 9월 말(9월 20일)부터 이듬해 만생종 ‘후지’의 발아기(2010년 4월 2일, 2011년 4월 6일, 2012년 4월 3일)인 4월 초(4월 10일)까 지의 군위지역 7.2℃ 이하 누적시간과 0.0-7.2℃의 누적시 간을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 본 시험은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주요 사과품종들과 국내에서 육종한 품종들을 대상으로 발아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구명하고자 휴면 개시점을 찾아내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 방법을 적용하여 품종별 휴면 개시점과 발아에 필요한 누적저온시간을 조사하였다. 또한, 조사된 품종들의 저온요구도를 이용하여 자발휴면 타파시기와 지구온난화에 따른 겨울철 기온 상승이 미래 자발휴면 타파시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에 대해 검토하였다.
  • 본 시험은 품종별 휴면 개시점 탐색, 자발휴면 타파시기 및 발아에 필요한 저온(7.2°C 이하, 0.0-7.2°C) 누적시간을 구명하여 국내 주요 사과품종(‘후지’, ‘쓰가루’)들과 국내에 서 육성한 품종(‘홍로’, ‘선홍’, ‘홍금’, ‘홍안’, ‘홍소’, ‘감홍’, ‘섬머드림’)들의 자발휴면 타파에 필요한 저온요구도를 파악하고자 군위지역에서 4년(2009-2012년) 동안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nderson, J.L. and S.D. Seeley. 1992. Modeling strategy in pomology: Development of the Utah models. Acta. Hort. 313:297-306. 

  2. Barden, J.A. and G.H. Neilsen. 2003. Selecting the orchard site, p. 238-239. In: D.C Ferree and I.J. Warrington (eds.). Apples;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I Publishing, Cambridge, MA, USA. 

  3. Blanke, M.M. 2008. Perspectives of fruit research and apple orchard management in Germany in a changing climate. Acta Hort. 772:441-446. 

  4. Cesaraccio, C., D. Spano, R.L. Snyder, and P. Duce. 2004. Chilling and forcing model to predict bud-burst of crop and forest species. Agric. For. Meteorol. 126:1-13. 

  5. Chmielewski, F.M., A. Muller, and E. Bruns. 2004. Climate changes and trends in phenology of fruit trees and field crops in Germancy, 1961-2000. Agric. For. Meteorol. 121:69-78. 

  6. Chung, U. and J.I. Yun. 2008. A prospect on the changes in shoot-term cold hardiness in "Campbell Early" grapevine under the future warmer winter in South Korea. Kor. J. Agric. For. Meteorol. 10:94-101. 

  7. Chung, U., K.J. Lee, and B.W. Lee. 2007. Preliminary report of observed urban-rural gradien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cross Seoul, Suwon, and Icheon in South Korea. Kor. J. Agric. For. Meteorol. 9:268-276. 

  8. Eggert, F.P. 1951. A study of rest in several varieties of apple and in other fruit species grown in New York state. Proc. Amer. Soc. Hort. Sci. 57:169-178. 

  9. El-Agamy, S.Z., A.K.A Mohanmed, F.M.A. Mostafa, and A.Y. Abdallah. 2001. Chilling and heat requirements for budbreak and fruiting of "Anna" and "Dorsett Golden" apple cultivars under warm climatic conditions. Acta Hort. 565:103-108. 

  10. Faust, M. 1989. Physiology of temperature zone fruit trees. Wiley-Interscience. NY. p. 188-195. 

  11. Faust, M.N., D. Liu, S.Y. Wang, and G.W. Stutte. 1995. Involvement of apical dorminance in winter dormancy of apple buds. Acta Hort. 395:47-56. 

  12. Finetto, G.A. 1997. Effect of Hydrogen cyanamide treatment after various periods of chilling on breaking endodormancy in apple buds. Acta Hort. 441:191-200. 

  13. Gianfagna, T.J. and S.A. Mehlenbacher. 1985. Importance of heat requirement for bud break and time of flowering in apple. HortScience 20:909-911. 

  14. Hamer, P.J.C. 1980. A model to evaluate evaporative cooling of apple buds as a frost protection technique. J. Hort. Sci. 55:157-163. 

  15. Han, J.H., S.H. Lee, J.J. Choi, S.B. Jung, and H.I. Jang. 2008. Estimation of dormancy breaking time by development rate model in 'Niitake' pear (Pyrus pirfolia Nakai). Kor. J. Agric. For. Meteorol. 10:58-64. 

  16. Han, J.H., K.S. Cho, J.J. Choi, H.S. Hwang, C.G. Kim, and T.C. Kim. 2010. Estimation of changes in full bloom date of 'Niitaka' pear tree with global warming. Kor. J. Hort. Sci. Technol. 28:937-941. 

