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양육행동과 영아의 발달 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Mot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aternal Parenting Stress,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 Development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2 no.1, 2013년, pp.43 - 56  

민현숙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문영경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the mother's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mother's parenting stress, maternal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 development. Participations in this study included 2078 infants(1056 boys, 1022 girls) and their mother. The major result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머니와 영아를 대표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전국적 표본조사를 거친 한국아동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어머니의 양육특성과 영아 발달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아동패널은 아동특성, 부모특성, 가족특성, 육아지원 서비스 특성, 육아정책 등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태학적 환경 변인들을 다각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중에서도 부모 특성 중에서 양육특성과 영아발달에 초점을 두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선행하는 요인으로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양육행동이 영아의 발달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영아기 어머니의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양육행동(온정성과 반응성)과 영아의 발달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기에 앞서 측정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머니와 영아를 대표하는 집단을 대상으로 전국적 표본조사를 거친 한국아동패널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어머니의 양육특성과 영아 발달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한다. 아동패널은 아동특성, 부모특성, 가족특성, 육아지원 서비스 특성, 육아정책 등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태학적 환경 변인들을 다각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중에서도 부모 특성 중에서 양육특성과 영아발달에 초점을 두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선행하는 요인으로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양육행동이 영아의 발달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발달적인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시기인 영아기에 영아발달과 함께 영아발달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어머니의 양육관련 특성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어머니를 위한 부모교육이나 문제를 가진 영아를 중재하는 예방적 차원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보고자 한다.
  • 이 검사는 발달선별검사로서 K-ASQ의 결과는 일반 발달검사 결과와 같이 원점수를 이용하기 보다는 이에 따른 절선 점수 대비 결과에 대하여 ‘양호’, ‘발달지연 의심’ ‘추후검사’로 구분되는 판정을 이용하나, 본 연구에서는 발달수준을 판단하기 위하여 총점을 산출하였다.
  • 아동패널은 아동특성, 부모특성, 가족특성, 육아지원 서비스 특성, 육아정책 등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생태학적 환경 변인들을 다각적으로 조사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중에서도 부모 특성 중에서 양육특성과 영아발달에 초점을 두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선행하는 요인으로 양육지식과 양육스트레스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그리고 양육행동이 영아의 발달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통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발달적인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는 시기인 영아기에 영아발달과 함께 영아발달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어머니의 양육관련 특성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어머니를 위한 부모교육이나 문제를 가진 영아를 중재하는 예방적 차원의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아기는 어떤 시기인가? 영아기는 태어나 경험들이 누적되기 시작하는 시기로서 신체적, 지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 등 여러 영역에 있어 발달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시기이다. 영아는 환경과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성장하고 발달을 이루어 나가며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는데, 특히 이 시기의 영아가 최초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접하게 되는 환경인 어머니가 영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이미 여러 연구에 의해 지지되어 왔다.
1세 미만의 영아의 경우 어머니가 양육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것을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특히 1세 미만의 영아의 경우 어머니가 양육하는 경우가 대부분(Cho, et al., 2009)임을 고려해볼 때, 영아에게 다양한 환경을 제공하는 어머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어머니들은 다양하면서 정확한 양육지식과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고, 인터넷 정보나 책, 잡지 등을 통해 이를 습득하는 이유는? 따라서 자녀를 양육하기 시작하는 영아의 어머니들이 경험이 없이, 혹은 적은 경험만을 가지고 새로운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은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현재 초저출산현상이 심하고, 자녀양육과 교육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나 핵가족화로 인해 이전세대에게 자녀양육에 대한 지식을 전수받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어머니들은 다양하면서 정확한 양육지식과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인터넷 정보나 책, 잡지 등을 통해 이를 습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Lee & Le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Short Form (PSI/SF). Charlottesvile, VA: Pediatric Psychology Press. 

  2. Abidin, R. R. (1992).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behavior. The Journal of Clinical Child, 21(4), 401-412. 

