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침투이행성 농약의 토양처리 후 토마토잎에서의 잔류에 의한 꿀벌 독성
Honeybee Toxicity by Residues on Tomato Foliage of Systemic Insecticides Applied to the Soil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7 no.3, 2013년, pp.178 - 184  

배철한 (한국삼공(주) 농업연구소) ,  조경원 (한국삼공(주) 농업연구소) ,  김연식 (한국삼공(주) 농업연구소) ,  박현주 (한국삼공(주) 농업연구소) ,  신관섭 (한국삼공(주) 농업연구소) ,  박연기 (농촌진흥청) ,  이규승 (충남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꿀벌에 대한 급성독성이 강한 침투이행성 농약을 대상으로 토양처리 후 흡수이행에 의해 나타나는 꿀벌(Apis mellifera)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고자 꿀벌 엽상잔류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침투이행성 농약인 dinotefuran 입제와 imidacloprid 입제 그리고 clothianidin 입제를 토마토 정식시 3가지 처리량으로 토양에 파구처리를 하였다. 처리 후 경과시간에 따라 잎을 채취하여 잎에서의 잔류농도를 분석하였고 꿀벌에 노출시켜 꿀벌치사율을 조사하였다. Dinotefuran 입제 처리구의 꿀벌 독성은 7일 이후 꿀벌치사율이 100%로 나타났고 17일 이후 감소하였다. Imidacloprid 입제의 경우 꿀벌 최대치사율이 44~72%로 낮았으나 그 영향은 18일까지 지속된 후 감소하였고 clothianidin 입제는 처리 후 7일에 꿀벌치사율이 100%이었으며 14일 이후 점차 감소하였다. 시험농약 처리 후 경과시간에 따른 잎의 잔류 경향성과 각 시험농약에서 꿀벌의 치사율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으며, 토마토의 생장이 활발한 14일 이후에는 토마토 잎에서의 잔류량이 점차 감소하였고, 실제 사용량 처리시 21일 이후에는 엽상잔류에 의한 꿀벌의 영향도 확연하게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idual toxicity test to honeybee was conducted to evaluate an indirect effects on honeybee after planting hole application of systemic insecticides which were highly toxic to honeybee (Apis mellifera). In this study, It was applied three application rates in the planting hole by three systemic i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침투이행성 농약을 실제 적용작물에 처리할 경우 식물에 흡수 이행되어 식물체잎을 통해 나타날수 있는 꿀벌 영향을 조사하고 실제 흡수이행에 의한 꿀벌의 영향정도를 파악하여 꿀벌의 안전성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존의 꿀벌 엽상잔류독성시험법을 통하여 식물잎에 흡수된 농약 잔류량과 꿀벌의 독성영향을 조사하고 그 경향성을 파악하여 농약 잔류량과 꿀벌 영향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침투이행성 농약을 실제 적용작물에 처리할 경우 식물에 흡수 이행되어 식물체잎을 통해 나타날수 있는 꿀벌 영향을 조사하고 실제 흡수이행에 의한 꿀벌의 영향정도를 파악하여 꿀벌의 안전성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기존의 꿀벌 엽상잔류독성시험법을 통하여 식물잎에 흡수된 농약 잔류량과 꿀벌의 독성영향을 조사하고 그 경향성을 파악하여 농약 잔류량과 꿀벌 영향과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꿀벌군집 붕괴 현상의 원인은 무엇인가? 꿀벌에 대한 농약의 위해성은 2006년 미국의 플로리다에서 꿀벌군집 붕괴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이 보고된 이후 유럽과 아시아에서도 보고되면서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꿀벌군집 붕괴 현상은 일벌들이 돌아오지 않아 남은 여왕벌과 기타 미성숙 벌들까지 하나의 벌집이 몰살당하는 현상으로 그 원인으로 응애(Johnson et al., 2009), 영양실조(Dennis et al., 2006), 병원균(Dennis et al., 2006; Featherstone, 2009), Szalanski et al., 2010), 양봉산업(Oldroyd, 2010), 농약(Schmuck et al., 2001; Bortolotti et al., 2003; EFSA scientific report, 2006; Andrea et al., 2012; Pettis et al., 2012) 등으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기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한 꿀벌 면역스트레스와 지구온난화, 유전자 변형작물, 휴대폰 전자파 등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
꿀벌군집 붕괴 현상이란 무엇인가? 꿀벌에 대한 농약의 위해성은 2006년 미국의 플로리다에서 꿀벌군집 붕괴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이 보고된 이후 유럽과 아시아에서도 보고되면서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꿀벌군집 붕괴 현상은 일벌들이 돌아오지 않아 남은 여왕벌과 기타 미성숙 벌들까지 하나의 벌집이 몰살당하는 현상으로 그 원인으로 응애(Johnson et al., 2009), 영양실조(Dennis et al.
농약에 대한 꿀벌의 위해성 평가의 한계점은? 현재 꿀벌 위해성평가는 직접 접촉과 섭식에 의한 급성독성 영향과 실제 농약 살포 후 직접적으로 나타나는 꿀벌의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위해성 평가방법은 농약에 꿀벌이 직접 노출되어 단시간에 나타나는 영향에 대한 평가방법으로 농약을 살포시 꿀벌에 직접 노출되거나 살포 후 작물에 잔류된 농약에 의해 꿀벌이 노출될 경우에만 꿀벌 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농약의 특성과 살포형태가 다른 경우 즉, 입제형태나 침투이행성으로 작물에 흡수되는 특성을 가진 농약에 의한 영향은 조사하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drea, T., D. Marton, C. Giorio, A. Zanella, L. Solda, M. Marzaro, L. Vivan and V. Girolami (2012)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exposure of honeybees to particulate matter containing neonicotinoid insecticides coming from corn coated seeds.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6(5):2592-2599. 

