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실내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door Horticultural Activities on Improvement of Attention and Concentr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원예과학기술지 =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v.31 no.6, 2013년, pp.821 - 827  

이민정 (영남대학교 LED-IT융합산업화연구센터) ,  김지선 (영남대학교 LED-IT융합산업화연구센터) ,  오욱 (영남대학교 LED-IT융합산업화연구센터) ,  장자순 (영남대학교 LED-IT융합산업화연구센터)

초록

본 연구는 세 가지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영천시 J초등학교 내 Wee Class 상담실을 이용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10명에게는 꽃장식, 심기, 압화 등 원예활동을 실시하였고,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10명의 대조군을 두었다. 각 원예활동은 주 1회 총 3회씩 실시되었고, 주의집중력 검사지와 Harris 격자판은 원예활동 실시 1주일 전과 9회기 종료 후 대조군과 실험군을 대상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Harris 격자판은 실험군을 대상으로만 매주 원예활동 후 실시하였다. 검사지를 이용한 주의집중력 평가 결과, 원예활동 후 정서적인 문제에서 9.2점, 관리기능상의 문제에서 7.8점, 그리고 전체 점수도 19.0점 감소하여(P < 0.05) 실험군의 주의집중력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Harris 격자판을 이용한 주의집중력 검사 결과, 꽃장식, 심기 및 압화 활동은 실시 전 6.00점에 비해 실시 후 각각 2.22, 2.49, 그리고 2.41점이 높아졌는데(P < 0.05), Harris 격자판 점수의 증가는 주의집중력 향상을 의미한다. 원예활동 실시 후, 꽃장식, 심기 및 압화 활동은 대조군의 7.10점에 비해 각각 1.12, 1.39, 1.31점을 증가시켰다(P < 0.05). 결론적으로 꽃장식, 심기 및 압화 등 실내 원예활동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 kind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HAs) on attention concentration of elementary students. We selected 20 students using a Wee Class counseling office at J elementary school in Yeongcheon, and divided them into experimental and contr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동기의 학습뿐 아니라 생활 전반에 있어 주요한 능력인 주의집중력 향상을 위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단일 원예활동 간의 비교 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중력에 효과적인 원예 활동 가운데 실내에서 할 수 있는 꽃장식, 식물심기, 그리고 압화 활동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실시하였다.
  • 특히 학습 및 생활의 기초를 형성해가는 초등학생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Kim, 2007b).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원예활동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대한 원예활동 종류별 단독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원예활동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대한 원예활동 종류별 단독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세 가지 원예활동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영천시 J 초등학교 내 Wee Class 상담실을 이용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군 10명에게는 꽃장식, 심기, 압화 등 원예활동을 실시하였고,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10명의 대조군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예활동이 아동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킨다는 연구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원예활동을 통한 주의집중력 향상 연구 가운데, Ma(2009)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경도 정신지체아의 선택적 주의집중력과 지속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Lee and Jang(2008)은 심리적 부적응 문제를 가지고 있는 저소득 결손가정의 아동에게 원예활동을 적용한 결과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으며 새로운 경험에 대한 만족감을 표출하였다고 하였다. 집중력 부족과 정서 불안, 주의 산만, 자신감 결여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식물 관찰 중심의 원예활동을 실시한 Jang et al.(2012)은 원예활동이 아동의 정서 함양 및 집중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고 하였다.
주의집중력 결함은 어떤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가? Robin(1992)은 주의집중력 결함 문제를 방치하면 아동들은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기 통제와 억제가 부족하여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되며 자칫 사회적 문제아로 성장할 우려가 있다고 하였다. 학습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학습과제에 집중을 해야 하는데, 주의집중력 결함은 학습의 효과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성취도를 떨어뜨려 성취감과 자신감을 감소시킨다(Bloom, 1976).
인간의 발달에 있어서 주의집중력은 어떤 능력인가? 인간의 발달에 있어서 주의집중력(attention and concentration)은 특정한 자극에 주의를 집중할 수 있는 능력으로 영아기를 지나면서 지각 발달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요인이다(Jang, 2000). 만약 아동이 주의를 집중할 수 없다면 사물에 대한 지각은 물론 읽기 학습과 같은 복잡한 인지과제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Jang,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drea, D., T.M. Waliczek, R.D. Lineberger, and J.M. Zajicek. 2008. The effect of live plants and window views of spaces on employee perceptions of job satisfaction. HortScience 43:183-187. 

