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급대원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성장욕구 및 이직의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empowering leadership, growth needs and turnover intentions in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7 no.3, 2013년, pp.29 - 37  

양현모 (청주서부소방서 남이119안전센터) ,  전혁진 (건국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  강보라 (아주대학교 응급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empowering leadership effects on growth needs and turnover intentions to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Methods: The study was based on seventy six paramedics and seventy EMTs-basic who were working at the fire stations. A survey questionna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구급대원의 임파워링 리더십에 따른 성장욕구와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연구한 서술적 연구이다. 따라서 소방 조직 내 구급대원에게 있어 임파워링 리더십이 성장욕구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이 구급대원의 성장욕구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임파워링 리더십이 성장욕구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둔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구급대원의 임파워링 리더십에 따른 성장욕구와 이직의도와의 관련성을 연구한 서술적 연구이다. 따라서 소방 조직 내 구급대원에게 있어 임파워링 리더십이 성장욕구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본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공무원이 감당하는 역할은? 소방공무원은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화재를 진압하고 재난 및 재해 등의 긴급하고 위험한 상황에서 구조 및 구급활동을 전개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소방공무원이 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중에는 진압 도중 건물의 붕괴, 추락, 화상 등의 물리적인 위험 뿐만 아니라 같이 근무하는 동료의 사고 장면의 목격, 근무 중 언제라도 출동해야 하는 긴장 등의 정신적인 위험에도 동시에 노출되어 있다.
소방공무원이 노출되어 있는 위험은 무엇인가? 소방공무원은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화재를 진압하고 재난 및 재해 등의 긴급하고 위험한 상황에서 구조 및 구급활동을 전개하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 소방공무원이 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중에는 진압 도중 건물의 붕괴, 추락, 화상 등의 물리적인 위험 뿐만 아니라 같이 근무하는 동료의 사고 장면의 목격, 근무 중 언제라도 출동해야 하는 긴장 등의 정신적인 위험에도 동시에 노출되어 있다.
소방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필수 조건은 소방 활동에 필요한 자원형성과 소방공무원의 능력의 조화가 선행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소방공무원이 소방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필수 조건은 소방 활동에 필요한 자원형성과 소방공무원의 능력의 조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소방공무원 자신의 욕구에 부합된 자원을 동원하는 영향력과 높은 사명감을 갖는 자기 결정성을 갖는 능력으로서 임파워먼트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3 Fire Administration Data and Statistics. Available at: http://www.nema.go. kr/nema_cms_iba/show_nema/board/ board9s/view.jsp?cNo202850&c_relation 39&check_the_code5&check_the_num 142&check_up_num165&pageNo1, 2013. 

  2. Druskat V, Wheeler J. Managing from the boundary: The effective leadership of selfmanaging work teams. Acad Manag J 2003; 46:435-459. 

  3. Liden RC, Arad SA. Power perspective of empowerment and work groups: implication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reserch.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s Management 1996;14:205-51. 

  4. Ahearne M, Mathieu J, Rapp A. To empower or not to empower your sales force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leadership empowerment behavior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005;90(5):945-55. 

  5. Srivastava A, Bartol KM, Locke EA. Empowering leadership in management teams: Effects on knowledge sharing, efficacy, and performance. Acad Manag J 2006;49(6): 1239-51. 

  6. Zhang X, Bartol KM. Linking empowering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e process engagement. Acad Manag J 2010;53(1): 107-28. 

  7. Josh A Arnold, Sharon Arad, Jonathan A Rhoades, Fritz Drasgow. The Empowering Leadership questionnaire: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leader behaviors. J Organ Behav 2000; 21(3):249-69. 

  8. Kim YS. The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job attitude and job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2010, Seoul, Korea. 

  9. Hackman JR, Oldham GR. Work redesign and motivation. Professional Psychology 1980;11(3):445-55. 

  10. Cook JD, Hepworth SJ, Wall TD, Warr PB. The experience of work: A compendium and review of 249 measures and their use. New York Academic Press 1981. 

  11. Bae ES, Ryu JS, Park HG. A study on the factors about job satisfaction and social workers turnover-focu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using facility and living facility.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2013;65(1):59-81. 

  12. Alderfer Clayton P. An empirical test of a new theory of human needs. Organizational Behaviour and Human Performance 1969;4(2):142-75. 

  13. Han SI.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Korean J Emerg Med Ser 2010;14(1):47-63. 

  14. Sunday F, Kristen W, Kim H, Ann L, Michin H. Intention to leave a job: The role of individual factors, job tension and supervisory support. Administration in Social Work 2010;34(4):313-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