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119구급대원의 폭력 경험과 이직 의사
The experience of violence and turnover intention of femal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7 no.2, 2013년, pp.65 - 76  

김희정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응급의학과) ,  최은숙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appropriated direction for fire service organizational management by analyzing the violence experiences and turnover intention of femal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119 EMT) in Korea. Methods : The questionaries were obtained from 415 fe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여성 119구급대원의 폭력 대처 능력과 폭력 방지 및 대응조치에 필요한 정책 개발과 이직 의사와 관련된 인적자원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Choi 등[16]의 연구에서 사용했던 일차연구 자료에서 여성 119구급 대원의 폭력경험과 종류, 피해정도, 가해자, 유발 동기 및 대처행동, 폭력 경험으로 인한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했던 도구를 활용하고 여성 119구급대 원들의 언어폭력으로 인한 수치심 경험, 이직 의사와 관련된 문항을 추가하여 이차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Choi 등[16]의 119 구급대원이 경험하는 폭력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자료 중 여성 119 구급대원 자료만을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로써 여성 119구급대원의 폭력 경험, 폭력으로 인한 피해 정도 및 스트레스, 이직 의사를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소방서에서 근무하는 여성 119구급대 원의 폭력 경험, 폭력으로 인한 피해정도 및 폭력 경험 후 이직 의사를 파악하여 여성 119구급대원의 폭력 방지 및 대응조치에 필요한 정책 개발과 이직 의사와 관련된 인적자원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급업무는 다른 직원으로 대체가 어려운 전문 직종이다.
  • 여성 119구급대원의 폭력 대처 능력과 폭력 방지 및 대응조치에 필요한 정책 개발과 이직 의사와 관련된 인적자원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에서도 구급대원 폭행 방지를 위한 구급대원 안전관리 표준작전절차(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s)를 제시하고 있으나 가해자인 환자와 보호자에 대한 사후 처리가 관용적으로 이루어져 구급대원에 대한 폭행 사건은 근절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의 추적은 구급 대원의 업무 스트레스를 발생시키고 더 나아가 역기능적 이직으로 이어져, 사회적 비용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어 여성 119구급대원의 폭력 경험과 이직 의사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급업무 수행 중 9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 119구급대원만을 대상으로 한 이차분석이 필요한데, 이 이차분석 연구란 무엇인가? 이에 여성 119구급대원만을 대상으로 한 이차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차분석 연구는 연구방법의 일종으로 연구자가 수집된 기존 자료를 이용하여 새로운 연구문제를 탐구하고 이전의 분석과는 다른 새로운 통계기법으로 기존에 연구되었던 방향과 다른 관점으로 측정자료를 볼수 있게 하여 비용 효율적이고 지식체 축적[14,15]에도 기여한다.
2012년 소방방재청 내부 자료에 의하면 여성 소방공무원 2334명 중 여성 구급대원은 몇 명인가? 소방방재청의 소방행정자료 및 통계를 보면 2013년 1월 기준으로 전국 17개 시·도 전체 소방 공무원 37,521명 중 여성 소방공무원은 2,361명으로 6.29%를 차지하며[1], 2012년 소방방재청 내부 자료에 의하면 여성 소방공무원 2334명 중 여성 구급대원은 985명으로 42.2%로 보고되고 있다 [2].
여성 119구급대원은 종종 폭력의 피해자가 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 여성 구급대원의 시작은 1989년 1월 11일 개정 소방공무원 임용령 제15조 제5항의 규정에 의한 특별 채용시험에 간호사가 응시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여성 구급대원이 소방 조직으로 진입하기 시작하였다. 소방의 구급업무는 24시간 다양한 응급환자와 보호자 및 주변인과의 접촉을 통해 현장 응급처치를 시행하고 있어 응급상황에 처해 있는 환자와 보호자의 불안한 심리에 대처해야 하며 또한 만취 상황에서 폭력을 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는 대상자들에게 여성 119구급대원은 종종 폭력의 피해자가 되고 있다. 2012년 구급활동실적 중 장애요인별 이송실적에서 만취자 이송은 59,225건으로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3. Fire administration data and statistics. Available at: http://www.nema.go.kr/nema_cms_iba/show_nema/board/board9s/view.jsp, 2013. 

  2. Lee SC. Measures for working stress alleviation of female ambulance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il University 2013, Gyeongsan, Korea. 

  3. Sim JS. What sin have the paramedics? They suffer assault and abuse. The tv Joseon. 2013. March. 07. Available at: http://news.tv.chosun.com/site/data / h t m l _ d i r / 2 0 1 3 / 0 3 / 0 7/2013030790155.html. 

  4. Kim YW. Twenties patient, assaulted theparamedic "stun". The MBN News. 2011. February. 22. Available at: http://mbn.mk.co.kr/pages/news/newsView.php?categorymbn00009&news_seq_no1036784. 

  5. Jo HC. 119 paramedic of Ulsan FireDepartment was violated "law enforcement",The Newsis, 2013. July. 04. Available at: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30704083408678. 

  6. Kim MG. 20 booked for assault Incheon FireDepartment paramedics, The Yonhapnews,2013. July. 15. Available at: http://media.daum.net/society/others/newsview?newsid20130715141006164. 

  7. Corbett SW, Grange JT, Thomas TL.Exposure of prehospital care providers toviolence. Prehospital Emergency Care 1998;2(2):127-31. 

  8. Pozzi C. Exposure of prehospital providers to violence and abuse,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1998;24(4):320-3. 

  9. Shin SY. From patients and caregivers 119 rescue party's experiences for violence in the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field. JKAIS 2009;10(12):3870-8. 

  10. Neale AV. Work stress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1991;33(9):991-7. 

  11. Bae K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2010, Gongju, Korea. 

  12. Shaw JD, Gupta N, Delery JE.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turnover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5;48:50-68. 

  13. Lee JW. Effect of voluntary turnover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HRM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2011, Daegu, Korea. 

  14. Lee HJ, Lee EH, Song LY, Ann SH. Research methodology for health professionals. Seoul: Koonja Publishing Company 2006. 159-160. 

  15. Lee EO, 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H,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Kyunggi: Soomoonsa publishing company, 2009. 376. 

  16. Choi ES, Kim HJ, Cho WM, Kang DH. Current status of 119 EMT to violence experiences. Korean J Emerg Med Ser 2009;13(3):91-105. 

  17. Yun JS. A study on job satisfaction and violence experience by ED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2005, Ulsan, Korea. 

  18. Kim JH.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sin University 1996, Busan, Korea. 

  19. Kim JH, Uhm DC, Kim EA. Correlation between violence, burn-out, and self-esteem of 119 rescue workers. JKAIS 2010;11(11):4433-40. 

  20. Boyle M, Koritsas S, Coles J, Stanley J. A pilot study of workplace violence towards paramedics. Emerg Med J 2007;24(11):760-3. 

  21. Yang JH, Jung HY.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response, coping, and burnout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J Korean Acad Fundam Nurs 2009;16(1):10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