  2. Berkley, R.A. 1998.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 handbook for diagnosis and treatment. 2nd ed. Guilford, New York, USA. 

  3. Bloom, B.S. 197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McGraw-Hill Bool Company, New York, USA. 

  4. Conners, C.K., D. Erhardt, J.N. Epstein, J.D.A. Parker, G. Sitarenios, and E. Sparrow. 1999. Self-ratings of ADHD symptoms in adult I. Factor structure and normative data. J. Attention Disorder 3:141-151. 

  5. Ha, B.S. 2007.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using pressed flower on the changes of apathy and concentration for adolescents. MS Thesis, Wonkwang Univ., Iksan, Korea. 

  6. Harris, D.V. and B.L. Harris. 1984. The athlete's guide to sports psychology: mental skills physical people. Leisure Press, New York, USA. 

  7. Jang, H.H., I.J. Han, and C.K. Kim. 2012.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y focused to plant observation on preschooler's emotion and ability to concentration.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5:219-225. 

  8. Jang, H.S. 2000. Lifespan-developmental psychology. Parkyoung Press, Seoul, Korea. 

  9. Jeon, H.Y. and J.H. Kim. 2011. Effect of gardening activit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tiveness. J. Kor. Practical Educ. 17:133-158. 

  10. Kang, K.S., S.M. Choi, and S.J. Yeon. 2010. Effect of mandala art activity focused on self-expression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J. Kor. Acad. Clinical Art Therapy 5:67-77. 

  11. Kim, H.G. 2008.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music programs on increasing attention and impulsivity control ability of children with ADHD. MS Thesis, Dankook Univ., Yongin, Korea. 

  12. Kim, H.R.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color therapy using pressed flowers on women's stress. PhD Diss., Chosun Univ., Gwangju, Korea. 

  13. Kim, H.Y., J.Y. Lee, S.S. Jo, I.S. Lee, and J.H. Kim. 2005. A preliminary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Korean version in college students. Kor. J. Clinical Psychol. 24:171-185. 

  14. Kim, J.Y. 2007a. Effects of meditation training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stability and attentiveness. MS Thesis, Seoul Natl. Univ. of Educ., Seoul, Korea. 

  15. Kim, Y.S. 2007b. Effect of brain gym body movement on the attention and learning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Daegu Natl. Univ. of Educ., Daegu, Korea. 

  16. Lee, J.S. 2000. Effects of music therapy on the treatment of attention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MS Thesis, Soonchunhyang Univ., Asan, Korea. 

  17. Lee, J.S. and M.H. Jang. 2008. Effect of cooperation of horticultural activities and writing on the emotional improvement and attention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y.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1:83-92. 

  18. Lee, J.S., J.H. Jeong, J.H. Kim, K.J. Lee, H.M. Song, B.J. Jeon, and J.Y. Lee. 2009. Effects of implementation of tinted eyeglasses on concentration through EEG examination. J. Kor. Soc. Occupational Therapy 17:91-104. 

  19. Lee, P.R., I.J. Han, and C.K. Kim. 2011. Effect of five sense stimulation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on the attentional ability and juvenile delinquency in children with low-income families. J. Kor. Soc. People Plants Environ. 14:331-336. 

  20. Lee, S.C. and I.S. Cho. 1991. Selective attention of the educable mentally retarded according to incidental task and transfer operations. J. Speech Hearing Disorders 1:87-122. 

  21. Lee, S.O. 2009. Effects of art therapy on attention of the child with mental retardation. J. Arts Psychotherapy 5:1-26. 

  22. Lim, M.H. 2004. On improving the attention of young boys and girl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rough well organized music activities. Kor. J. Music Therapy Educ. 1:47-72. 

  23. Ma, J.M. 2009.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therapeutic program on the selective attentiveness and attention sustaining behavior of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J. Psychol. Behavior 1:43-69. 

  24. Montessori, M. 1964. The Montessori method. Schocken Books, New York, USA. 

  25. Rizzo, A.A. and U. Buckwalter. 1997. Psycho-neuro-physiological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in virtual environments: Cognition, clinical, and human factors in advanced human computer interactions. IOS Press, Amsterdam, The Netherlands. 

  26. Robin, A.L. 1992. The defects of self-instruction on writing deficiencies. Behavior Therapy 6:178-187. 

  27. Son, K.C., S.K. Park, H.O. Boo, K.Y. Paek, K.Y. Bae, S.H. Lee, and B.G. Huh. 1997. Horticultural therapy. Sewon Press,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