  3. Ahn, J. Y. & Park, S. Y. (2002).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1), 53-68. 

  4. Ainsworth, M. D. S., Blehar, M. C., Water, E., & Wall, S. (1978). Patterns of attachment: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strange situation. Hillsdale, NJ: Erbaum. 

  5. Altman-Klein, H. & Cordell, A. (1987). The adolescent as mother early risk identific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6, 47-58. 

  6. Bae. B. R.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7.0. Seoul: Chungram. 

  7.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8. Benasich, A. & Brooks-Gunn, J. (1996). Maternal attitudes and knowledge of child-rearing: associations with family and child outcomes, Child Development, 67(3), 1186-1205. 

  9. Bornstein, M. H. & Cote, L. R. (2003). Cultural and parenting cognitions in acculturation culture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4(3), 350-373. 

  10. Bornstein, M. H., Tamis-LeMonda, C. S., Pascual, L., Haynes, M. O., Painter, K. M., Galperin, C. Z., & Pecheux, M. G. (1996). Ideas about parenting in Argentina,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 Development, 19(2), 347-367. 

  11. Cho, B. H., Shin, N., Ahn, J. J., Lee, J. R., Choi, Y. K., Song, S. Y., Kim, J. Y., & Kim, Y W. (2009). Panal study on korean children.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eoul. Korea. 

  12. Choi, Y. L. (2006). Child-rearing style and parenting knowledge of first time mothers.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 University. 

  13. Chun, H. Y. & Ok, K. W. (2010). The effect of maternity and childrearing system variables on postpartum depression of infant's mothers. Annual Conference of Panal Study on Korean Children Book (pp. 59-82) Seoul. Korea. 

  14. Crinic, K. A., Gaze, C., & Hoffman, C. (2005). Cumulative parenting stress across the preschool period: Relations to maternal parenting and child behavior at age 5. Infant and Child Development, 14, 117-132. 

  15. Dichtelmiller, M., Meisels, S., Plunkett, J., & Bozynski, M. (1992).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knowledge to the development of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16(3), 210-220. 

  16. Donovan, W., Taylor, N., & Leavitt, L. (2007). Maternal self-efficacy,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sensory sensitivity, and maternal response during interac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43(4), 865-876. 

  17. Goldberg W. A. & Easterbrooks, M. A. (1984). Role of marital quality in toddler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20, 504-514. 

  18. Goodnow, J. J. & Collins, W. A. (1990). Development according to parent: The nature, sources and consequences of parents' idea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ions. 

  19. Heo, G. H., Squires, J., & Lee, J. S. (2006). K-ASQ.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20. Hong, K. O. (2001).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self-perception, parenting behavior, kindergartner's temperament and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2),181-194. 

  21. Hong, S. H.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22. Hong. S. O. & Kim, S. H. (2008).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mother's background.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6), 55-71. 

  23. Huang, K. Y., Caughy, M. O., Genevro, J. L., & Miller T. L. (2005). Maternal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and quality parenting among White, African-American and Hispanic mothers. Applied Development Psychology, 26, 149-170. 

  24. Hunt, J. M. & Paraskewopulous, J. (1990).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 as a function of the inaccuracy of their mothers' knowledge of their abilitie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36, 252-298. 

  25. Kim, H. M. & Do, H. (2004).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5(6), 279-298. 

  26. Kim, K. H. & Kang, H. K. (1997). Development of the parenting stress scale.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5(5), 141-150. 

  27. Kim, M. & Park, H. (2008). Relationships among maternal parenting behavior, parenting stress and performance on the K-BSID2: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res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1), 243-255. 

  28. Kim, M. S. & Moon, H. J. (2005).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s in mother with young mother.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3(8), 25-35. 

  29. Kim, S. C. & Kwak, K. J. (2004). The difference in touch patterns of infants at 6 months: on the mothers's level of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xiety, feeling of touch and self-concept.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7(3), 1-23. 