  2. Benjamin, A., (2008) Pesticides:Germany bans chemicals linked to honeybee devastation, by The Guardian/UK. 

  3. Bortolotti, L., R. Monanari, J. Marcelino and P. Porrini (2003) Effects of sub-lethal imidacloprid doses on the homing rate and foraging activity of honey bees. Bulletin of Insectology 56(1):63-7. 

  4. Bruneau E., J. Kievits, J. Lortsch and S. Szoke (2009) Systemic plant protection substances and products: how to assess the risk for bees? A beekeepers point of view, II. Test and risk assessment (incl. systemic effects, field testing, bee brood), Hazards of pesticides to bees - 10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the ICP-Bee Protection Group, 55-66. 

  5. Defra (2009) Systemic pesticide risk assessement for honeybees - research project final report, Science directorate, management support and finance team. 

  6. Dennis V. E., C. -F. Diana, F. Maryann, O. Nancy and H. Jerry (2006) Colony Collapse Disorder Preliminary Report. Mid-Atlantic Apiculture Research and Extension Consortium (MAAREC) CCD Working Group. p. 22. 

  7. EFSA Scientific Report (2006) Conclusion regarding the peer review of the pesticide risk assessment of the active substance fipronil. 65:1-110. 

  8. EPA (2011) EPA Home > Pesticides > About Pesticides > Pesticide issues in the works Pesticide issues in the works: Honeybee colony collapse disorder, Current as of December 16, 2011. 

  9. Featherstone, D. (2009) Microbiology: Colony collapse cured?. Nature 458(7241):949. 

  10. Halm M. P., A. Rortais, G. Arnold, J. N. Tasei and S. Rault (2006) New risk assessment approach for systemic insecticides: The case of honey bees and imidacloprid (Gaucho), Environ. Sci. Technol., 40(7):2448-2454. 

  11. Johnson, R. M., J. D. Evans, G. E. Robinson, and M. R. Berenbaum (2009) Changes in transcript abundance relating to colony collapse disorder in honey bees (Apis mellifer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35): 14790 

  12. KCPA (2009) Using guideline of crop protection agents. 

  13. Oldroyd, B. P. (2010) What's killing American honey bees? PLoS Biol 5(6):e168. 

  14. Pettis S., D. V. Engelsdorp, J. Johnson and G. Dively (2012) Pesticide exposure in honey bees results in increased levels of the gut pathogen Nosema. Naturwissenschaften 99(2): 153-158. 

  15. Schmuck R., R. Schoning, A. Stork and O. Schramel (2001) Risk posed to Honeybees (Apis mellifera L, Hymenoptera) by an Imidacloprid seed dressing of sunflowers-Pest Manag Sci 57:225-238. 

  16. Standards of Pesticide Registration, Standards and Methods for Ecotoxicity Testing, Honeybee toxicity of residues on foliag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otification No. 2012-13). 

  17. Szalanski, A. L., J. Whitaker and P. Cappy (2010) Molecular diagnostics of Nosema ceranae and N. apis from honey bees in New York. Proceedings of the American Bee Research Conference. American Bee Journal 150:508. 

  18. Tasei, J. N., M. Ha, P. Delegue and L. Belzunces (2003) Registration of systemic insecticides and european and mediterranean plant protection organisation (EPPO) guidelines, Bulletin of Insetology 56(1):189-191. 

  19. The Pesticide Manual (2006). 

  20. USEPA (1996) Ecological effect test guidelines OPPTS 850.3030 Honey bee toxicity of residue on foliage. Washington DC,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