  17. Hartmann, H.T., A.M. Kofranek, V.E. Rubatzky, and W.J. Flock. 1988. Plant science growth,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cultivated plants. 2nd ed.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NJ. p. 322. 

  18. Hannien, H. 1995. Effect of climatic change on trees from cool and temperate regions: and ecophysiological approach to modelling of bud burst phenology. Can. J. Bot. 73:183-199. 

  19. Hauagge, R. and J.N. Cummins. 1991. Phenotypic variation of length of bud dormancy in apple cultivars and related Malus species. J. Amer. Soc. Hort. Sci. 116:100-106. 

  20. Heide, O.M. and A.K. Prestrud. 2005. Low temperature, but not photoperiod, controls growth cessation and dormancy induction and release in apple and pear. Tree Physiol. 25:109-114. 

  21.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Special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D-Rom. 

  22. Lang, G.A., J.D. Early, G.C. Martin, and R.L. Darnell. 1987. Endo-, para-, and ecodormancy: Physiological terminology and classification for dormancy research. HortScience 22:371-377. 

  23. Kim, J.H., J.C. Kim, K.C. Ko, K.R. Kim, and J.C. Lee. 2006. General pomology. Hyangmoonsha Press, Seoul. p. 38-39, 175-180. 

  24. Kim, S.O., J.H. Kim, U. Chung, S.H. Kim, G.H. Park, and J.I. Yun. 2009a. Quantification of temperate effects on flowering date determination in Niitaka pear. Kor. J. Agric. For. Meteorol. 11:61-71. 

  25. Kim, S.O., U. Chung, S.H. Kim, I.M. Choi, and J.I. Yun. 2009b. The suitable region and site for 'Fuji' apple under the projected climate in South Korea. Kor. J. Agric. For. Meteorol. 11:162-173. 

  26. Kobayashi, K.D., L.H. Fuchigami, and M.J. English. 1982. Modeling temperature requirements for rest development in Conus sericea. J. Amer. Soc. Hort. Sci. 107:914-918. 

  2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2. Automatic weather system (AWS). http://www.kma.go.kr. 

  28. Mehlenbacher, S.A. and A.M. Voordeckers. 1991. Relationship of flowering time, rate of seed germination, and time of leaf budbreak and usefulness in selecting for late-flowering apples. J. Amer. Soc. Hort. Sci. 116:565-568. 

  29. Palmer, J.W., J.P. Prive, and D.S. Tustin. 2003. Temperature, p. 224-225. In: D.C Ferree and I.J. Warrington (eds.). Apples; botany, production and uses. CABI Publishing, Cambridge, MA, USA. 

  30. Richardson, E.A., S.D. Seeley, and D.R. Walker. 1974. A model estimating the completion of the rest for Edfhaven and Elberta peach trees. HortScience 9:331-332. 

  31. Ryugo, K. 1988. Fruit culture, its science and art. John Wiley and Sons Ltd., New Yook. p. 344. 

  32. Seeley, S.D. 1996. Modelling climatic regulation of bud dormancy, p. 316-376. In: G.A. Lang (ed.). Plant dormancy-physiology,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U.K. 

  33. Seo, H.H. 2007. Changes of full bloom date of apple 'Fuji' and pear 'Niitake' recently from 30 years. Kor. J. Hort. Sci. Technol. 22(Suppl. II):72. (Abstr.) 

  34. Shaltout, A.D. and C.R. Unrath. 1983. Rest completion prediction model for 'Starkrimson Delicious' apples. J. Amer. Soc. Hort. Sci. 108:957-961. 

  35. Shin, U.K. and T.C. Kim. 2004. Flowering and fruit set, p. 150-156. In: S.D. Oh (ed.). Fruit tree physiology in relation to temperature. Gilmogm Press, Seoul, Korea. 

  36. Swartz, H.J. and L.E. Powell, Jr. 1981. The effect of long chilling requirement on time of bud break in apple. Acta Hort. 120: 173-178. 

  37. Webster, A.D. 2005. Sites and soils for temperate tree-fruit production: Their selection and amelioration, p. 12-14. In: J. Tromp, A.D. Webster, and S.J. Wertheim (eds.). Fundamentals of temperate zone tree fruit production. Backhuys publishers, Leiden, Netherlands. 

  38. Yu, Y.S. 2004. Dormancy, p. 122-132. In: S.D. Oh (ed.). Fruit tree physiology in relation to temperature. Gilmogm Press, Seoul, Korea. 

  39. Yun, S.H. 1998. Climate change and its impact on agricultural ecosystem, world grain demand-supply and measures for the 21st century. Proc. KSCS & KBS Symp. 50th Annu. GSNU. p. 313-335. 

  40. Yun, S.H., J.N. Im, J.T. Lee, K.M. Shim, and K.H Hwang. 2001. Climate change and coping with vulner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Kor. J. Agric. For. Meteorol. 4:220-2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