  30. Kim, Y. J. & Song, Y. S. (2007). The Relation between a mother's parenting knowledge about infants and parental stres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4), 475-493. 

  31. Kwon, M. K. (2010). Parenting stress and related factors of employed and non-employed mothers with infants. Annual Conference of Panal Study on Korean Children Book (pp. 463-483) Seoul. Korea. 

  32. Larsen. J. & Jihasz, A. (1986). The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inventory. Adolescence, 21, 39-54. 

  33. Lasko, M. L., Poikkeus, A. M., Ekluad, K., & Lyytinen, P. (1999). Social interactional behaviors and symbolic play competence as predictors of language development and their associations with maternal attention-directing strategies. Infant Behavior and Development. 22, 541-556. 

  34. Lee, H. M., Park, S. Y., & Seo, S. S. (2008). The effect of maternal parenting style and sensitivity on infant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6(2), 97-111. 

  35. Lee, J. Y. & Lee, S. H. (2010). The acquisition of paren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levels of mothers with infants and toddle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1(4), 179-197. 

  36. Lee, S. H., Koh, I. S., & Shim, J. S. (2009). The study of parent's and grand parents' parenting style and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2), 111-134. 

  37. Lee. J. Y. (2009).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style of mothers with infants: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7(5), 35-48. 

  38. Lempers, J. D., D. Clark-Lempers, & R. L. Simons. (1989). Economic hardship, parenting, and distress in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0, 25-39. 

  39. Lim. S. H. & Park, S. H. (2010). The relation of mother's socioeconomic status and a number of children to parenting stress and toddler's expressive vocabulary. Journal of Futures early childhood education, 17(1), 251-278. 

  40. MacPhee, D. (2002).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Survey of child care experiences & manual (2ed ed). Unpublished manuscript, Colorado State Univerisity. 

  41. MacPhee. D. (1984). The pediatrician as a source of information about child development.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9(1), 87-100. 

  42. Moon, S. B. (2009).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7.0. Seoul: Hakjisa. 

  43. Park, I. H., Kim, J. S, Cho, I. S., & Kang, S. Y. (2007).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parent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mong infant mothers. Journal Koreans Society Maternal Child Health, 11(2), 211-233. 

  44. Park, J. H. & Rhee. U. H. (2001). Children's peer competence: Relationships to maternal parenting goals, parenting behaviors, and management strategie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2(4), 1-15. 

  45. Park, S., Jun, C., & Han, S. (1996). Mother's parenting as related to children's temperament, moth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4(4), 203-215. 

  46. Seo, S. J. (2006). A study of infant developmental outcome with a sample of korea working mothers of infants in poverty: Implications for early intervention program.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3(4), 253-260. 

  47. Shim, S. K., Byon, K. H., Park, J. H., Park, Y. M., & Kim. E. A. (2007). The mother's accuracy on the knowledge of infant's developmental level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2(2), 43-58. 

  48. Shin, N., Ahn, J. J., Lee, J. R., Song, S. Y., & Kim, Y. W. (2008). Panal study on korean children.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eoul. Korea. 

  49. Shin, S. J. (1997). Effects of stress, social support and efficacy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The doctoral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50. Song, Y. S. & Kim Y. S. (2008).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knowledge on parenting self-efficacy: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nfant and early childhood mother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3(3), 181-203. 

  51. Stevens, J. H. Jr. (1984). Child development knowledge and parenting skill. Family Relations, 33, 237-244. 

  52. Suh M. H., Lee, Y. J., Yoo, H. M., Song, S. Y., & Kim, S. H. (2011). Recommendations for policy proposals for improving fertility rate and reconciling work and family lif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Seoul. Korea. 

  53. Yang, M. S. & Cho, B. H. (2009). A study on knowledge and expectations of child development of mothers with an infant. Journal of Korea child care education, 58, 149-166. 

  54. Yoon, H. J. & Cho, B. H. (2004). Maternal knowledge of child-rear home environment. Korea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11(2), 59-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